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고맙습니다’의 또 다른 주연, 푸른도 본문

옛글들/드라마 곱씹기

‘고맙습니다’의 또 다른 주연, 푸른도

D.H.Jung 2007. 5. 29. 01:22
728x90

푸른도라는 살아있는 드라마 세트장에 가다

‘고맙습니다’는 끝났지만 아직도 드라마가 지속중인 곳이 있다. 강한 여운을 남기며 푸른도란 이름으로 세상에 얼굴을 내민 ‘고맙습니다’의 또 다른 주연, 증도다. 그 곳에선 아직도 영신이네(공효진) 집 이야기가 꽃 피어나고, 바닷가에선 까칠한 기서(장혁)와 천진난만한 봄이(서신애)가 어른거린다. 남해여인숙에선 두섭이네 엄마(전원주)가 불쑥 나와 특유의 목소리로 두섭이에게 “으이구 이놈아”하고 말할 것만 같다. 증도를 빠져나가는 선착장에는 석현(신성록)이 도망치듯 차를 타고 배 위로 오를 것 같고, 짱뚱어 다리 앞 정자에선 아직도 영신이와 기서가 함께 술을 마시는 것만 같다. 그 곳에서 사람들은 여전히 ‘고맙습니다’란 드라마 속을 걷는다.

푸른도에 증도가 캐스팅 된 이유
증도는 오지 중의 오지다. 서울에서 간다면 서해안 고속도로를 거의 끝까지 달려서 다시 신안군의 바닷가로 가야 한다. 거기서 먼저 연육교로 연결된 지도로 들어간 후, 다시 사옥도란 섬으로 넘어가야 한다. 사옥도에서 배를 타고 들어가면 비로소 증도에 당도하게 된다. 이렇게 먼 거리까지 가서 굳이 촬영을 해야 할 이유로 작가가 가졌던 시골 삶에 대한 좋은 기억만을 꼽는 것은 어딘지 부족한 것 같다. 그것은 그만큼 멀리 가야만 만날 수 있는 ‘진심’과의 거리를 말해주는 것만 같다.

고마운 일 별로 없는 세상에 던지는 반어법 같은 드라마, ‘고맙습니다’에 대해 이경희 작가는 이 이야기가 수도권에서 더 인기가 있었다는 점을 들면서 시골 사람들에게는 특별한 이야기가 아니었을 것이라 했다. 즉 도시 사람들이 잊고 있던 순수한 세상의 이야기가 공감을 주었다는 이야기. 그래서 도시에선 특별하지만 시골에선 평범한 이야기의 배경을 찾아 증도라는 외딴 섬까지 오게된 것이다. 그것은 이곳에서 촬영된 장소들이 드라마 제작을 위해 지어진 세트가 아니라 실제 거주민의 집이며, 일상생활 속의 도로 위 혹은 바닷가, 시골길이란 점에서 더욱 그러하다. 증도는 푸른도의 배경이 아니라 숨겨진 주연이 분명하다.

고맙습니다, 반갑습니다!

증도에서도 영신네 집은 물때를 맞춰 연육교를 지나야 하는 부속섬 화도에 있다. 마치 보물이라도 숨겨놓은 듯 섬에 섬을 넘어가 당도한 화도에는 그러나 그닥 볼거리가 많지 않다. 그저 섬에 살아가는 사람들과 몇몇 양파밭들이 널려 있을 뿐이다. 포장도 잘 되지 않은 그 길을 따라가면 거기 팻말이 붙어있지 않으면 모르고 지나칠 평범한 영신네 집이 있다.

아직까지 드라마 촬영을 위해 심어놓았던 조화가 남아있는 그 집 앞에서 쭈뼛댈 수밖에 없는 건, 객이 아무 집이나 기웃거리는 기분을 갖게 만드는 영신네 집 구석구석의 사람 손때 때문이다. 그곳은 만들어진 세트장이 아니고 실제 주민이 거주하는 집이다. 문가에서 머뭇거리는 객에게 오히려 손을 내밀어주는 건 주인. “고맙습니다! 반갑습니다!” 주인이 던진 이 말에 용기를 낸 객들은 저 드라마 속 기서가 그랬듯이 집안으로 성큼성큼 들어간다.

마당에는 드라마 내내 나오던 덩달이는 보이지 않고 다른 흰 개가 앉아있다. 알고 보니 이 덩달이는 증도, 보물섬 민박집 개인데 현장에서 캐스팅 되었다는 것. 이유는 잘 짖지 않기 때문이란다. 드라마가 끝나고 덩달이는 다시 민박집으로 돌아갔다고 한다. 드라마를 위해 지어진 기서가 머물던 평범하기 이를 데 없는 방은 명소가 되었다. 그 앞에 앉아 사진 찍고 가는 사람들이 부지기수라고 한다. 객으로 와서 푸른도의 값진 선물을 얻어간 기서처럼 사람들도 얻어 가고픈 것들이 있나보다.

24년 간 이 집에서 살았다는 주인아저씨는 드라마 찍는 내내, 그리고 그 후에도 하루가 멀다하고 우루루 찾아오는 관광객들이 귀찮을 만도 한데 전혀 내색 없이 반가운 기색만 보인다. 외딴 곳을 멀리서부터 찾아주는 객들이 반갑기만 하다는 것이다. “고맙습니다. 반갑습니다.”란 말은 그저 관광객에 익숙해진 멘트가 아니라 진심이 담긴 말이었던 것이다.

푸른도로 기억될 작은 세트장 같은 섬
면사무소가 있는 읍내는 고스란히 ‘고맙습니다’의 세트장이 된다. 도시의 손길이 전혀 닿지 않은 듯한 집들과 가게들이 굳이 세트를 만들지 않아도 시간을 과거로 되돌린다. 영신이 선을 보았던 양지다방과 기서가 묵었던 남해여인숙은 물론이고 섬에 거의 유일한 것처럼 보이는 문방구, 미용실, 가게들은 카메라만 들이대면 그대로 세트처럼 보인다.

섬에 지천으로 널린 양파밭과 증도의 한 가운데 숙명처럼 자리한 태평염전, 갯벌을 뛰어 노는 짱뚱어들을 위한 조형물 짱뚱어 다리, 증도 선착장, 해송들이 아름답게 펼쳐진 우전해수욕장까지 눈 가는 곳 어디에서든 ‘고맙습니다’의 흔적을 발견할 수 있다. 평범해 보이는 바닷물과 햇볕이 빛나는 소금을 만들어내듯 ‘고맙습니다’는 그렇게 증도의 생활 그 자체와 주민들의 선한 얼굴이 만들어낸 보물이 아닐 수 없다.

그렇게 ‘고맙습니다’의 또 다른 주연, 푸른도는 증도라는 생명력 있는 훈훈한 섬의 온기를 입고 탄생했다. 과거 보물이 발굴되어 보물섬으로 불리기도 했던 증도. 이제는 ‘고맙습니다’란 작품을 통해 우리에게 푸른도라는 보물로 영원히 기억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