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언브로큰', 일반화하지 않은 안젤리나 졸리의 선택 본문

옛글들/영화로 세상보기

'언브로큰', 일반화하지 않은 안젤리나 졸리의 선택

D.H.Jung 2015. 1. 10. 09:49
728x90

도대체 <언브로큰>의 무엇이 일본 극우세력을 자극 했나

 

‘19세 최연소 올림픽 국가대표, 47일간의 태평양 표류, 850일간의 전쟁 포로.’ 영화 <언브로큰>은 이 몇 줄만으로도 충분히 그 드라마틱한 이야기를 가늠하게 만든다. 게다가 이건 실화다. 1940년대 미국에서 영웅으로 추앙받았던 루이 잠페리니가 실제 겪었던 삶.

 

사진출처: 영화 <언브로큰>의 안젤리나 졸리 감독

이 드라마틱한 삶이 전하는 메시지는 간단하지만 강렬하다. “버텨낼 수 있다면 할 수 있다는 것. 우리 식으로 미생의 삶도 버텨내면 완생이 될 수 있다는 얘기와 일맥상통한다. 루이가 그 고난의 삶을 버텨내는 장면들은 아무런 삶의 목표가 없이 부유하던 그가 형의 충고로 하게 된 달리기를 닮았다. 숨이 턱 끝까지 차올라도 그 순간을 버텨냄으로써 승리의 영광을 차지한 것처럼, 그의 삶은 죽음의 문턱에서도 포기할 줄을 몰랐다.

 

루이의 삶이 워낙 드라마틱하다보니 영화는 마치 세 개의 영화를 붙여놓은 듯한 인상마저 준다. 그가 달리기를 하는 앞부분이 인간승리를 보여주는 스포츠 휴먼드라마라면 전쟁에 참전했다가 바다에 표류해 47일간을 버텨내는 중간 부분은 마치 <라이프 오브 파이>를 보는 듯한 서바이벌 이야기처럼 보인다. 그리고 850일 간의 전쟁 포로 생활을 보여주는 마지막 부분은 마치 일제 치하의 암울했던 우리네 역사를 보는 듯한 참혹한 전쟁물의 느낌으로 다가온다.

 

일본의 극우세력이 일본 내 상영금지와 감독인 안젤리나 졸리의 입국금지를 요구하고 나아가 이 영화에서 라고 불리는 잔인한 일본군 와타나베 역할을 한 록스타 미야비를 추방해야 한다는 얘기까지 나오게 된 건 영화의 마지막 부분인 일본 수용소 이야기 때문이다. 일본 극우세력들은 미야비가 재일교포 3세라는 사실을 들먹이며 영화의 이야기가 완전한 날조라고 주장하고 있다.

 

하지만 <마루타> 같은 고전영화를 통해 우리가 확인한 것처럼 <언브로큰>이 그리고 있는 일본군의 이야기는 오히려 너무나 순화된 느낌마저 준다. <언브로큰>의 원작에는 생체실험과 인육을 먹이는 장면까지 들어 있다고 한다. 하지만 안젤리나 졸리는 이런 장면들을 영화 속에 담지 않았다.

 

안젤리나 졸리는 이런 민감한 역사적 사안을 피하려고 한 것은 아니지만 그렇다고 노골적으로 일본을 적대적으로 그리려고도 하지 않은 흔적이 역력하다. 영화 속에는 미군의 폭격으로 죽은 일본 민간인 시체들이 길바닥에 나뒹굴고 있는 장면도 살짝 들어가 있다. 그만큼 어느 한쪽의 편을 든다기보다는 전쟁 자체의 참혹함을 다루려 했다는 점이다.

 

무엇보다 이 영화는 일반화를 하려 하지 않는다. 이야기는 루이 잠페리니가 겪은 개인사에 집중되어 있다. 그 드라마틱한 생존의 과정들을 담으면서 전하려는 메시지는 위대한 인간의 의지에 대한 것이지 2차 세계대전 당시 일본군의 잔학함을 폭로하려는 것이 아니다. 심지어 일본군 포로 수용소에서의 루이의 고난을 다루면서 그것이 일본군 전체의 이야기가 아니라 와타나베라는 개인적인 인물의 문제로 그리려한 점도 그렇다.

 

안젤리나 졸리는 일본을 일반화하려 하지 않았다. 루이가 겪은 특별한 사건으로 다루려 했다는 점이다. 아마도 이런 일반화를 하지 않으려는 선택으로 인해 영화는 심지어 조금 담담한 느낌마저 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본의 극우세력들이 이를 문제 삼고 있는 건 이들이 얼마나 시대착오적인 사고방식을 갖고 있는가를 잘 말해준다.

 

오히려 <언브로큰>이 흥미로운 건 이 영화가 최근 우리네 대중문화에도 똑같이 불어 닥친 버텨내는 삶에 대한 메시지를 담고 있다는 점이다. 무언가를 성취하려는 삶이 혹독한 현실 앞에서 포기된 건 전 세계적인 경향이 아닐까. 이제는 어디서든 버텨내라 그러면 해낼 수 있다는 미생의 삶을 얘기하고 있는 상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