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명량'의 바다와 세월호의 바다 본문

옛글들/SPECIEL

'명량'의 바다와 세월호의 바다

D.H.Jung 2014. 8. 26. 09:38
728x90

<명량> 신드롬과 리더십에 대한 갈증

 

이순신 장군의 명량해전을 다룬 영화 <명량>은 이미 신드롬이 되었다. 일찌감치 천만 관객을 예고해버린 이 영화를 보기 위해 하루에 거의 1백만 명이나 되는 관객들이 영화관을 찾았다. 알다시피 명량해전이야 우리나라 사람이라면 누구나 다 아는 사실이다. 모두가 포기했던 그 전쟁에서 단 열두 척의 배로 3백여 척에 달하는 왜군을 깬 조선은 이 절체절명의 위기를 넘어설 수 있었다.

 

그런데 이 다 아는 이야기에 왜 이렇게 신드롬에 가까운 열광이 이어지는 걸까. 그것은 영화의 만듦새가 그만큼 정교했다는 뜻이기도 하지만, 영화 외적으로도 우리가 처한 작금의 현실이 작용했다는 뜻이기도 하다. 그 현실이란 다름 아닌 리더십의 부재이고, 그럼에도 힘겹게 이 나라를 버텨내고 있는 서민들이 갖는 치열함이다.

 

<명량>1977년도에 만들어진 영화 <난중일기>2004년도에 시작해 2005년까지 방영됐던 사극 <불멸의 이순신>과 차별화되는 지점은 바로 이순신 장군을 바라보는 시선에서 비롯된다. <난중일기>가 당대의 반공 분위기에 걸맞는 구국의 영웅 이순신을 그려냈고, <불멸의 이순신>이 성웅이 아닌 인간적인 결점을 가진 이순신의 모습을 그려냈다면, <명량>은 왕이나 국가가 아닌 민초들을 위해 기꺼이 죽음을 향해 나아가는 민중의 영웅 이순신을 그려냈다.

 

영화의 제목이 영웅 이순신이 아니고 <명량>이라는 점은 이 전쟁의 주역이 이순신 장군만이 아닌 함께 싸운 무명의 병사들이나 멀리서 기도를 하는 아낙네에 이르기까지 그 현장에 있던 모든 민초들이라는 걸 암시한다. 따라서 <명량>은 그저 역사의 한 줄에 놓여진 명량해전이라는 특정 사실의 공간이 아니라 하나의 상징적인 공간으로 다가온다. 즉 밑으로는 회오리 파도가 치고 있고, 저 앞으로는 수백 척의 배를 몰고 쳐들어오는 왜군들이 있으며, 그럼에도 이 전쟁을 지원하기는커녕 항명한다며 이들을 핍박하는 통치자들이 존재하는 공간이다.

 

이것은 정확히 현재의 우리네 현실을 환기시킨다. 세월호 참사를 떠올려보면 그 바다와 <명량>의 바다가 얼마나 비슷한 공간으로 다가오는지를 공감할 수 있다. 배가 기울어지는 위기 상황에서 도망치는 선장이나 속수무책 아무런 위기대응능력을 보여주지 못한 정부는 왜적이 쳐들어올 때 제일 먼저 도망쳤던 군신들을 떠올리게 하고, 그럼에도 한 명의 아이라도 더 구해내기 위해 죽음의 아가리 속으로 기꺼이 몸을 던진 교사와 승무원들은 명량의 바다에서 이순신 장군과 함께 감히 살 것을 생각하지 않고목숨을 내던진 병사들과 민초들을 떠올리게 한다.

 

무언가 사건이 터질 때마다, 혹은 국가적인 위기를 맞을 때마다 누구보다 앞장서 그 위기를 넘길 수 있게 해준 건 다름 아닌 국민들이었다. 그러니 이미 역사를 통해 다 알고 있는 이순신 장군의 명량해전을 다시 <명량>이라는 영화로 보며 박수를 치는 것일 게다. 거기에는 적들 앞에 추상같고 민중들 앞에는 한없이 자애로운 아버지 같은, 이순신 장군 리더십에 대한 대중들의 갈증이 있다. ‘살고자 하면 반드시 죽을 것이요, 죽고자 하면 살 것이다라는 그 유명한 말은 그래서 다른 의미로 현재적 울림을 전해준다. 이 땅의 지도자라는 인물들이 저 혼자만의 살길을 찾는다면 그 나라는 반드시 공멸의 길로 가게 될 것이고, 반면 저 스스로 희생하는 리더십을 발휘한다면 위기에 처한 우리를 살릴 것이라는 것. <명량>이 보여주는 것처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