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앵그리맘'도 꺼낸 재난, 왜 현실은 그대로인가 본문

옛글들/드라마 곱씹기

'앵그리맘'도 꺼낸 재난, 왜 현실은 그대로인가

D.H.Jung 2015. 5. 2. 09:12
728x90

<앵그리맘>의 무너진 학교가 더 가슴 아픈 건

 

MBC <앵그리맘>은 학교의 붕괴를 예고했던 드라마다. 썩어버린 재단과 제왕적인 권력을 휘두르는 이사장, 가진 자들은 대를 이어 잘못을 저지르고도 죗값을 받지 않는 행태, 상대적으로 처벌이 가벼운 아이들을 이용하기 위해 학교 폭력에까지 손이 닿아 있는 조폭들, 심지어 학생들과 부적절한 관계를 맺는 교사까지. 이것이 학교가 맞나 싶을 정도의 참담함을 그려내는 드라마다.

 

'앵그리맘(사진출처:MBC)'

그러니 이 학교의 붕괴가 실제로 건물이 무너지는 이야기로 전개되는 것이 하나도 급작스럽게 다가오지 않는다. 거기에는 명성재단의 비리가 연루되어 있다. 정부 지원을 받아 별관을 신축하면서 지원금을 빼돌린 것. 결국 부실공사가 이뤄지고 건물은 무너지고 말았다.

 

무너진 건물이 상기시키는 건 그러나 무너진 학교의 현실만이 아니다. 그 학교는 다름 아닌 우리 사회의 축소판처럼 보이기 때문이다. 위에서부터 썩어버린 빗나간 교권은 고스란히 건물에 깔려버린 학생들을 희생자로 내몰았다. 이것이 작년에 벌어진 세월호 참사를 떠올리게 하는 건 당연하다. 그 세월호 참사의 침몰한 배를 보며 우리는 심지어 국가의 침몰을 떠올렸다. 그리고 그 후 제대로 된 조사와 사후관리가 전혀 되지 않는 과정을 보며 지금은 사회 정의의 침몰을 떠올리고 있다.

 

사실 우리네 대중문화 콘텐츠들은 지금껏 그토록 많은 재난들을 다뤄왔다. 그리고 그 재난의 이야기들은 여지없이 그 원인으로 국가의 무능을 지목했다. 봉준호 감독의 <괴물>을 떠올려보라. 이 영화가 말하는 진짜 괴물은 저 한강에서 출몰하는 그 괴물이 아니라 무능함만을 드러내며 통제력을 잃어버린 국가라는 괴물이었다.

 

김성수 감독의 영화 <감기>에서도 바이러스보다 더 무서운 재난은 결국 정부였다. 바이러스와 싸우는 것이 아니라 정부의 통제와 싸우는 시위대가 등장하는 건 그래서다. 이 영화 속에서 종합운동장에 수천 구의 시체가 쌓여(심지어는 아직까지 죽지 않은 생존자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살처분 되는 장면이 그토록 충격적으로 다가왔던 건 국민을 호명할 뿐 사람으로 바라보지 않는 정부의 냉혹함 때문이었다.

 

<앵그리맘>의 이야기가 뼈아픈 것은 최소한 이런 재난의 이야기가 최소한 벌어지지 않아야 할 공간으로서 학교마저 이제는 예외가 아니라는 것을 보여주기 때문이다. 물론 이것은 이미 세월호 참사를 통해 무수히 사라져간 꽃다운 학생들의 안타까운 이야기를 통해 현실이 되어버렸지만.

 

다리가 무너지고 백화점이 붕괴되고 배가 침몰하면서도 여전히 이 재난의 위험은 사라지지 않았다. 그 때마다 제대로 된 조사와 처벌이 이뤄지지 않고 그저 덮여지며 지나가버렸기 때문이다. 거기에는 <앵그리맘>이 보여주는 것처럼 결코 무관하지 않은 기득권들과의 결탁이 존재한다. 언제까지 이 재난의 위험을 방치하며 살아갈 것인가.

 

<앵그리맘>이 붕괴된 학교를 통해 상기시킨 세월호 참사의 아픈 이야기는 그래서 우리가 결코 외면해서는 안 되는 일이다. 그것은 또 어느 순간에 <앵그리맘>이 보여줬던 그 드라마의 이야기를 현실로 만들어버릴 수도 있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