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피노키오', 미생 이종석과 박신혜는 완생이 될까 본문

옛글들/드라마 곱씹기

'피노키오', 미생 이종석과 박신혜는 완생이 될까

D.H.Jung 2014. 11. 22. 11:57
728x90

<피노키오>, 이 청춘들이 처한 현실 과연 옳은가

 

SBS <피노키오>에서 최인하(박신혜)피노키오 증후군이라는 이유로 MSC 입사 시험 최종 면접에서 떨어진다. 거짓말을 못한다는 건 기자로서 결격사유에 해당한다는 것이 이유. 그녀를 떨어뜨린 MSC 보도국의 에이스이자 그녀의 엄마이기도 한 송차옥(진경)은 이렇게 말했다. “무수한 거짓말들 위에 떠오르는 게 진실이라고.

 

'피노키오(사진출처:SBS)'

이것은 아마도 우리네 언론이 가진 현실일 것이다. 일단 보도 아이템을 만들기 위해서는 거짓말이 아니라 그 이상도 해야 하는 게 작금의 언론이다. 과거 송차옥이 보도를 좀 더 임팩트있게 만들기 위해 아이들이 사고를 당한 현장에서 아이 신발(사실은 마트에서 산)을 들고 리포트를 하거나, 홍수보도를 하면서 무릎밖에 물이 안차는 데도 무릎을 꿇고 허리까지 차는 것처럼 꾸며 방송에 내보내는 것. 그런 자극과 연출은 물론 풍자적으로 과장된 것이지만, 아마도 사실을 사실 그대로 보여주기보다 침소봉대하는 건 지금의 언론이 처한 경쟁적인 현실일 수밖에 없다.

 

엄마이면서도 딸에게 그토록 무정한 송차옥이라는 인물은 그래서 일을 위해서라면 뭐든 할 인물처럼 극화되어 있다. ‘얼음마녀로 불리는 송차옥은 <피노키오>라는 드라마에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맡았다. 바로 냉혹한 현실을 보여주는 캐릭터. 그녀는 최달포(이종석)네 가족을 과장 추측 보도로 파탄 낸 기자이기도 하다. <피노키오>는 그래서 이 현실을 대변하는 얼음마녀 송차옥과 그 현실과 대결하는 최달포와 최인하라는 청춘들을 다루고 있다.

 

청춘들이 일의 세계 속으로 들어와 부조리한 세상과 대결하는 이야기는 최근 드라마들의 화두가 된 느낌이다. <미생>의 장그래(임시완)는 도무지 바뀌지 않는 이 지독한 현실 속에서 스스로를 미생이라 치부하는 것으로 위안을 삼는다. 무언가 거창한 꿈이나 이상을 더 이상 펼칠 수 없는 현실. 그러니 꿈이나 이상이란 하나의 사치처럼 되어버렸다.

 

따라서 이 미생의 청춘은 세상이 잘못된 것이 아니라 자신의 노력이 부족한 것이라고 말한다. 그렇게 노력하며 하루하루를 버텨내는 삶에서 위안을 찾으려 한다. 하지만 그런 위안은 없다. 그렇게 버텨낸 삶의 결과가 바로 오과장(이성민)이기 때문이다. 그의 삶은 장그래와 다를 바 없는 여전한 미생이다.

 

<오만과 편견>의 청춘 한열무(백진희)나쁜 놈들 잡는 것이 검사의 책무라 생각하지만 검찰의 현실은 너무나 다르다는 것을 실감한다. 정의 같은 이상만 갖고 덤볐다가는 오히려 깨지기 십상인 곳이 바로 이 조직의 현실이다. 제 아무리 명백한 심증이 있다고 해도 위로부터 덮으라면 덮어야 하는 게 조직생활의 또 다른 룰이 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 드라마의 현실을 제대로 보여주는 문희만(최민수) 검사 같은 인물 앞에서 한열무의 치기는 마치 어린아이의 투정처럼 비춰진다.

 

거짓말이 기자의 덕목이 되는 언론의 현실. 꿈을 갖기보다는 하루하루를 버티는 삶에 의미를 부여하는 직장의 현실. 또 정의보다 조직의 룰이 앞서는 공권력의 현실. 이건 과연 정상적인 것일까. <미생>이 입체적으로 보여주는 것처럼 이런 현실 앞에 서 있는 미생의 청춘들은 그렇게 하루하루를 버텨낸다고 완생으로 거듭날 수 없다. 또 완생으로 거듭난다고 해도 그것은 현실에 아무런 변화를 주지 못한다. 오히려 현실의 시스템의 공고함을 확인하는 것일 뿐.

 

우리가 <피노키오><미생> 그리고 <오만과 편견> 같은 드라마를 보면서 그 속의 판타지에 열광하다가도, 한편으로 막막함을 느끼게 되는 건 바로 이 어찌 할 수 없을 것처럼 공고하게 구축된 부조리한 현실을 거기서 발견하기 때문이다. 그 앞에서 청춘들은 고개를 숙일 수밖에 없다. 하지만 과연 이런 청춘들 앞을 가로막는 현실은 옳은가. 도대체 무엇이 아무런 잘못이 없는 그들을 현실 앞에 마치 죄인처럼 서게 만들었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