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풍문의 시대, '무도' 식스맨과 소셜포비아 본문

옛글들/명랑TV

풍문의 시대, '무도' 식스맨과 소셜포비아

D.H.Jung 2015. 4. 10. 12:31
728x90

<무도> 음모론, 이런 재미없는 소설은 왜 퍼질까

 

<무한도전> 식스맨에 장동민이 내정되어 있다는 찌라시는 한 보도매체에 의해 단독으로 기사화됐다. <무한도전>측은 펄쩍 뛰었다. 그도 그럴 것이 내정되어 있었다면 <무한도전>은 일종의 대국민 사기극을 벌인 셈이 된다. 아무리 찌라시라지만 있을 수도 없는 일이고 또 있어서도 안 되는 일이다.

 

'무한도전(사진출처:MBC)'

하루 간의 해프닝으로 끝난 일처럼 보이지만 이런 근거 없는 찌라시의 풍문이 버젓이 단독기사로 올라온다는 사실 뒤안길에는 섬뜩한 면이 있다. 사실과는 다른 이야기가 아예 사실처럼 둔갑되어 언론에 단독보도 되는 상황. 이건 정상적일 수가 없다. 만일 누군가 사실과 다른 그 풍문의 당사자로 지목된다면 그건 심각한 피해를 초래할 수 있다.

 

최근 개봉한 영화 <소셜포비아>는 이 네트워크로 얽혀 있는 우리 사회가 가진 집단적인 폭력의 양상을 다룬 영화다. 거기에는 당사자의 진실 따위는 중요하지 않고 누군가 믿고 싶은 그럴 듯한 글에 호도되는 군중들이 등장한다. 그들은 집단적으로 모여 진실을 파헤친다는 빌미로 한 사람을 파괴시킨다. 그의 신상을 털어버리는 건 고스란히 알몸으로 세상에 던져놓는 것과 마찬가지다. 사회적 살인은 그렇게 이루어진다.

 

드라마 <풍문으로 들었소>에서는 이 증권가 찌라시에 어떻게 풍문이 사실로 변신해 올라오는가 하는 그 과정을 담아낸다. 언니가 상류층 자제와 스캔들을 일으키자 동생인 서봄(고아성)은 시아버지의 권력을 이용해 역으로 풍문을 퍼트린다. 그 풍문을 통해 언니가 상류층 자제를 쫓아다녔던 사실은 역전된다. 찌라시라는 게 얼마나 풍문에 민감하고 또 그렇기 때문에 누군가에 의해 조작되고 이용되기 쉬운가를 잘 드러내는 대목이다.

 

이태임과 예원이 <띠동갑내기 과외하기> 촬영 중 벌어진 반말과 욕설 사건은 무수한 풍문들을 만들었다. 이태임의 욕설 수준이 입에 담기조차 힘든 것이었다는 얘기까지 돌았다. 풍문은 속성상 자극적일수록 더 군중들의 귀에 꽂히기 마련이다. 그리고 그렇게 여러 사람의 귀로 전달되면서 마치 사실처럼 호도된다. 여기에 언론이 나서서 현장검증까지 해서 못을 박으면 그건 확실한 사실로 둔갑한다. 그 과정에서 한 사람은 매장될 수도 있다. 영화 <소셜포비아>의 내용과 하등 다를 것이 없는 상황이다.

 

풍문이 사실화되는데 가장 큰 역할을 하는 건 언론이다. 언젠가부터 언론은 정확한 팩트를 검증하기에 앞서 우선 자극적인 내용을 단독보도 하는데 혈안이 되어 있다. 인터넷이 뉴스의 장이 되면서 속보전이 가속된 결과다. 과거에는 찌라시로 대변되는 카더라 통신들과 언론 사이에 분명한 선이 그어져 있었는데 지금은 그 선을 구분하기 어렵게 되었다. 어떤 게 사실이고 어떤 게 거짓인지 도무지 알 수가 없다. 대중들은 그래서 그저 믿고 싶은 바를 믿는 지경에 이르렀다.

 

이런 풍문들은 주로 대중문화 관련된 이슈들 속에서 나오고 있지만 그렇다고 다른 분야 이를 테면 정치나 경제 같은 분야의 이슈들에 카더라 통신이 없다는 건 착각이다. 대중문화 분야는 이를테면 디즈니랜드 효과를 만들어내는 지점일 뿐이다. 대중문화의 소식들이 풍문으로 가득 차 있어서 믿을 수 없게 보여지게 만드는 진짜 의도는 그 바깥의 소식들을 진짜처럼 착각하게 만들기 위함이다.

 

우리는 이미 소셜포비아의 시대로 접어들었다. 그 소셜포비아는 풍문이 촉발시키고 언론이 사실화해버리면서 이에 쏠린 군중들이 확산시킨다. 여기서 중요한 건 언론이다. 그 많은 풍문들 중 하나를 콕 집어내는 역할을 해주는 게 언론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지금의 언론은 위에서는 점잖은 글들을 쓰면서도 저 아래에서는 신입 인턴 기자를 앞세워 풍문을 단독 보도시키는 그런 일들도 한다.

 

<무한도전> 식스맨 장동민 내정설은 한 마디로 소설이다. 이렇게 짜고 치는 고스톱은 옛날이라면 먹힐지 몰라도 요즘처럼 리얼리티쇼화 되는 예능에서는 오히려 재미를 반감시키고 나아가 프로그램을 위기에 몰아넣을 수도 있다. 이제 10주년을 맞은 <무한도전>이 뭐가 아쉬워 이런 무리수를 둔단 말인가. 이런 관점으로 보면 이런 내정설을 누군가 만들어 배포한 사람들이 어떤 음모를 갖고 있는 건 아닌가 하는 생각을 갖게 된다. 이것 역시 풍문의 시대를 살아가며 생겨난 못된 습관이겠지만. 이럴 때일수록 언론의 역할은 더 무거워질 수밖에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