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스펙 없는 장그래, 회사생활 잘하는 비결 본문

옛글들/드라마 곱씹기

스펙 없는 장그래, 회사생활 잘하는 비결

D.H.Jung 2014. 11. 17. 09:53
728x90

장그래와 장백기, 스펙과는 상관없는 사회생활

 

<미생>에서 장그래(임시완)라는 인물은 하나의 판타지처럼 보인다. 현실적으로 스펙 없는 그가 원 인터내셔널 같은 대기업에 입사한다는 것은 불가능한 얘기처럼 느껴지기 때문이다. 게다가 그는 회사 내에서의 자잘한 일들 속에서도 그 누구보다 잘 적응하고 또 위기상황을 넘기는 기지를 발휘한다.

 

'미생(사진출처:tvN)'

새롭게 온 박과장(김희원)의 비리를 파헤치는데 결정적인 한 방을 날리는 장그래의 행동은 일개 사원으로서 할 수 있는 것처럼 보이지 않는다. 사회생활을 경험하지 못한 신입사원이라면 그런 핍박받는 상황에서 장백기(강하늘)처럼 행동하는 것이 당연할 것이다. 드라마 속에서 스펙 좋은 장백기는 바로 그 점 때문에 자신의 자존심을 꺾지 못한다. 당장의 것들만 눈에 보이고 좀 더 큰 그림은 보이지 않는 것이다.

 

하지만 장그래는 다르다. 그는 이 박과장 같은 상식 이하의 선임의 명령을 반발 없이 수행하며 집으로 돌아와 자기가 바둑공부를 할 때 적어뒀던 내용을 펼쳐든다. ‘위험한 곳을 과감하게 뛰어드는 것만이 용기가 아니다. 뛰어들고 싶은 유혹이 강렬한 곳을 외면하고 묵묵히 나의 길을 가는 것도 용기다. 순류에 역류를 일으킬 때 즉각 반응하는 것은 어리석다. 상대가 역류를 일으켰을 때 나의 순류를 유지하는 것은 상대의 처지에서 보면 역류가 된다. 그러니 나의 흐름을 흔들림 없이 견지하는 자세야말로 최고의 방어수단이자 공격수단이 되는 것이다.’

 

웬만큼 회사생활을 경험한 사람도, 또 스펙이 아무리 좋은 사람도 결코 생각해내기 어려운 삶의 지혜다. 바로 이 지점은 왜 <미생>이 굳이 주인공 장그래를 스펙 없는 청춘으로 그리는 대신, 그에게 유년시절을 온통 바둑이라는 세계 속에서 살게 했는가가 잘 드러나는 지점이다. <미생>은 그저 직장생활의 애환을 다루는 것처럼 보이지만, 그것은 또한 그 애환 속에서도 어떻게 버텨내는가에 대한 노하우도 담겨져 있다.

 

<미생>에서 그것은 바둑의 세계로 제시된다. 장그래라는 인물이 비현실적이지만 그래도 수긍이 가는 이유는 그가 스펙은 없어도 바로 이 바둑을 이해하고 있다는 설정 때문이다. 겉으로 보면 평범 이하처럼 보이지만 그는 비범한 인물이다. 그런데 여기서 궁금해지는 점이 있다. 왜 하필 바둑을 세상살이의 지침으로 삼았을까. 바둑의 어떤 점이 그토록 힘겨운 상황 속에서도 장그래 같은 인물조차 회사생활을 잘 할 수 있게 하는 걸까.

 

이것은 바둑이라는 세계가 가진 현실을 내려다볼 수 있는 특징 때문이다. 바둑판이 하나의 현실이라면 그 위에 바둑돌 하나씩을 얹어 어떤 결과가 나오는지를 끊임없이 확인할 수 있는 세계가 바로 바둑의 세계다. 그러니 이러한 관조적 자세는 바둑이 세상 현실을 한 발 뒤로 물러나 바라볼 수 있게 하는 힘을 만들어준다.

 

바로 이 한 발 뒤로 물러난다는 것은 아마도 세상살이에서 가장 중요한 일인지도 모른다. 시스템이라는 괴물과 싸우고 있는 우리네 샐러리맨들은 그 시스템 안에 있기 때문에 괴물의 정체를 발견하기가 어렵다. 하지만 장그래처럼 바둑 같은 자신만의 축소판을 갖고 있는 이들에게는 한 발 물러나 그 시스템을 확인하고 대처할 수 있는 식견을 가질 수 있다.

 

이것은 현재 스펙사회에 대해 <미생>이라는 작품이 하고 싶었던 이야기일 것이다. 영어, 수학 점수 좀 더 많이 나온다고 사회생활을 더 잘하는 건 아니라는 것이다. 그보다는 세상을 보는 눈을 가져야 한다는 것. <미생>은 바둑을 예로 들고 있지만, 그것은 여행 같은 세상 경험일 수 있고, 인문학 서적 같은 세상 공부일 수도 있다. 장백기가 보여주는 것처럼 스펙은 어쩌면 자신의 발목을 오히려 잡는 족쇄가 되기도 한다. 이것이 <미생>이라는 작품을 통해 장그래라는 판타지적인 인물이 현실에 던지는 질문이 결코 비현실적이지 않은 이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