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무한도전' 시청률 낮은 이유, 그럴만했네 본문

옛글들/명랑TV

'무한도전' 시청률 낮은 이유, 그럴만했네

D.H.Jung 2014. 3. 27. 10:09
728x90

방통위는 왜 시청률조사의 문제점을 숨겼을까

 

아마도 TV를 보는 젊은 시청자들은 왜 자신이 재밌다고 생각하는 프로그램의 시청률이 낮은 것에 대해 의아함을 느낀 적이 있을 것이다. 이를테면 최근 방영되고 있는 SBS 드라마 <쓰리데이즈><신의 선물 14> 혹은 MBC 주말 예능 <무한도전> 같은 프로그램이 10% 정도의 시청률에 머물고 있다는 건 쉽게 이해되지 않는다. 젊은 세대들 사이에 모였다 하면 화제가 되는 프로그램들이 아닌가. 2030 세대의 의견이 제대로 반영됐다면 적어도 5%에서 10% 이상은 더 나올 시청률이 아니었을까.

 

'무한도전(사진출처:MBC)'

이처럼 상식적으로 납득이 되지 않는 시청률은 현재의 시청률표만 들여다봐도 쉽게 발견된다. AGB닐슨의 25일자 시청률 상위 10위를 보면, 1KBS 일일연속극 <사랑은 노래를 타고(29.8%>, 2<기황후(26%)>, 3<KBS 9시뉴스(22.8%)>, 4KBS일일극 <천상여자(18.3%)>, 5MBC 아침드라마 <내 손을 잡아(15.8%)>, 6SBS일일극 <잘 키운 딸 하나(13.7%)>, 7KBS TV소설 <순금의 땅(11.9%)>, 8KBS <인간극장(11.7%)>, 9KBS <러브 인 아시아(11.6%)>, 동시 9<KBS 뉴스7(11.6%)> 순이다.

 

아마도 젊은 시청자들은 그런 프로그램이 있기는 있었나 하는 의아함을 느낄 수 있을 것이다. 그도 그럴 것이 아침드라마나 아침 프로그램 그리고 저녁 시간대에 배치된 일일극 등이 상위 10위를 거의 차지하고 있기 때문이다. 2030의 직장인들은 아예 배제된 시청률이다. 한 눈에 띄는 것은 시청률 톱 10위에 KBS의 비율이 단연 압도적이라는 것이다. 25일자만 봐도 <기황후>, <잘 키운 딸 하나>를 빼고는 모두가 KBS 프로그램이다. 이 표만 보면 우리나라 사람들은 거의 KBS만 틀어놓고 사는 것처럼 보인다.

 

최근 한 언론매체에 의해 입수되어 보도된 방통위 시청점유율 조사 검증 연구에는 왜 이런 납득하기 어려운 시청률이 나오고 있는가에 대한 이유가 밝혀져 있다. 2012년과 13년 두 해 동안의 시청률 조사의 문제점을 분석한 이 연구자료를 보면 시청률 조사에 있어서 2030 세대의 의견 반영 비율이 50세 이상의 의견 반영 비율에 절반 정도밖에 되지 않는 것으로 드러났다. 연구자료가 분석한 시청률 조사 연령별 비율을 보면 AGB닐슨은 203021%인데 반해 50세 이상은 41%였고, TNms 역시 203020%, 50세 이상이 39%였다.

 

100% 유선전화를 통해서 이뤄지는 기초조사 역시 국내 10가구 중 3가구가 유선전화가 없는 현실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결국 전화를 받더라도 낮 시간대에 집에 머무르는 노년층이 주된 응답자가 된다는 점이다. 또 소득별로도 월 4백만 원 이상 고소득자가 기준보다 많고 2백만 원 미만 서민층이 적어 서민 의견 반영 역시 제대로 되지 않고 있었으며, 조사에 참여하는 패널 중 무효패널 비율도 조사회사가 발표한 5%의 두 배 이상인 것으로 보고됐다. 무효패널 비율은 닐슨이 10.4%였고 TNms는 무려 30.5%에 달했다. 이 정도면 신빙성 있는 시청률 조사라고 하기 어렵다.

 

시청률 조사는 단지 순위 매기기가 아니다. 시청률은 광고와 직접적인 영향이 있고 또 그렇기 때문에 방송 콘텐츠에도 고스란히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그런데 이처럼 세대 반영 비율이 엉터리인데다, 조사 방식의 허점도 너무 많은 시청률이 여전히 그 프로그램에 대한 잣대로 활용된다는 것은 실로 큰 문제다. 이른바 창조경제를 주창하는 시대에 그 평가지의 역할을 하는 시청률 같은 중대한 수치가 이렇게 제멋대로 만들어져 자의적으로 활용되고 있다는 건 납득하기 어려운 일이다.

 

문제는 방통위와 조사기관이 이런 사실을 영업비밀 혹은 대외비라며 공개하지 않고 숨기려 했다는 점이다. 방통위는 조사기관이 민간회사라는 점을 들어 정부가 민간회사 조사방식을 좌지우지할 수 없다며 발을 빼고 있고, 조사회사들은 영업비밀이라며 집계방식을 숨기고 있는 식이다. 하지만 이런 방식은 공무원들이 책임을 회피하기 위해 민간회사에 업무를 위탁하는 방식과 그다지 다르지 않다. 어찌 시청률 추산 같은 방송의 중차대한 일을 민간회사라는 이유로 방통위가 뒷짐 지고 있는 걸까.

 

이것은 마치 2030세대의 의견이 반영되지 않는 것을 의도적으로 묵인하고 있는 듯한 인상까지 준다. 누구나 알다시피 방송은 저널리즘으로서의 기능도 갖고 있다. 지난 대선의 표가 203050대 이상으로 명확하게 갈라졌던 점을 생각해보라. 젊은 세대의 목소리가 시청률에 반영된 프로그램(뉴스, 시사 프로그램을 포함해 드라마, 예능 전 분야에 걸쳐)은 그 자체로 정치적인 힘을 발휘할 가능성이 높다.

 

물론 시청률이 정치적으로까지 연결되어 있다는 판단은 성급한 것일 수 있다. 하지만 적어도 이렇게 드러난 문제점을 고치지 않고 방관하는 것은 시청자들을 우롱하는 행위다. 실제로 시청자들은 점점 시청률에 대한 신뢰를 잃어가고 있다. 이것은 광고주들도 마찬가지다. 지난해 이 연구의 검증팀이 방송사와 광고대행사 등 78개 기관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 응답자 54개 기관의 무려 94%시청률이 납득이 안돼 조사기관에 문의한 적이 있다고 답했다고 한다. 이런 시청률 조사를 왜 하는 걸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