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제보자'가 우리에게 그토록 제보하고 싶었던 것 본문

옛글들/영화로 세상보기

'제보자'가 우리에게 그토록 제보하고 싶었던 것

D.H.Jung 2014. 10. 6. 09:36
728x90

<제보자>, 왜 모두가 아는 얘기를 영화로 만들었나

 

사실 <제보자>의 이야기는 대한민국 국민이라면 누구나 다 아는 이야기다. 줄기세포 연구로 난치병 질환을 가진 이들의 희망이 되어버린 이장환 박사(이경영), 하지만 그것이 완전히 조작되었음을 제보하는 그와 함께 줄기세포 연구를 해온 심민호 팀장(유연석), 그리고 그 제보를 받아 진실을 파헤치는 <PD추적>의 윤민철 PD(박해일). 이 영화는 누가 봐도 이름만 바꿔 놓았을 뿐, 나라를 떠들썩하게 만들었던 황우석 사건을 다루고 있다.

 

사진출처: 영화 <제보자>

영화는 일찌감치 윤민철 PD의 입을 통해 관객들에게 질문을 던진다. “진실이 우선이냐 국익이 우선이냐. 그러자 돌아오는 답변이 기막히다. “진실이 국익이라는 것이다. 바로 그 말 한 마디로 윤민철 PD는 온 나라가 열광하는 이장환 박사의 숨겨진 진실을 파헤치기 시작한다. 하지만 정계는 물론이고 언론까지 쥐락펴락하고 무엇보다 마치 세상을 구원하는 구세주처럼 혹세무민하는 이장환 박사에 의해 오히려 진실을 파헤치려는 이들은 나라 팔아먹는 매국노로 치부된다.

 

이 영화는 너무나 사실을 기반으로 하고 있어서 마지막까지 미리 이야기를 설명해도 전혀 스포일러가 되지 않는다. 물론 극화된 부분들이 있지만 결국 이장환 박사의 실체가 드러나고 진실이 승리하는 그 결과는 다르지 않다. 그러니 궁금해지는 대목이 있다. 이렇게 모두가 다 알고 있는 이야기를 왜 굳이 다시 영화로 만들었을까.

 

<제보자>가 보여주려는 건 제목에서도 드러나듯 진실을 끝까지 포기하지 않고 추적하는 이들의 심지어 숭고하기까지 한 그 모습이다. 마지막에 결국 방송이 나가지 못할 위기에 처하자 윤민철 PD의 상사인 이성호 팀장(박원상)우리 구속되자고까지 말한다. 인터넷에 방송을 내버리고 구속됨으로써 세상에 진실이라도 알리자는 것이다. 이것은 대단히 숭고한 행위로 그려지지만 거꾸로 보면 진실 하나를 밝히는 것도 구속까지 감수해야 하는 이 나라에 대한 개탄이기도 하다.

 

영화는 애국주의와 경제지상주의가 만났을 때 과학마저 사이비 종교처럼 광신의 늪에 빠져버릴 수 있다는 걸 보여준다. 거짓 희망이 불꽃처럼 일어나고 그것이 진실을 밝히려는 이들 앞에서 광기로 돌변하는 모습을 보는 건 답답하고 씁쓸한 일이다. 관객들은 그 광기의 과정들을 보며 답답해한다. 그러면서 사리사욕을 위해 인간의 생명을 갖고 장난질을 한 이장환 박사의 실체가 드러나길 간절히 기대한다.

 

이 개탄스런 현실과 간절한 기대. 이것을 <제보자>는 진실을 밝히는 이들의 편에서 서서 그려내며 관객들에게도 똑같은 감정이입의 경험을 제공한다. 제보자의 입장이 되어보는 것. 그래서 세상이 얼마나 무섭고 그 무서운 세상에서 진실 하나만을 밝혀내려는 것이 얼마나 힘겨운 일이라는 것을 똑같이 경험해보는 것. 아마로 이러한 간접경험은 누군가에게 엄청난 폭력으로 다가올 섣부른 집단적 광기를 최소한 의심하게 만들어줄 것이다.

 

<제보자>는 그래도 진실의 손을 들어준다. 하지만 현실이 어디 그런가. 진실보다는 국익운운하는 논리 앞에 쉽게 호도되는 게 우리네 현실이다. 이것은 영화를 보고 나오는 발걸음에 대단히 씁쓸한 마음을 갖게 만든다. 그만큼 어렵다는 것이다. 우리가 사는 현실이 헛된 망상에도 쉽게 흔들릴 만큼 힘들다는 것이다. 그나마 이렇게 용기를 내 진실을 포기하지 않는 이들이 있어 다행이라는 것이다. <제보자>는 그래서 지금도 어느 구석엔가 현실 때문에 진실을 포기한 채 근근이 버티며 살아가는 이 땅의 무수한 잠재적 제보자들에 대한 위로 같다. 어떤 상황에도 진실은 살아있다는 것. 그리고 거기에 이 험악한 세상의 가녀린 희망이 있다는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