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정법'의 위기를 보여주는 동물학대 논란 본문

옛글들/명랑TV

'정법'의 위기를 보여주는 동물학대 논란

D.H.Jung 2013. 12. 16. 11:20
728x90

<정법>, 어쩌다 잔인한 프로그램이 되었나

 

정글에서 살아남기 위해 야생동물을 잡아먹는 것을 동물학대라 부르진 않을 것이다. 하지만 이번 <정글의 법칙> 사바나편에서는 갑작스럽게 동물학대라는 표현이 등장했다. 사냥을 하기가 쉽지 않은 오지에서 김병만이 무려 6시간에 걸쳐 만든 석궁으로 작은 새를 잡는 장면과, 촬영 끝날 때까지 올무에 잡히지 않은 딕딕(사슴처럼 생긴 동물)이 카메라를 끈 뒤에 잡히자 그 가죽을 벗겨내고 고기를 나누는 장면이 모자이크도 처리되지 않은 상태로 방영된 것에 대해서다.

 

'정글의 법칙(사진출처:SBS)'

원주민들도 살기 위해 사냥해 먹는 동물이고, <정글의 법칙>은 어떤 면에서는 그 곳의 생존법칙을 배우는 의미도 갖고 있기 때문에 이런 상황은 어쩌면 어쩔 수 없는 것일 수 있다. 하지만 상황이 그렇다고 해도 그것을 어떻게 보여주는가 하는 건 중요한 문제일 수 있다.

 

끊임없이 동물들을 사냥하고 잡아먹는 장면들을 반복하다 보니 거기에 둔감해진 것도 어쩔 수 없는 사실이다. 하지만 그렇다고 그것이 자칫 잔인해 보일 수 있는 장면들을 그대로 내보내도 된다는 말은 아닐 것이다. 즉 생존을 위해 사냥을 하는 것과 그래서 힘들게 석궁까지 동원해 새를 잡은 것까지는 이해될 수 있는 일이다. 하지만 석궁으로 잡아 껍질을 벗긴 새를 나무 위에 얹어놓고 원래대로 나무에 앉아있네하며 낄낄대는 장면을 굳이 자막까지 붙여 내보내는 건 그 뉘앙스가 다르다.

 

물론 현장에서 출연자들이 동물을 학대하는 마음을 갖고 그런 말과 행동을 한 건 아닐 것이다. 하지만 시청자들 입장에서는 달리 바라볼 수 있다. 생존을 위해서는 어쩔 수 없더라도 동물과 자연에 대한 배려와 관심은 필요한 일이 아닐까.

 

실제로 과거 <정글의 법칙>에서 강조한 것은 생존만큼 중요했던 게 공존이었다. 최소한의 생존을 위한 사냥은 어쩔 수 없지만 그렇게 생존하게 해주는 자연에 대한 고마움을 표하며 공존의 길을 모색하는 것이 이 프로그램의 가장 중요한 철학 중 하나였다. 이런 철학이 프로그램에 표현되어 있었기 때문에 정글에서의 사냥이나 어로, 채취가 허용되었다. 특히 먹거리가 풍부해 심지어 먹방의 느낌마저 풍겼던 뉴질랜드편에서조차도 이러한 먹거리들은 자연의 선물로 표현되기도 했다. 얼마나 다른 태도인가.

 

사실 동물학대라는 조금은 과한 비판마저 나오게 된 데는 이번 사바나편이 예능적인 재미를 별로 주지 못하고 거의 사냥과 먹방에 거의 집착했던 것에서 비롯된 바도 크다. 또 세렝게티에서 누떼를 보기 위해 기구를 타고 올라가 감탄하는 장면은 아마도 현장에 있는 출연진들이나 스텝들에게는 놀라운 경험이었을지 몰라도 <정글의 법칙>을 즐겨보는 시청자들 입장에서는 너무 식상한 장면처럼 여겨졌을 게다.

 

우리는 이미 무수한 동물 다큐들을 통해 더 생생한 동물들의 모습을 너무 많이 접했다. <정글의 법칙>에 시청자가 원하는 건 그런 그림이 아니라 진짜 그 세계 속에 뛰어들어 경험하는 교감이다. 이번 사바나 편과 과거 마다가스카르편을 비교해서 생각해보라. 물론 동물의 종류가 다를 것이지만 마다가스카르편에서 출연진들은 동물과 함께 어우러지는 장면들을 계속 해서 보여주지 않았던가.

 

만일 사바나라는 환경이 마다가스카르와는 달리 생존경쟁의 공간이라 어쩔 수 없이 동물들을 사냥하고 잡아먹어야 하는 상황이었다면 그것이 프로그램을 통해 충분히 드러났어야 한다. 하지만 이상하게도 이번 사바나편에서는 출연자들의 내면이나 심리변화 혹은 육체적 상태가 그다지 프로그램에 보여지지 않았다. 즉 그저 겉모습만 계속 보여주면서 그들의 생존상황은 좀체 시청자들에게 전해지지 않았고, 그렇기 때문에 그런 상황에서의 과도한 사냥 장면은 생존을 위한 것이 아닌 사냥 그 자체에 대한 집착처럼 보였다는 얘기다.

 

인물들의 내면이 잘 살아나지 않았다는 걸 단적으로 말해주는 건 이번 편에서 유독 출연진들의 캐릭터가 별로 보이지 않았다는 점이다. 아마도 새롭게 합류한 이들을 포함한 출연진들은 만만찮은 고생을 했을 것이다. 하지만 이것이 프로그램을 통해 잘 전달되지 않아 심지어 오인까지 받는 상황은 안타까운 일이다.

 

<정글의 법칙>이 공감을 얻기 위해서는 그들이 왜 그 힘겨운 공간에 들어가는가에 대한 명쾌한 이유를 프로그램 스스로 설명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테면 생존과 공존 같은 의미는 이 프로그램의 존재 근거를 그저 재미에만 머물게 하는 위험성을 피하게 해준다. 만일 그저 재미만을 위해 정글에 뛰어든 것 같은 느낌을 프로그램이 자아내기 시작하면(그렇게 한다고 재미가 있는 것도 아니지만) 그들의 생존 행위는 그 자체로 진정성을 의심받을 수 있게 된다.

 

이번 사바나편에서 상대적으로 보여지지 않은 아프리카가 겪고 있는 눈물은 그런 점에서는 아쉬운 대목이다. 누떼의 대이동은 그저 장관에 머무는 것이 아니라 그 안에 우리가 공존을 생각해야 하는 의미도 들어가 있다.

 

물론 조작 논란 같은 어려움을 겪었지만 <정글의 법칙>은 꽤 괜찮은 기획이다. 하지만 이 기획이 괜찮으려면 거기에 합당한 전제조건이 필요하다. 자연과 환경을 대하는 철학. 그것이 전제되지 않는다면 <정글의 법칙>은 자칫 사냥의 법칙같은 잔인한 느낌을 주는 프로그램으로 전락할 수 있다. 초심, 초심 하지만 <정글의 법칙>이야말로 초심이 절실한 시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