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님아, 그 강을...' 신드롬, 우리 사회의 무얼 건드린 걸까 본문

옛글들/영화로 세상보기

'님아, 그 강을...' 신드롬, 우리 사회의 무얼 건드린 걸까

D.H.Jung 2014. 12. 13. 08:07
728x90

울고 싶은데 뺨 때린 <님아, 그 강을..>

 

도대체 무엇이 대중들로 하여금은 손수건을 챙겨 영화관으로 향하게 했을까. <님아, 그 강을 건너지마오> 신드롬을 들여다보면 시쳇말로 울고 싶은데 뺨 때린영화들이 가진 힘에 새삼 놀라게 된다. 물론 이 독립 다큐멘터리는 그 자체로도 충분히 가치를 지니는 영화지만 그것이 신드롬의 차원으로 이어진 데는 외적인 요인이 적지 않았다는 점이다.

 

출처:영화 <님아 그 강을 건너지마오>

작년 말에 개봉해 올해 초에 신드롬을 이끌었던 <변호인>이나 올 여름 신드롬을 만든 <명량>도 마찬가지다. 영화적인 가치를 떠나 이들 작품들은 모두 현실의 대중들이 갖고 있던 정서의 뇌관을 건드렸다. <변호인>이 서민들을 향해 있지 않은 법 정의의 문제로 대중들을 울렸다면, <명량>은 세월호 정국으로 드러난 리더십 부재의 현실에 대한 반작용으로서 이순신이라는 영웅을 소환했다. 영화를 보러간다기보다는 억눌린 정서를 잠시나마 풀어내기 위해 극장에 가는 기현상이 벌어졌던 것.

 

<님아, 그 강을 건너지마오> 신드롬 역시 이 흐름과 맞닿아 있다. 유난히 많은 사건사고들로 점철된 한 해를 겪어내며 애써 눈물을 참아왔던 대중들이 아닌가. 이 영화는 마치 그 한 해를 참았던 묶은 눈물들을 쏟아내는 일종의 씻김굿의 현장처럼 다가왔다. 사람들은 이미 입소문에 의해 그 내용들을 거의 다 알고 있다. 하지만 그게 무슨 상관일까. 이 영화는 내용을 확인하는 게 중요한 게 아니다. 그 안에 들어가 비로소 함께 울고 있다는 그 공존의 위안을 갖는다는 것. 그것이 더 중요한 일이다.

 

그렇다면 이 영화가 모두를 함께 울게 만드는 그 힘은 어디서 나올까. 그건 지극히 평범한 사람들의 사랑과 이별, 죽음 같은 우리네 삶의 본질적인 것들에서 나온다. 결국은 모두가 맞닥뜨릴 수밖에 없는 죽음 앞에 서서야 비로소 보이는 삶의 본질. 거기에 헛된 욕망들이 만들어내는 삶의 좌절들은 그다지 중요한 것이 아니다. 취업전쟁과 팍팍해진 현실, 경제적 불황과 양극화 같은 좌절들마저 죽음 앞에서는 소소해진다.

 

그 앞에서도 어르신들이 서로를 아끼고 사랑하는 모습은 실로 아름답다. 그것은 현실로부터 탈주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그 현실이 가려놓은 삶의 본질로 들어가는 일이다. 그 아름다움이 주는 감동은 그것이 우리가 진짜 살아가야할 본질이라는 깨달음과 함께 더욱 큰 울림을 갖는다.

 

우리는 이 영화를 통해 현실에서 발 하나를 떼어 밖으로 나와 비로소 그 현실을 다시 보게 된 것이다. 오랜만에 모인 자식들이 의견다툼을 벌이는 모습을 보며 이제 죽음을 앞둔 어르신이 그 메마른 눈에서 펑펑 눈물을 쏟는 모습은 그래서 삶의 본질을 보지 못하고 겉돌며 살아가는 현대인들의 마음을 먹먹하게 만든다.

 

강을 건너가려는 님을 앞에 두고서야 비로소 그 님이 얼마나 귀중한 존재인지를 깨닫는 것이 우리네 미천한 삶인지도 모른다. 그리고 그 님이란 존재는 사랑하는 사람이기도 하지만 우리네 소중한 삶 그 자체이기도 할 것이다. 그러니 삶이 힘들고 지쳐서 도무지 견디기 힘든 서민들이 작정하듯 손수건 하나씩을 들고 이 영화관을 찾는 것이다. 85분 동안의 웃음과 눈물은 우리네 삶의 본질을 찾는 시간이 된다. 먹먹한 감동에 영화관을 나서는 발길이 들어갈 때보다 가벼워져 있는 건 그래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