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변호인'의 국밥과 MB의 국밥 본문

옛글들/영화로 세상보기

'변호인'의 국밥과 MB의 국밥

D.H.Jung 2013. 12. 31. 08:36
728x90

국밥 한 그릇이 전하는 진심과 거짓

 

고 노무현 전 대통령을 소재로 한 <변호인>에서 부산의 돼지국밥집은 중요한 공간이다. 그 곳에서 한때 가난해 막노동판에서 일했던 송우석(송강호)은 밥값을 내지 않고 도망친다. 그 돈으로 헌책방에 맡겨둔 자신의 고시 서적을 되찾은 그는 열심히 공부해 결국 고시에 합격한다. 판사로 활동하다 접고 돈이나 벌자며 변호사 사무실을 열어 돈을 좀 만지게 되었을 때 그는 가족과 함께 그 국밥집을 찾아가 과거 그 날의 일을 사죄하며 빚을 갚으려 한다. 그러자 국밥집 아주머니 순애(김영애)는 극구 마다하며 그런 빚은 다리와 얼굴로 갚는 것이라 말한다.

 

사진출처:영화 <변호인>

그저 밥 먹고 술 마시는 식당의 아주머니가 아니라 지친 이들을 따뜻한 국밥 한 그릇의 정으로 풀어내주는 순애는 만인의 어머니 같은 존재처럼 보인다. 송우석의 성공을 마치 자기 자식의 성공처럼 축하해주고 그런 순애를 송우석 역시 한번 안아 봐도 되겠습니까?”하고 물을 정도로 어머니처럼 여긴다. <변호인>에서 국밥집은 그래서 사람과 사람이 훈훈하게 서로의 마음을 껴안는 공간으로 상징화된다.

 

그 국밥집 아들인 진우(임시완)는 그래서 송우석에게는 그저 국밥집 아들이 아니라 마치 친조카 같은 존재다. 그런 그가 어느 날 갑자기 강제 연행되어 무려 두 달이나 연락이 끊긴 상황에서 고문을 당하고 그 고통에 못 이겨 거짓진술을 했다는 건 그래서 송우석이 그의 변론을 맡게 되는 결정적인 이유가 된다. 거창한 정치적 이유가 아닌 지극히 가족적이고 인간적인 이유가 송우석의 변화를 대중들이 공감하게 만든다는 점에서, 그 가족적이고 인간적인 관계를 만들어낸 순애의 돼지국밥집은 중요하다. 여기서 국밥집은 이념이나 위치와 상관없이 인간과 인간이 연결되는 진심을 상징한다.

 

국밥집이라는 서민적인 공간은 물론 이처럼 훈훈한 정을 떠올리게 만들지만 때로는 그것이 거짓으로 판명 나는 경우도 있다. 이를테면 선거철 깜짝 시장을 방문해 평소에는 잘 먹을 것 같지도 않는 국밥을 훌훌 먹는 장면을 애써 연출하는 후보자들이 그렇다. 이런 경우 국밥집은 서민 코스프레를 하는 공간으로서 활용된다. 우리는 실제로 이것을 <MB의 추억>이라는 다큐멘터리 영화를 통해 본 적이 있다. 과거 이명박 전 대통령이 선거에 즈음해 만들었던 광고에 등장했던 국밥집 풍경. 욕쟁이 할머니가 국밥을 퍼주며 경제만은 살리라고 일갈했던 그 공간. 하지만 <MB의 추억>이라는 다큐멘터리에서는 그 장면을 연출하기 위해 반복적으로 국밥을 떠먹는 후보자의 모습이 가감 없이 보여지기도 했다. 물론 거기 등장한 욕쟁이 할머니 역시 실제 인물이 아닌 연기자라는 게 드러나 마음 한 구석을 씁쓸하게 했던 기억이 있다.

 

물론 광고는 연출된 이미지일 수밖에 없다. 짧은 시간 속에 핵심적인 메시지를 담아내야 하기 때문이다. 그러니 당시 이 후보자의 연출을 뭐라 할 수는 없는 일이다. 다만 대통령에 당선된 이후 그가 광고에서 메시지를 던졌던 대로 서민 경제를 살렸는가 하는 점이 중요할 게다. 그것이 후보 광고에 담겨진 국밥 한 그릇의 진심과 거짓을 설명해주는 것이 될 테니 말이다. MB의 국밥이 진심이었는지 거짓이었는지는 대중들이 판단할 문제다. 물론 그 답이 대체로 일치할 것이라는 데는 의심의 여지가 없다.

 

<MB의 추억>이 나왔을 때 대중들은 오랜만에 웃음을 터뜨렸다. 다큐멘터리 영화라고 했지만 그 영화는 거의 코미디에 가까웠다. 당대 현실이 얼마나 코믹했던가를 미루어 짐작할 수 있는 일이다. <변호인>이 나왔을 때 대중들은 오랜만에 가슴이 뜨거워졌다. 실화를 소재로 한 영화라고 했지만 그의 삶은 거의 영화처럼 극적이었다. 당대 현실이 얼마나 한 삶을 첨예하게 만들었는가를 알 수 있는 일이다. 거기 두 개의 국밥이 등장한다. 진심이 듬뿍 담겨진 국밥과 거짓으로 채워진 국밥. 어떤 국밥이 우리의 가슴을 훈훈하게 만드는가. 또 어떤 국밥이 먹고 싶은가. 현실의 허기를 채워줄 따뜻한 국밥 같던 그 분이 너무나 그립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