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살인의뢰', 범죄물이 이토록 먹먹해진 까닭 본문

옛글들/영화로 세상보기

'살인의뢰', 범죄물이 이토록 먹먹해진 까닭

D.H.Jung 2015. 3. 19. 10:09
728x90

<살인의뢰>, 범죄물에 담긴 사형제에 대한 질문

 

어느 날 갑자기 가장 사랑하는 사람이 살인마에 의해 희생되고 그 시신조차 찾을 수 없게 된다면 그 무너지는 억장과 고통을 과연 시간이 치유해줄 수 있을까. 심지어 그 살인마가 죄를 뉘우치기는커녕 세상을 비웃으며 버젓이 교도소 안에서 잘 살아가고 있다면? 아마도 당사자만이 그 고통을 알 수 있을 것이지만, 상상만으로도 끔찍한 일이 아닐 수 없다. <살인의뢰>는 이 고통스러운 피해자들의 처절한 몸부림을 담은 영화다.

 

사진출처: 영화 <살인의뢰>

여기 출연한 김상경은 과거 <살인의 추억>의 그 형사를 떠올리게 하는 어딘지 탱자 탱자 형사 일을 하는 인물처럼 등장한다. 연쇄살인이 벌어지고 있지만 마치 강 건너 불구경하듯 한다. 다만 살인범의 단서가 아니면 살인범 비슷하게 생긴 놈이라도 잡아오라고 쪼아대는 반장 때문에 등 떠밀려 현장을 하릴없이 도는 그런 인사다. 그런데 이런 한가로움은 순식간에 깨져버린다. 남 일이 내 일이 되는 순간이 그의 안온한 삶은 송두리째 깨져버린다.

 

살인을 즐기는 초유의 연쇄살인마의 잔인함과 그를 쫓는 형사들의 이야기는 <살인의뢰>가 전형적인 범죄물이라는 걸 말해준다. 실제로 영화는 그 범죄물의 전개양상인 격투와 추격 같은 액션들이 전체 내용을 차지한다. 하지만 이 살벌할 수밖에 없는 범죄물이 사형제에 대한 담론을 담아내고, 그간 상대적으로 잘 드러나지 않았던 피해자들의 고통을 강도 높게 다루면서 이야기의 정서는 조금씩 변해간다.

 

처음에는 피와 살이 튀는 잔인한 살육과 보복의 이야기처럼 다가오지만 차츰 그 연쇄살인마를 죽이려고 하는 이들의 간절한 심정에 동조하게 되면서 영화는 먹먹하게 보는 이들의 가슴을 파고든다. 그러면서 그 먹먹함은 자연스럽게 현재 우리네 사형제가 갖고 있는 모순과 부조리들을 떠올리게 만든다. 무엇 때문에 살인마들은 저렇게 보호받으며 살아가고 있는데(그것도 아주 잘) 피해자들은 이토록 깊은 고통 속에서 헤어나지 못하고 피폐해져야만 하는 걸까.

 

우리네 영화판에서 살인마가 등장하는 범죄물들은 너무나 많이 쏟아져 나와 식상해진 게 사실이다. <살인의 추억>이 어떤 깊이 있는 울림을 가진 범죄물의 시작을 보여줬고 <추격자>가 장르적으로 성공한 이후 우리는 무수히 많은 싸이코패스들이 등장하는 범죄물들을 접했다. 그 범죄물들은 실제 현실에서 벌어지기도 했던 흉흉한 연쇄살인사건과 맞물려 대중들에게는 부채감과 분노를 풀어내는 일종의 대체물처럼 흥행을 가능하게 했다. <아저씨> 같은 영화는 범죄물에 이제 판타지적 요소를 덧붙여 현실에 부재한 정의를 대리하면서 큰 성공을 거두었다.

 

그러니 이렇게 많이 쏟아진 범죄물들의 리스트에 <살인의뢰>가 올라간다는 건 결코 좋은 시작은 아닐 것이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살인의뢰>는 기존의 범죄물이 주는 분노와 카타르시스적인 효과 이상의 새로운 정서를 제공해주기에 충분한 작품이다. 피가 튀는 끔찍한 범죄물을 보면서 마음 한 구석이 아려지는 경험을 하기란 쉽지 않은 일이다.

 

물론 극화된 면이 있지만 <살인의뢰>는 범죄물 그 이상의 진지한 질문을 담아낸다. 사형제 폐지라는 어찌 보면 당연한 인권적인 선택처럼 보이는 이야기는 사실 이 영화를 통해 들여다보면 전혀 피해자의 인권은 고려되지 않고 있다는 걸 알아차리게 해준다. 이런 문제제기를 어떤 주의 주장이 아니라 가슴을 먹먹하게 만드는 정서적인 틀로 전해주고 있다는 것. 게다가 범죄물이 가진 장르적 재미를 포기하지 않으면서 이런 이야기를 건넨다는 건 이 영화가 가진 중요한 성취로 여겨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