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가족끼리 왜이래', 유동근의 시한부가 가져올 파장 본문

옛글들/드라마 곱씹기

'가족끼리 왜이래', 유동근의 시한부가 가져올 파장

D.H.Jung 2014. 12. 15. 10:17
728x90

<가족끼리 왜이래>, 뻔해 보여도 눈을 뗄 수 없는 까닭

 

<가족끼리 왜이래>는 전형적인 KBS표 주말드라마다. 여전히 대가족이 등장하고 자식들은 저마다 부모 맘 같지 않아 속을 썩인다. 가족 갈등은 드라마의 메인 테마이고 거기에 신데렐라 상황과 결혼 문제도 빠지지 않는다. 이 정도는 KBS 주말드라마의 공식이라고도 말할 수 있다. 무수히 많이 봐왔던 가족드라마와 <가족끼리 왜이래>는 그다지 달라 보이지 않는다.

 

'가족끼리 왜 이래(사진출처:KBS)'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상하게도 이 드라마는 한 번 보면 눈을 떼기가 어렵다. 거기에는 지극히 보편적인 이야기일 수밖에 없는 불효자식들부모 맘 몰라주는행동들이 마음을 서늘하게 한다. 사는 게 바쁘다는 핑계로 자주 들여다보지도 않고, 또 언제나 늘 그렇듯이 도움을 주던 부모라는 존재를 마치 당연하다는 듯이 살아가는 현대인들이라면 이 뻔해 보이는 이야기가 가진 울림이 의외로 커질 수 있다.

 

주말 가족드라마 같은 장편 드라마는 획기적인 아이디어보다 더 중요한 것이 드라마의 운용이다. 어떤 갈등을 전면에 내세우고, 또 그 갈등이 향후에 가장 큰 이야기 줄거리와 어떻게 연결되어 더 큰 폭발력을 만들어내는가 같은 효과는 드라마 운용의 능력이 좌우하기 마련이다. 또 드라마가 전체적으로 너무 무겁거나 우울하게만 흘러가도 문제이고, 그렇다고 너무 가볍기만 한 것도 피해야 한다.

 

그런 면에서 보면 <가족끼리 왜이래>는 드라마 운용 면에서 작가의 노련함을 느낄 수 있는 드라마다. 이 드라마는 특히 드라마의 분위기를 적절히 유지해내는 균형 감각이 탁월하다. 아버지 차순봉(유동근)이 자식들에게 뭐든 오냐오냐 해주며 자신은 정작 바보처럼 살아가는 모습을 보이던 초반부만 해도 이 드라마가 지나치게 아버지 신파로 흘러가는 건 아닌가 하는 의구심을 만들었던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차순봉이 갑자기 자식들을 상대로 불효자식 소송을 단행하면서 드라마는 침체된 분위기를 다시 띄웠다. 그래서 그 기조에 이 차순봉이라는 아버지의 가슴 아픈 부성애를 바탕에 깔아놓고는 그 위는 코믹한 전개로 흘러가게 하는데 성공했다. 차강심(김현주)과 문태주(김상경)의 밀고 당기는 관계는 로맨틱 코미디의 설정을 그대로 따라가면서 드라마에 전형적인 혼사장애 문제를 심어 넣어 유쾌한 활력을 불어넣는다. 김상경이 왜 문태주라는 인물을 연기하면서 이토록 과장된 연기변신을 했는가가 이해되는 대목이다.

 

이 가볍게 터치해나가는 드라마의 분위기는 결국 차순봉의 시한부 인생이 밝혀지는 그 순간의 폭발력으로 이어질 수밖에 없다. 아무 것도 모르고 웃고 즐기던 그 분위기가 사실은 아버지 차순봉의 희생과 배려 안에서 가능했다는 걸 알게 되는 순간 자식들이 어떤 반응을 보여줄 것인가는 그래서 이 드라마의 클라이맥스에 해당한다.

 

KBS 주말드라마의 성격상 전통적인 시청층인 부모 세대들이 이 드라마의 주 시청층일 수밖에 없다. 그러니 이 차순봉으로 대변되는 아버지의 입장은 고스란히 부모 세대의 마음을 울린다. 자식이 유명한 의사지만 정작 그 자식이 아버지의 병조차 모르고 있다는 아이러니는 이 시대 모든 잠재적 불효자들의 부채감을 만들어낸다. 그래서 뒤늦게 사실을 알게 된 불효자들의 회한은 의외로 거대한 힘을 발휘한다.

 

죽음이란 너무나 보편적이어서 어찌 보면 뻔해 보이기까지 하는 소재가 된 지 오래다. 하지만 그 뻔하게 여겨온 우리의 잘못이 더 클 수도 있을 것이다. 최근 영화 <님아, 그 강을 건너지 마오> 신드롬을 통해서 볼 수 있듯이 그 죽음에 대한 대중들의 반응은 과거보다 훨씬 더 깊어졌다. 그만큼 우리가 주변에서 죽음을 더 많이 접하게 되면서 생겨난 자각일 것이다. <가족끼리 왜 이래>의 차순봉이란 아버지가 매일 적어가는 버킷 리스트는 그래서 너무 뻔하게 여겨지면서도 마음을 움직이는 힘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