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진실과 거짓 사이, 시청률이 있다 본문

옛글들/명랑TV

진실과 거짓 사이, 시청률이 있다

D.H.Jung 2007. 5. 11. 23:32
728x90

‘무릎팍 도사’, ‘일밤’ 왜 비판받나

이영자의 ‘가짜 반지 소동’은 리얼리티쇼 시대에 과다한 시청률 추구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페이크 쇼(가짜를 진짜인 척 하는 쇼)의 문제를 단적으로 보여주는 사례다. 혹자들은 이 사소한 일처럼 보이는 소동이 왜 이렇게 시끄러운 지 이해가 가지 않을 수도 있다. 이른바 쇼는 쇼일 뿐인데, 왜 거기서 진실이냐 거짓이냐를 따지냐는 것이다. 일견 이러한 의견은 타당성이 있는 것처럼 보인다.

하지만 최근 들어 오락 프로그램들이 일제히 리얼리티쇼를 추구하고 있다는 점에서 보면 이 문제의 핵심이 보인다. 우리는 이영자가 ‘경제야 놀자’란 쇼에서 과장되게 얘기한 사실이 엉뚱하게도 쇼와는 전혀 상관없는 이소라에게 악플로 나타났다는 것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즉 이영자가 쇼의 재미요소로 끌어들인 것은 말 그대로 만들어진 쇼의 한 부분이 아니라, 이영자의 사생활 즉 리얼리티였다는 것.

즉 리얼리티쇼는 완전한 허구로 구성되는 코미디 프로그램과 달리, 시청자들이 받아들였던 리얼리티가 거짓으로 드러나는 순간 프로그램 자체의 진정성을 잃게 된다. 리얼리티쇼의 핵심이 진정성에 있기 때문에 이것이 훼손된다면 그것은 시청자의 웃음은 기만당한 셈이 된다. “그저 웃었으면 됐지 않냐”고 할 수 있겠지만 이것은 마치 속은 채 웃은 뒤에 남는 ‘바보 된 느낌’은 시청자의 몫이지 거짓말한 자의 몫이 아니라고 하는 궤변과 같다.

몰래카메라, 과연 지금도 유효한가
쇼 프로그램이 현실에 즉각적인 영향을 미치는 이런 사례는 이미 리얼리티쇼를 주창하고 나왔던 프로그램들에서 쉽게 찾아낼 수 있다. ‘몰래카메라’가 거의 매주 논란을 일으키고 있는 것은 리얼리티쇼를 표방하는 이 쇼 프로그램이 늘 진위를 의심받기 때문이다. 연예인들의 숨기지 않은 맨 얼굴을 잡아낸다는 몰래카메라에서 억지스런 상황설정으로 ‘속지 않은’ 최진실의 모습을 발견한다든가, 작위적으로 오버하는 성시경의 모습을 본다든가, ‘속은 척 해주는’ 유세윤의 모습이 보인다든가 하는 것은 시청자들의 즉각적인 비판에 노출될 수밖에 없다.

그것이 진짜 속은 것인지, 아니면 속은 척 해주는 것인지가 불분명하기 때문이다. 이것은 어쩌면 ‘몰래카메라’라는 프로그램 자체가 가진 한계를 보여주는 것이기도 하다. 처음 시도되었을 때는 그 몰래카메라의 주인공이 자신이 될 줄은 꿈에도 생각하지 못했을 연예인들이 이제는 몰래카메라 자체를 일상의 하나로 받아들이는 환경에서 살아가고 있기 때문이다. ‘몰래카메라’의 재미가 성립되려면 첫째, 베일에 쌓인 신비스러운 연예인이란 전제조건이 필요하고, 둘째 그 연예인의 겉옷을 벗겨내는 몰래카메라라는 비장의 무기가 잘 숨겨져 있어야 한다.

그러나 지금의 상황은 여기에 부합되지 않는다. 연예인들은 신비주의를 벗고 생얼을 드러내는 것이 하나의 트렌드가 되었고, 여기서 몰래카메라는 오히려 홍보의 수단으로 활용되는 상황이다. ‘몰래카메라’가 의도했든 아니든, 본래의 의미를 상실하고 홍보의 또 다른 방식이 되는 지점에서 진실과 거짓에 대한 논란은 표출될 수밖에 없다.

무릎팍 도사는 과연 그들의 죄를 사해줄 수 있는가
‘무릎팍 도사’가 ‘물의 연예인 면죄부 프로그램’이냐는 논란은 이 리얼리티쇼가 가진 프로그램 진정성 역시 의심되고 있다는 방증이다. 연예인을 무릎 꿇리고 거침없는 질문공세로 맨 얼굴을 드러내게 만드는 ‘리얼 인터뷰 쇼’라는 애초의 의도는 희석되고, 물의를 일으킨 연예인들에게 오히려 변명의 기회를 주는 면죄부 프로그램이 되어가고 있다는 것이다. 이것은 무릎팍 도사가 인기를 끌면서 초심을 잃어버린 결과이다. 물의 연예인들이 매주 등장해 자신의 소회를 얘기하는 것은 좋지만, 결론적으로 무릎팍 도사가 ‘그들의 죄를 사해주는 것’은 시청자들을 무시한 오만한 행위로 비춰지기도 하는 것이다.

리얼리티쇼들은 그것이 진실을 끄집어낼 때 보여지는 날 것의 신선함으로 시청자들의 호응을 얻을 수 있다. 하지만 늘 그 신선함을 유지한다는 것은 실로 어려운 일이 아닐 수 없다. 일단 쇼의 리얼함으로 인기를 끈 프로그램 제작자들은 조금씩 연출에 대한 유혹을 받지 않을 수가 없기 때문이다. 그것은 편집에 의해 이루어지기에 당연한 연출자의 권리처럼 여겨질 수도 있다. 아무리 대본이 아닌 연예인들의 애드립으로 현장성을 높인 쇼 프로그램이라 하더라도, 거기에는 반드시 편집이 가해지기 마련이며, 출연자들은 최종편집이 될 때까지 자신의 발언이 어떤 뉘앙스로 시청자에게 전달될지 정확히 알 수가 없다는 말이다.

그러므로 이런 리얼리티쇼의 진정성 문제는 출연자들의 의도라기보다는 편집권을 가진 연출자들의 문제이다. 당장은 이야기가 가진 자극적인 뉘앙스에 유혹을 받는 것이 당연할 지라도, 그것은 멀리 볼 때 프로그램을 오래 지속시킬 수 있는 방법이 아니다. 편집은 프로그램의 진정성을 위해 쓰여져야지 프로그램의 시청률을 위해 쓰여져서는 안 된다. 그것은 리얼리티쇼에서 결국 제 살을 파먹는 행위이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