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인간중독'의 '색계'와는 닮은 듯 다른 매력 본문

옛글들/영화로 세상보기

'인간중독'의 '색계'와는 닮은 듯 다른 매력

D.H.Jung 2014. 5. 23. 10:42
728x90

<인간중독>, 멜로보다 더 눈에 띈 계급의 풍경

 

<인간중독>1969년을 시대적 배경으로 삼고 있다. 군부정권과 베트남 전쟁은 그래서 이 영화의 중요한 소재다. 베트남과 우리나라를 넘나드는 이야기를 다루고 있지만 이 영화의 공간은 폐쇄적이다. 베트남이란 공간은 김진평(송승헌)이라는 전쟁영웅의 악몽으로서만 잠깐 등장할 뿐이고, 우리나라에서도 다뤄지는 공간은 관사가 거의 대부분이며 음악 감상실이 가끔씩 나올 뿐이다. 그래서인지 이 영화의 주인공들은 어딘지 갇혀 있는 듯한 느낌을 준다.

 

사진출처:영화'인간중독'

그들이 갇혀 있는 건 군대라는 계급사회다. 그 곳은 냄새나는 군화에 맥주와 양주를 말아서 마시라면 단 번에 마시고 머리에 털어내야 하는 곳이고, 누군가는 그 상명하복의 계급구조 안에서 최대한 자신을 낮춰 성공의 기회를 잡고픈 공간이며, 누군가에게는 억지로 그런 행사에 불려 다니며 얼굴을 내미는 것이 해도 해도 어색한 공간이다. 물론 이 놀라운 계급사회는 남편의 지위가 아내의 지위가 될 정도로 단단한 서열구조를 갖고 있다.

 

이 폐쇄적인 계급사회에 어느 날 김진평의 부하로 경우진(온주완)이 들어온다. 그리고 그의 아내 종가흔(임지연)은 마치 이 관사처럼 쓸쓸한 김진평의 마음으로 들어온다. 흥미로운 건 김진평의 아내 이숙진(조여정)이 그가 모시는 군단장의 딸이라는 것이다. 이숙진은 김진평에게 여자라기보다는 야망의 파트너 같은 느낌을 준다. 그녀가 하려는 것은 김진평을 장군 만드는 일이다. 사랑을 나누는 것조차 아이를 낳기 위한 목적성에 충실함을 보이는 그녀. 이 숨 막히는 상황 속에서 이를 벗어나려는 김진평의 욕망은 종가흔이라는 여인에 대한 중독적인 사랑으로 폭발한다.

 

<인간중독><색계>와 비교되고, 신예 임지연이 <색계>의 탕웨이와 비교되는 데는 그만한 이유가 있다. 이 두 영화가 가진 이야기 구조나 영화적인 분위기가 유사하기 때문이다. 두 영화 모두 결코 이루어지기 어려운 사랑과 욕망을 그렸고 그것이 만들어내는 파국을 다뤘다. 파격적인 베드 신을 담고 있지만 결코 경박하게 느껴지지 않는 우아함이 있다. 그것은 그 안에 선명한 주제의식이 담겨져 있기 때문이다.

 

<인간중독>이나 <색계> 모두 남녀 간의 사랑을 가로막는 장벽이 등장한다. 그것은 겉으로 보기엔 똑같은 불륜이지만 그 안을 들여다보면 사뭇 다른 지점들이 발견된다. <색계>즉 욕망이, ‘’, 어떤 넘지 말아야할 경계를 위험하게 넘나들며 만들어지는 비극을 다룬다. 여기서 경계는 중국과 일본 사이에 놓여진 장벽이다. 친일파인 이(양조위)와 그를 제거하려는 항일단체의 스파이 막부인(탕웨이) 사이에 놓여진 넘지 못할 경계.

 

반면 <인간중독>은 지금껏 김대우 감독이 멜로드라마의 형식을 빌어 늘 얘기해왔던 계급구조가 남녀의 사랑을 막는 장벽이다. 군대 사회 안에서 김진평은 갑자기 계급의 틀을 벗어나 사랑과 욕망에 빠져든다. 그것은 타인이 보기엔 탈선이지만 그에게는 운명적인 사랑으로 다가온다. 영화가 마치 사랑과 계급사회의 대결처럼 여겨지는 건 실로 김대우 감독의 의도가 깃들여 있다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사랑을 선택하는 순간, 그는 계급사회 바깥으로 내던져진다.

 

<음란서생>이나 <방자전>이 조선시대라는 사회적 배경을 가져와 당대의 계급사회가 갖는 구조 속에서 그것을 뛰어넘는 음란과 사랑을 대결시켰다면, <인간중독>은 그 계급사회가 엄존하는 1969년의 군대사회를 배경으로 파국적인 사랑을 그려낸다. 이것은 김대우식의 허위 가득한 세상에 대한 도발이다. 사실 민주화된 사회라고는 하나 그 껍질을 벗겨보면 여전히 존재하는 계급구조에 대한 도전.

 

<색계>를 통해 금기된 욕망을 우아하게 풀어내는 쾌감을 느낀 관객이라면 <인간중독>이 보여주는 계급 사회 속에서의 도발적인 욕망을 충분히 즐길 수 있을 것이다. 물론 영화적 성취에 있어서 그 심도의 차이는 있을지 몰라도, <인간중독>은 꽤 우리 사회의 맨얼굴을 멜로드라마라는 익숙한 형식과 그 파격 속에서 보여주는 영화임에는 틀림없다. 물론 빼놓을 수 없는 것이 멜로만큼 흥미롭게 관찰되는 계급의 풍경이지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