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피노키오' 이종석, 이 먹먹함의 실체는 무엇일까 본문

옛글들/명랑TV

'피노키오' 이종석, 이 먹먹함의 실체는 무엇일까

D.H.Jung 2014. 12. 12. 09:11
728x90

<피노키오>, 장르가 멜로를 쓰려면 이 정도는 해야

 

네가 혹시 기하명이야? 너 진짜 이름이 기하명이야?” 최인하(박신혜)는 결국 최달포(이종석)가 자신의 어머니 송차옥(진경)의 악의적인 오보에 의해 희생당한 가족의 한 사람이었다는 걸 알게 됐다. 그 사실을 알고 흘리는 최인하의 눈물은 어떤 의미일까. 그건 불행한 일을 겪은 최달포에 대한 연민일까, 아니면 그 일에 자신의 어머니가 연루되어 있다는 사실이 예감케 하는 두 사람의 비극적인 관계에 대한 슬픔일까.

 

'피노키오(사진출처:SBS)'

아마도 둘 다 아닐 것이다. 그것보다 더 큰 것은 최인하가 송차옥의 딸이라는 사실을 알면서도 최달포가 그녀에게 보여준 사랑에 대한 눈물일 것이다. 최달포에게서 멀쩡히 웃고 있어도 마음 한 구석이 아련해지는 이유는 바로 그 복수심조차 눌러버린 사랑의 위대함 때문이다. 그는 오히려 최인하가 이 진실 때문에 받을 상처를 걱정하고 있으니 말이다. ‘감추고 싶은 진실을 가장 알면 안 되는 사람이 알아버렸다고 그는 말한다.

 

이것은 <피노키오>라는 장르물이 멜로를 활용하는 방식이다. <피노키오>는 그저 양념으로서의 멜로가 아니라 장르적 상황을 더 극적으로 만드는 방식으로 멜로를 사용한다. 기자와 언론의 세계를 다루는 드라마이니만큼 <피노키오>진실의 문제에 천착하고 있다. 하지만 진실이라는 것은 양면이 있기 마련이다. 그것이 누군가에게는 상처가 되기도 하기 때문이다. 그것을 <피노키오>는 멜로라는 틀을 가져와 보여준다.

 

거대담론으로서의 진실의 문제를 다루는 것은 어쩌면 드라마로서는 그다지 효과가 없을 지도 모른다. 그것은 다큐나 르뽀의 영역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피노키오>는 그래서 이 진실의 문제에 최달포와 최인하의 사랑이라는 코드를 깔아놓음으로써 지극히 사적인 영역으로 공적인 이야기까지를 보여준다. ‘진실의 문제는 지극히 이성적일 수밖에 없겠지만, 이렇게 멜로로 엮어놓으면 지극히 감성적이고 가슴 아픈 이야기로 재탄생된다.

 

최달포와 최인하의 멜로는 어찌 보면 무거워질 수밖에 없는 <피노키오>라는 드라마에 가벼움을 만들어주는 장치로서도 활용되었다. 즉 두 사람이 툭탁대며 싸우기도 하고 때로는 알콩달콩한 관계를 보여주는 장면들은 로맨틱 코미디가 주는 소소한 재미들을 만들어내기에 충분하다. 물론 이 소소한 관계들의 축적은 숨겨진 진실과 맞닥뜨리게 되면 거대한 비극으로 돌변하기도 하지만.

 

흔히들 장르물에 멜로가 들어가면 왠지 장르물을 망치는 것처럼 얘기되지만, 사실 멜로가 무슨 죄가 있을까. 다만 그 멜로를 어떻게 장르와 잘 붙여서 운용하느냐의 문제가 있을 뿐이다. 그런 점에서 보면 <너의 목소리가 들려>에 이어 복합장르를 연달아 선보인 박혜련 작가는 이 부분에서는 베테랑이라고 할 수 있다. <피노키오>가 멜로를 끌어들여 장르물의 극적 긴장감과 이완을 적절히 풀어내고 있는 것은 바로 이 박혜련 작가의 공이다.

 

긴박감 넘치는 언론의 기막힌 이면들을 보여주면서도 그 속에 사랑하는 남녀의 때론 코믹하고 때론 달달하며 때론 절절해지는 멜로를 이물감 없이 봉합해내는 것. 멜로를 쓰려면 이 정도는 해야 되지 않을까. <피노키오>는 그걸 잘 보여주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