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K팝스타', 시즌3도 기대되는 이유 본문

옛글들/명랑TV

'K팝스타', 시즌3도 기대되는 이유

D.H.Jung 2013. 11. 26. 09:37
728x90

<K팝스타>, 이 오디션이 시즌제를 이겨내는 비법

 

세계적인 오디션 프로그램인 <아메리칸 아이돌>에서 톱9에까지 올라간 한희준이 부른 제임스 모리슨의 유 기브 섬띵(You give something)’에 대해 심사위원 유희열은 프로다운 무대였다. 그러나 지금 이 무대가 완성형이라면 성장하는 다른 참가자와 경쟁할 수 없다. 남다른 각오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그는 어찌 보면 이미 프로 가수나 마찬가지다. 박진영은 그가 미국인들이 쉽게 알아볼 정도의 유명인사라고 했다.

 

'K팝스타3(사진출처:SBS)'

즉 한희준이 이미 실력자라는 것은 이론의 여지가 없다. 하지만 <K팝스타>라는 오디션 무대는 어쩌면 그에게 불리할 지도 모른다. 유희열이 지적한 대로 이 오디션은 완성형을 뽑는 무대가 아니라 성장 과정을 보여주는데 더 집중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지적해서 고쳐질 부분이 없거나, 아니면 타고난 재능을 갖추지 못한 참가자에게는 오히려 불리한 오디션이 <K팝스타>. 한희준의 잘못된 발성방법이 노래를 올드하게 들리게 만든다는 박진영의 지적은 그래서 어떤 면으로는 한희준에게는 계속 이 오디션에 설 수 있는 작은 가능성이 된다.

 

<K팝스타>의 특징을 가장 잘 드러내는 참가자는 카자흐스탄에서 온 뚝뚜바예바 쌀따낫 같은 인물이다. 누가 들어도 기본기가 거의 안 되어 있는 이 참가자에게 혹평은 당연한 일이었다. 하지만 이 고칠 점이 많은 점과 그럼에도 불구하고 갖고 있는 무한한 가능성은 혹평을 호평으로 바꾸었다. 박진영은 음정, 발성이 너무 안 좋다. 그런데 정말 좋다. 첫 음정에 마음을 빼앗겼다고 그녀의 가능성에 애정을 보냈다.

 

<K팝스타>라는 오디션은 언제부턴가 기본기를 평가하기보다는 그 안에 숨겨진 보석 같은 천재성과 가능성을 발굴하는 쪽으로 시선을 돌렸다. 그래서 정세운 같은 일상이 묻어나는 자작곡을 들고 온 참가자는 노래를 시작하기도 전에 박진영은 인사하는 목소리에서조차 심상찮은 가능성을 발견해낸다. 마치 자신의 이야기를 얘기하듯이 부르는 그의 자작곡 엄마 잠깐만요는 물론 대중적이라고 볼 수는 없지만 확실히 자기 색깔이 묻어나는 것만은 분명했다.

 

시즌1에서 어린 나이에 참가해 놀라운 춤 실력으로 예선을 통과했지만 결국 탈락했던 이채영이 심사위원들의 마음을 빼앗은 것은 2년이라는 짧은 시간 사이에 보여준 놀라운 성장이었다. 그녀의 아킬레스건이었던 가창력은 신디 로퍼의 트루 컬러스(true colors)'를 통해 그 우려를 씻어냈고 한층 성장한 춤 실력은 양현석을 매료시켰다. 양현석은 이렇게 빠른 성장이 단지 노력만으로 되는 건 아니라는 걸 말하며 그녀가 가진 잠재성을 높이 평가했다.

 

<K팝스타>가 오디션 프로그램으로서의 가장 큰 차별점을 갖고 있었던 것은 참가자들의 재능을 백 분 발휘하게 만들어줄 체계적인 기획사 시스템이었다. 결국 훈련과 연습을 통해서 없는 기본기는 만들어 줄 수 있다는 자신감이 전제되자, 오디션에서 주목하게 된 것은 오로지 원석의 향후 발전성과 그 드라마틱한 성장과정이 되었다. 이것은 이 오디션 프로그램의 재미가 참가자의 놀랄만한 성장을 바라보는 지점에 있다는 것을 말해준다. 그리고 또한 이 성장 과정의 스토리는 오디션이 끝난 후 이 스토리의 주인공들이 곧바로 데뷔할 때의 아우라가 될 것이기도 하다.

 

물론 이러한 가능성을 발굴하는 <K팝스타>만의 오디션이 전제할 것은 도대체 그 가능성이라는 미지의 세계를 어떻게 대중들에게 설득시키느냐다. 그래서 이 프로그램의 심사위원 역할은 더더욱 중요해진다. <K팝스타>의 심사위원은 단순히 현재의 상태를 심사하는 게 아니라 향후에 벌어질 일들을 예측하면서 참가자들을 바라봐야 한다. 또 어찌 보면 그저 평범해 보이는 참가자들 속에 숨겨진 재능을 대중들에게 설득시키기 위해 과한 멘트와 리액션도 필요해진다.

 

심사위원 박진영의 리액션은 늘 과하다는 지적을 받을 때가 많다. 시즌3의 첫 회에서도 심사 분위기를 전면에서 이끈 것은 결국 이 박진영의 리액션이었다. 그는 아직 꽃이 피지도 않은 여린 참가자들 앞에서 목소리의 가능성만을 듣고도 심지어 사랑에 빠진눈빛을 던지기도 했다. 생각해보라. 박진영처럼 오래도록 가수들을 발굴해온 아티스트가 이제 첫 걸음도 떼지 못한 아기 같은 참가자들에게 보내는 찬사를. 그 한 마디 한 마디나 리액션은 고스란히 그들에 대한 대중들의 기대감으로 이어질 수밖에 없다. 박진영의 과한 리액션은 그래서 <K팝스타>로서는 대중들을 이 특별한 오디션에 주목하게 만들고 설득하는 데 반드시 필요한 전제가 된다.

 

흥미로운 건 이번 심사위원으로 참여한 유희열이라는 존재가 주는 심사의 균형감각이다. 과거에는 아무래도 기획사 3사를 대표하는 이들의 오디션이다 보니 어딘지 기획사 아이돌을 뽑는 듯한 기준들로 심사가 편향된 인상을 주었다. 하지만 유희열이라는 중소기업(?)’의 대표가 함께 자리를 하면서 박진영, 양현석과의 대립구도를 통해 어떤 균형점이 세워지게 되었다는 점이다. 박진영의 과하게 느껴지는 심사에 유희열이 툭툭 농담식으로 비판을 가하는 장면은 그래서 대중들과의 묘한 공감대를 형성한다.

 

실로 오디션의 홍수 속에서 시즌을 거듭할수록 오디션이 식상해지게 된 것은 어쩔 수 없는 현실이 되었다. 하지만 그 속에서도 <K팝스타>가 여전히 그 중압감을 이겨낼 수 있는 것은 이 오디션만이 가진 특징이 분명하기 때문이다. 결과치가 아닌 가능성에 더 점수를 주고, 연습을 통한 기량보다는 타고난 재능에 더 몰입하게 만드는 이 오디션은 그 가능성과 재능이 어디로 튈지 알 수 없다는 점에서 그 의외성을 기대하게 만든다. 그리고 여기서 박진영의 심사방식은 <K팝스타>라는 오디션의 개성을 만들어내고 있는 것이 분명하다. 물론 대중들에게 과하다 지적받을 때도 많지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