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태연 탈락 논란, '히든싱어'의 명백한 실수다 본문

옛글들/명랑TV

태연 탈락 논란, '히든싱어'의 명백한 실수다

D.H.Jung 2014. 9. 24. 10:41
728x90

<히든싱어> 제작진이 저지른 몇 가지 실수

 

JTBC <히든싱어>에서 소녀시대 태연이 2회전에서 탈락한 사실로 인터넷이 뜨겁다. 탈락한 곡이 태연의 솔로곡이 아니라 소녀시대의 (Gee)’였다는 것은 논란의 빌미가 되고 있다. 즉 자기 파트도 아닌 부분을 태연이 부르게 해놓고 진짜와 가짜를 찾으라는 건 복불복에 가깝다는 것.

 

'히든싱어(사진출처:JTBC)'

사실이 그렇다. 노래의 정체성은 단지 목소리의 정체성만을 얘기하지 않는다. 즉 비슷한 목소리라도 어떤 노래를 어떤 방식으로 발성해 부르느냐에 따라 전혀 다른 느낌을 줄 수 있다는 얘기다. 그러니 소녀시대의 (Gee)’에서 태연이 제 목소리를 내는 건 사실상 자기 파트뿐이다. 혹여나 행사 같은 데서 다른 파트를 부를 수도 있겠지만, 일반 대중들에게 다른 파트를 부르는 태연은 낯선 느낌을 줄 수밖에 없다.

 

즉 소녀시대가 아닌 태연을 <히든싱어>의 무대에 세웠다면 그녀만의 정체성을 드러낼 수 있는 곡이 선별됐어야 했다. 이런 잘못된 선택을 갖고 태연의 경우 소녀시대 보컬로서의 의미가 가장 크다며 그래서 소녀시대의 노래 1을 넣었다는 건 대중들로서는 이해하기 어려운 부분이다. 무려 9명의 목소리가 들어있는 곡이다. 그것 자체도 일반인들은 구별하기 애매모호한데 그런 곡을 갖고 태연의 목소리를 구별해낸다는 건 더더욱 어려운 일이다.

 

물론 조승욱 PD가 왜 이런 논란을 억울해하는지는 이해되지 않는 바가 아니다. 그는 <히든싱어>가 누가 노래를 잘 하느냐를 가리는 경연이 아니며, 또 진짜와 가짜만 가리는 프로그램도 아니고, 싱크로율만 따져 기계적인 판정을 내리는 곳이 아니라고 한 매체와의 인터뷰를 통해 밝힌 바 있다. 그는 <히든싱어>가수의 음악세계와 발자취를 음미하는 시간이라고 했다.

 

좋은 의미다. 하지만 그것은 의미일 뿐, 이 프로그램의 핵심적인 재미 부분을 설명해주지 못한다. <히든싱어>가 그가 말하듯 가수의 음악세계와 발자취를 음미하는 시간이라면 그냥 팬 미팅을 하거나 몇 주년 기념 쇼를 하면 된다. 굳이 <히든싱어>라는 형식을 빌어서 무대를 꾸밀 필요가 없다는 얘기다.

 

<히든싱어>의 핵심적인 재미는 그가 부정하는 부분에 다 들어가 있다. 가수와 일반인이 함께 무대에 오르지만 실제 이름과 얼굴이 가려져 있고 오로지 목소리로만 들리는 무대에서 누가 노래를 더 잘할까가 대중들은 궁금하다. 또 자신이 뽑은 인물이 진짜인지 아니면 가짜인지가 궁금하고, ‘싱크로율이 높으면 높을수록놀라움을 느끼게 된다. <히든싱어>라는 프로그램에서 이런 재미 부분을 떼어놓으면 남는 건 그저 밋밋한 팬 미팅이라는 점이다.

 

바로 이 재미 부분을 부각시켰기 때문에 이 프로그램은 승승장구한 것이다. 그런데 태연 탈락의 논란이 불거지면서 이 재미 부분이 핵심이 아니고 오히려 다른 의미가 핵심이라고 말하는 건 궁색한 변명이다. 태연 탈락 논란에는 <히든싱어> 제작진의 명백한 잘못과 실수가 들어 있다.

 

사실 아이돌 그룹을 <히든싱어> 같은 프로그램에 세운다는 건 여러 모로 무리가 따르는 일이다. 아이돌 그룹은 리드 보컬이라고 해도 전체 곡 속에 일부로서 기능할 수밖에 없다. 하지만 제작진이 태연의 곡 선정을 통해서 거론한 것처럼 그 리드 보컬은 아이돌 그룹을 배제하고는 온전한 정체성을 보여주기 어렵다. 여기에 자가당착이 있다. 그런 이유로 아이돌 그룹이 단체로 부르는 곡을 선정해 놓으면 이번 태연 탈락 논란 같은 사태는 언제든 벌어질 수 있다. 그래서 뒤늦게 제작진은 앞으로 아이돌 그룹 출연은 없을 것이라고 못을 박았다.

 

조승욱 PD 말대로 중도 탈락이 불명예가 되지 않는 곳이 바로 <히든싱어>. 조성모의 탈락은 어떤 면에서는 그 옛 목소리를 여전히 기억하고 똑같이 재현해내는 놀라운 팬심으로 읽혀질 수도 있다. 하지만 이건 탈락했냐 아니냐의 문제가 아니라 합당한 룰에 의해 탈락했냐 아니냐의 문제다.

 

새로운 시도들을 하는 과정에서 누구나 실수와 시행착오는 겪을 수 있는 일이다. 하지만 그 실수와 시행착오가 훗날의 거름이 되기 위해서는 이를 스스로 인정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물론 본인은 전혀 의도한 바가 아닐 것이다. 따라서 억울할 수 있다. 하지만 그렇게 의도하지 않아도 벌어진 명백한 실수와 잘못을 다른 이유를 들어 자꾸 부정하는 건 대중들과 함께 호흡하는 제작진이 취할 자세는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