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징비록'과 '화정', 무능한 왕은 어떤 비극을 낳나 본문

옛글들/드라마 곱씹기

'징비록'과 '화정', 무능한 왕은 어떤 비극을 낳나

D.H.Jung 2015. 4. 15. 10:03
728x90

선조의 내우외환, 통지자의 자격은 어디에 있나

 

새롭게 시작한 MBC 사극 <화정>은 광해군(차승원)의 이야기다. 하지만 이 이야기는 광해군의 비극을 낳은 선조(박영규)로부터 시작된다. 임진왜란을 전혀 예측하지도 못하고, 막상 전쟁이 발발하자 도성과 백성들을 버리고 파천을 거듭한 왕. <화정>에서 광해군이 선조의 사후에 그토록 불안정한 집권 속에서 가까운 이들까지 숙청해버리는 일을 하게 된 건 선조가 광해군을 세자로 앉히고도 든든한 지지를 해주지 않았기 때문이다.

 

'화정(사진출처:MBC)'

독살이 의심되는 선조의 죽음 앞에서 광해군은 그 숨겨놓았던 울분을 토해낸다. 결국 이렇게 될 것이면서 왜 자신을 그렇게 밀쳐내려 했는가 토로하며 죽어가는 선조에게 자신은 아버지와는 다른 왕이 될 것이라고 선언한다. 그리고 선조가 자신을 그렇게 미워했던 이유가 자신이 아버지와는 달랐기 때문이라고 말한다. 임진왜란을 통해 능력을 인정받고 또 백성들의 지지를 한 몸에 얻은 세자 광해군. 반대로 왕이지만 백성의 손가락질을 받는 선조. 선조의 질투가 이런 비극을 낳았다는 것.

 

선조의 무능함이 어떤 비참한 결과로 국가를 이끄는가를 잘 보여주는 또 다른 사례는 <징비록>에서의 선조의 모습이다. <징비록>은 임진왜란 당시 선조가 해온 일련의 잘못된 선택들을 하나하나 아프게도 꺼내 놓는다. 파천을 그토록 반대하는 류성룡(김상중)을 결국 좌천시켜버리고, 임진왜란의 첫 승리를 거둔 신각(박경환)을 상관의 명을 어겼다는 이유로 참수시킨다. 뒤늦게 그 사실은 안 선조는 이를 되돌리려 하지만 이미 형은 집행된 후였다.

 

무능한 왕을 대신해 승전보를 가져오는 이들은 하나같이 왕의 그늘 바깥으로 밀려나 있던 인물들이다. 전라좌수사로 바다를 지켜 왜군의 보급로를 끊어버린 이순신 장군이 그렇고(그는 심지어 무고를 당해 훗날 백의종군하게 되지 않던가), 의병으로 분연히 일어나 전세를 바꾸어버린 곽재우 장군이 그렇다. 이렇게 되니 왕에 대한 지지는 바닥으로 떨어질 수밖에 없다. 선조가 이순신을 질투했다는 얘기가 그저 풍문만은 아니라 여겨지는 건 그래서다.

 

중요한 건 왜 이 무능한 왕 선조가 현재 방영되고 있는 두 사극에서 동시에 다뤄지고 있는가 하는 점이다. 물론 두 사극에서 선조는 중심인물은 아니다. 하지만 이 사극들이 갖고 있는 비극적인 이야기의 어떤 시발점을 제공하고 있다는 것만은 분명한 사실이다. 왜 이토록 무능한 왕의 실정이 지금 현재 사극의 어떤 배경이 되고 있는 걸까.

 

<화정>의 김이영 작가가 밝힌 것처럼 사극은 과거의 이야기가 아니라 현재의 이야기다. 그것이 현재 우리에게 어떤 울림을 주기 때문에 굳이 그 시점의 이야기가 다시 그려진다는 것이다. 선조의 시대가 전쟁과 정쟁으로 피폐된 나라 살림과 이로 인해 굶주리는 백성들의 시대로 기록된다는 건 그래서 의미심장한 일이다.

 

<화정><징비록>은 그런 점에서 다른 시각으로 보면 통치자의 자격은 어디에 있는가 하는 질문을 던진다. 왕은 한 사람에 불과할지 모르지만 그 한 사람의 무능함은 엄청난 비극을 불러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