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사실상 무산된 '대장금2', 무엇이 문제일까 본문

옛글들/드라마 곱씹기

사실상 무산된 '대장금2', 무엇이 문제일까

D.H.Jung 2014. 5. 22. 09:16
728x90

배우도 작가도 곤란케 만든 경영자 마인드

 

사실상 무산된 거나 마찬가지다. <대장금2>에 대해 조심스럽게 나오는 관측이다. 그 촉발점은 마치 이영애가 최종적으로 출연을 고사한 사실에서 비롯된 것처럼 보인다. 물론 이영애가 출연하느냐 아니냐는 <대장금2> 제작의 관건이었다. 그러니 이영애가 빠진 <대장금2>가 과연 가능하겠냐는 것이다. 하지만 결론적으로 말하면 이건 이영애가 아니라 방송사의 일방적인 밀어붙이기가 만들어낸 문제다.

 

'대장금(사진출처:MBC)'

여기에 대해 MBC측은 여전히 <대장금2> 제작 의지를 굽히지 않고 있다. MBC이영애 측과 상호협의가 이루어지지 않을 때를 대비해 마련한 <대장금> 리메이크 드라마 제작 등 후속 방안을 검토 중이라며 한류 콘텐츠 발전을 위해 지속적인 한류 드라마를 개발하고 제작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이러한 MBC의 굽히지 않는 의지만으로 <대장금2>가 제작될 수 있는 건 아니다. 원작자인 김영현 작가는 <대장금2> 집필의 전제조건으로 몇 가지를 제시한 바 있다. 그 첫 번째는 이영애의 출연이고 두 번째는 리메이크는 하지 않는다는 것이었다. 결국 이 두 조건이 모두 깨진 셈이다. 이영애의 출연은 무산됐고, 그럼에도 MBC가 검토 중이라는 리메이크는 애초에 김영현 작가가 하지 않겠다고 못을 박은 사안이다.

 

MBC측의 일방적인 <대장금2> 밀어붙이기는 여러모로 무리한 점이 많았던 게 사실이다. 무엇보다 큰 건 이것이 작가나 배우 같은 실질적인 현장의 요구에 의해 추진된 사안이 아니라는 점이다. 지난 2012년 김재철 전 사장이 일방적으로 <대장금2> 제작 발표를 했고, 새로 취임한 김종국 사장도 이를 거듭 공표했다.

 

출연을 곤란해 하던 이영애를 설득하려 노력했고 역시 집필을 고사하던 김영현 작가를 힘겹게 설득했다. 김영현 작가는 결국 본래 5월 방송 예정이었던 <파천황>을 연기하면서 <대장금2> 집필에 들어가게 되었다. 애초부터 이영애도 김영현 작가도 그다지 원치 않는 <대장금2>였지만 MBC 경영진의 일방적인 밀어붙이기로 어쩔 수 없이 진행되어 왔던 것.

 

이영애와 김영현 작가가 모두 곤혹스러워 했던 데는 그만한 이유가 있다. 이영애의 입장에서 보면 그녀가 엄마 역할로 나오고 딸의 이야기가 전개되는 <대장금2>가 부담스러울 수 있다. 이미 서장금의 그 젊은 이미지로 각인되어 있는 이영애가 이제는 나이 들어 한 발 뒤로 물러난 입장에 서는 모습을 굳이 보여준다는 것은 배우로서는 그다지 원치 않는 일일 수밖에 없다. 그것은 자칫 <대장금>이 그녀에게 만들어준 이미지를 스스로 깰 수 있기 때문이다.

 

김영현 작가의 곤혹스러움은 작가로서는 당연한 일이다. 시즌2에 대한 부담감은 전편의 성공이 크면 클수록 커질 수밖에 없다. <대장금>이 거둔 성과를 떠올려보면 섣부른 시즌2 제작은 그 성과의 가치를 떨어뜨릴 수 있는 결과로 이어질 수도 있다. 게다가 한없이 커져 있는 기대감은 그 이상의 결과물을 요구한다. 사실상 작가로서 얻을 건 별로 없고 잃을 것만 많은 선택이 되는 셈이다. 물론 상업적인 관점으로 본다면 나쁘지 않은 선택일 수 있겠지만 이것도 장기적으로 보면 작가에게는 좋을 것이 없다.

 

또한 한류를 위해서 <대장금2>가 필요하다는 논리도 어찌 보면 너무나 단순하게 여겨진다. 그것은 <대장금2>가 작품으로서 성공했을 때의 이야기다. 하지만 <대장금2>는 워낙 <대장금> 본편의 열풍이 거셌던 만큼 작품의 성패를 쉽게 예측하기가 어려운 상황이다. 1편을 뛰어넘는 속편은 거의 열에 하나 나올까 말까 하다는 게 업계의 정설이 아닌가. 이것은 또한 리메이크의 경우도 마찬가지다. <종합병원>이나 <허준>의 최근 리메이크 성적표를 보면 이건 쉽게 알 수 있는 일이다. 결국 속편은 1편이 만들어낸 한류의 열풍까지 꺼버릴 위험성도 있다.

 

결국 <대장금2> 제작으로 이득을 얻어가는 건 MBC뿐이다. 제작한다는 것 자체로 가져갈 수 있는 해외의 투자 등의 수익이 그렇고 이를 성과로 내세워 경영진이 가져갈 수 있는 정치적인 이익이 그렇다. 하지만 이것은 실제 제작자들의 입장은 전혀 고려되지 않은 경영진들의 일방적인 의욕일 뿐이다.

 

경영자적인 마인드가 좋은 콘텐츠를 만들어내긴 어렵다. 오히려 좋은 콘텐츠가 우선되어야 나머지 경영적인 이득이 성과로 나타나기 마련이다. 따라서 제작자들의 창작 분위기를 최대한 편안하게 만들어주고 지원해주는 것이 경영이 해야 할 일이다. 경영진의 욕심으로 배우도 작가도 곤란한 상황에 빠뜨리고 사실상 무산될 상황에 놓인 <대장금2>의 사례는 본말이 전도된 콘텐츠 제작의 부작용을 단적으로 드러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