주간 정덕현

현 가요계에 버스커버스커는 왜 불편한 존재일까 본문

옛글들/명랑TV

현 가요계에 버스커버스커는 왜 불편한 존재일까

D.H.Jung 2013. 10. 13. 08:30
728x90

기존 시스템과 충돌하는 버스커버스커의 행보

 

지금 현재 가요계에서 버스커버스커는 대단히 이질적인 존재다. 이것은 그들이 <슈퍼스타K>를 통해 알려지고 1집을 발표한 후 일약 스타덤에 오르는 과정 자체부터가 그렇다. 버스커버스커가 <슈퍼스타K>의 무대에 처음 올랐을 때, 윤종신이나 이승철 심사위원이 이들을 혹평했던 것은 어찌 보면 당연한 일이었다. 고음이 잘 올라가지 않는 장범준에게 가창력에 대한 지적이 계속 이어졌고, 버스커버스커만의 특징은 비슷한 패턴의 반복으로 평가되기도 했다. 결국 그들은 자력으로 생방송 본선 무대에 오르지 못했다.

 

'버스커버스커(사진출처:CJ E&M)'

당시 톱10에 올랐던 예리밴드가 <슈퍼스타K>의 시스템에 반발해 무단이탈하는 사건은 그러나 버스커버스커에게는 엄청난 기회가 되었다. 흥미로운 일이지만 그 후 예리밴드는 밴드 오디션이었던 <톱밴드2>에 나갔지만 이슈만 만들었을 뿐 그다지 인상적인 무대를 보여주지는 못했다. 반면 <슈퍼스타K>의 생방송 무대에 오르게 된 버스커버스커는 의외의 매력을 드러내며 톱2에까지 오르는 성과를 만들었다. 또 <슈퍼스타K>가 끝난 후 발표한 1집은 작년 한 해 내내 차트에 오르며 우승을 차지한 울랄라세션을 압도했다. 올해 들어 발표한 2집 역시 1집과 비교해 매력이 떨어진다는 평가를 받으면서도 음원차트를 석권하고 있다. 도대체 무엇이 이런 결과를 만든걸까.

 

버스커버스커의 이 이례적인 변칙 성공사례는 분명히 달라진 대중들의 어떤 기호를 반영하고 있다. 고음처리가 안되는 장범준의 가창력이나 전문가들에게 비슷한 패턴의 반복으로 평가되던 그들의 노래는 기존 가요계에서 오히려 장점으로 부각되는 흥미로운 결과를 낳았다. 고음을 얼마나 높게 올릴 수 있는가가 마치 그 가수의 능력을 보여주는 것처럼 오인되던 <나는 가수다>풍의 시선이나, 춤과 끼를 얼마나 보여주느냐가 그 가수의 화려함을 드러내주던 기존 기획사 아이돌 풍의 시선에서 이들은 한참 벗어나 있었다. 그리고 이 전문가들이 지적하던 단점은 그들의 개성이 되었다.

 

사실상 그 사람의 개성을 만드는 것은 장점보다는 단점에서 비롯된다. 완벽하게 모든 걸 구사하는 이들에게서 인간적인 매력이 느껴지지 않는 반면, 어느 한 구석 비어있는 이들이 그것을 오히려 장점으로 바꾸는 과정에서 개성이 드러나게 된다는 점이다. 이것은 버스커버스커가 기존 가요계의 완벽주의가 가진 숨막힘에 하나의 숨통을 터준 부분이다. 버스커버스커의 1집 성공 이후, <슈퍼스타K>의 정준영이나 <K팝스타>의 악동뮤지션 같은 개성강한 신예들이 주목받게 된 것은 무관한 일이 아닐 것이다.

 

버스커버스커가 최근 들어 무수한 잡음을 내고 있는 것은 이들의 행보가 기존 가요계와는 사뭇 다른 방향으로 전개되어 있기 때문이다. 노래를 발표하고 콘서트를 통한 직접 대면만을 고집하는 방식. 게다가 그 흔한 방송 활동을 거의 하지 않는 이들의 방식은 대중들에게는 대단히 참신한 것이지만 기존 가요계 시스템에서는 심지어 불편하게 여겨지는 것일 수도 있다. 버스커버스커가 만일 이 행보로 확고한 새로운 성공방정식을 이끌어낸다면 그것은 기존 시스템에 대한 도전이 될 것이기 때문이다.

 

물론 이 과정에는 관리의 문제가 발생한다. 버스커버스커의 브래드가 노이지에 인터뷰한 내용이 대서특필되고, 김형태가 일베논란을 겪거나 <은교> 발언으로 논란이 되는 그 과정들은 이 아마추어리즘을 표방하는 밴드가 기존 가요계 시스템과 생기는 마찰에 의해 발생하는 것들이다. 어딘지 어수룩해 보이고 완벽히 짜진 틀 안에서 움직인다기보다는 조금은 자유롭게 활동함으로써 논란도 발생하지만 여전히 인기도 있는 이들은 그래서 기존 가요계 시스템에서는 불편한 존재가 될 수밖에 없다.

 

하지만 무수한 논란이 쏟아지면서도 버스커버스커에 대한 인기가 여전한 이유 역시 이들이 보여주는 아마추어리즘의 힘에서 발생한다. 즉 아마추어리즘이란 프로처럼 완벽한 관리를 전제하지 않기 때문에 논란 역시 순수함에서 비롯된 실수 정도로 여겨지게 만들기 때문이다. 모든 것들이 시스템 안에서 관리되고 있는 것이 나쁜 것은 아니지만, 이 시스템이 너무 오랫동안 공고하게 유지되어 새로운 아티스트들의 진입조차 허락되지 않는 현실은 부정적인 것일 수밖에 없다.

 

이번 <슈퍼스타K5>의 출연자들이 실력에 있어서 예전만 못하다는 평가가 많다. 하지만 결과는 훨씬 후에 나타날 수 있다. 버스커버스커처럼 본인이 갖고 있는 단점들마저 개성으로 끌어안을 수 있다면 기존 기획사 소속 가수들이 단점을 잘라내 버려 개성이 잘 안 보이는 것과는 반대로 또 다른 매력을 대중들에게 선사할 수도 있을 게다. 버스커버스커는 그래서 현 가요계에 대단히 불편한 존재지만 기존 틀에 묶인 가요계 시스템에 마찰을 일으키고 있다는 점에서 반드시 필요한 존재인 것만은 분명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