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달달해진 '개콘', 개그우먼 재발견 환영할 일이지만 본문

옛글들/명랑TV

달달해진 '개콘', 개그우먼 재발견 환영할 일이지만

D.H.Jung 2014. 1. 21. 10:04
728x90

여풍 <개콘>, 달달해졌지만 현실풍자 사라져

 

<개그콘서트>남자가 필요 없는 이유가 폐지됐다. 8개월 동안 지속되면서 요물-”이라는 유행어까지 낳은 코너지만 비슷한 상황이 반복되다보니 식상해졌던 것도 사실이다. 그런데 이 코너는 최근 <개그콘서트>에 불고 있는 여풍(女風)을 가장 잘 보여주는 코너였다. 서수민 PD 체제에서 김상미 PD 체제로 넘어오면서 <개그콘서트>가 전면에 내세운 것은 개그우먼들이었다. 지난 1년 동안 <개그콘서트>는 그간 개그에서 상대적으로 소외되어왔던(?) 여심을 잡으려 노력하는 모습이었다.

 

'개그콘서트(사진출처:KBS)'

먼저 폐지된 남자가 필요 없는 이유가 보여주고 있는 것처럼 코너들 중 상당 부분이 남녀관계의 연애심리를 담고 있거나 바탕에 깔고 있는 것이었다. ‘댄수다는 이것을 커플 댄스를 통한 춤으로 풀어냈고, ‘두근두근은 마치 친구처럼 지내왔지만 사실은 연애감정을 가진 남녀의 속내를 끄집어냄으로써 웃음으로 만들었다. ‘끝사랑은 이 남녀 관계의 중년판이고, ‘후궁뎐은 사극판, ‘놈놈놈은 여성 판타지 드라마의 개그판이라고 볼 수 있다.

 

개그우먼들은 거의 모든 코너에서 중심적인 위치로 들어왔다. 힘겹게 살다가 성공했지만 여전히 버려지지 않는 과거의 습관들이라는 섬세한 심리가 돋보이는 누려같은 코너는 과거라면 개그맨들이 나왔을 가능성이 높은 코너다. 하지만 이희경과 박지선이 그 중심을 잡았다. 엔딩 코너로 자리한 뿜엔터테인먼트의 주축 역시 개그우먼이다. “잠시만요! 보라언니-”로 신보라보다 주목받는 박은영이나, 먹방 콘셉트로 빵빵 터트리는 김민경, ‘느낌 아는개그우먼 김지민이 그 주역들이다. 물론 여장한 대상 개그맨 김준호도 빼놓을 수 없다.

 

폭탄 콘셉트로 유민상과 송영길을 내세운 안생겨요나 박성광 특유의 날카로움이 돋보이는 시청률의 제왕역시 여성 관객과 시청자를 겨냥한 코너다. ‘안생겨요가 뭐니뭐니 해도 외모가 먼저 들어올 수밖에 없는 여성들의 심리를 꺼내놓는다면, ‘시청률의 제왕은 여성들의 주 관심사인 드라마들의 시청률 만들기 문법을 꼬집는다. 약간의 세태 풍자가 들어가 있지만 본격적인 현실풍자나 시사풍자에서는 약간 벗어나 있는 게 사실이다.

 

그나마 현실을 좀 더 드러내고 있는 코너는 백수들의 잉여적 삶을 풍자하는 놀고있네나 직장생활의 애환을 에둘러 표현한 편하게 있어정도지만 이 코너들 역시 과거의 최효종이나 동혁이형이 답답한 서민들의 속을 시원하게 뚫어주던 쓴 소리와는 너무나 다르다. <개그콘서트>는 확실히 달달해졌다.

 

<개그콘서트>가 달달해진 이유로 개그우먼들이 전면에 포진한 것을 든다는 것은 자칫 성적 편견이 될 수 있다. 마치 여성들은 현실문제나 시사문제와는 거리가 먼 존재들처럼 치부될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무슨 이유에선지 현재 <개그콘서트>의 개그우먼들이 현실문제와는 점점 거리를 둔 연애담이나 가십거리에서 더 많은 공감 포인트를 얻어가려는 모습은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다. 이것은 자칫 지금껏 전면에 등장하지 않고 소외되어 왜곡된 이미지로 자리했던 것만큼 개그우먼들을 왜곡시킬 위험성이 있다.

 

<개그콘서트>에 그간 남성 개그맨들의 대상으로 혹은 남성들의 시선에 좌우되는(그래서 주로 외모로 웃기는) 모습으로 소외되어 왔던 개그우먼들이 이제 전면에 등장했다는 것은 반갑고도 환영할 일이다. 하지만 그렇게 무대의 중앙으로 들어온 개그우먼들의 역할이 연애담 같은 소소함에만 머물고 있는 건 안타까운 일이다. 달달해졌지만 현실풍자의 쓴 맛이 사라진 <개그콘서트>가 아쉬운 이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