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화정', 왜 지리멸렬해졌을까 본문

옛글들/드라마 곱씹기

'화정', 왜 지리멸렬해졌을까

D.H.Jung 2015. 6. 3. 10:16
728x90

<화정>, 역사를 뛰어넘으려면 이야기가 흥미로워야한다

 

MBC 월화 사극 <화정>의 그 시작은 대단히 야심찼다. 사극이나 역사가 그러하듯 한 사람의 시각을 따라가기보다는 다양한 시각들을 욕망의 차원에서 다루겠다는 포부. 그래서 광해군 시절을 그리지만 거기에는 다양한 인간 군상들의 욕망과 그 좌절이 그려진다. 인목대비(신은정)는 자식들을 지키려는 보호본능에 외척 세력들이 더해지면서 오히려 두 자식을 모두 잃어버리는 결과를 맞이한다.

 

'화정(사진출처:MBC)'

그 중 한 명인 정명공주(이연희)는 그러나 구사일생으로 살아나 왜국으로 팔려가게 되고 거기서 유황을 다루는 기술을 배워 조선으로 돌아와 광해에 대한 복수를 꿈꾼다. 한편 강주선(조성하)은 광해를 끌어내리기 위해 배후에서 음모를 꾸미는 인물이고, 김개시(김여진)나 이이첨(정웅인)은 광해에게 충성을 다하는 인물이지만 그들 역시 광해를 등에 업고 권력을 욕망하는 자들이다.

 

어찌 보면 이렇게 많은 인물들이 가진 저마다의 욕망과 그 부딪침이 만들어가는 역사적 사건들을 다룬다는 건 대단한 야심이다. 그런데 이것이 생각만큼 쉽지가 않다. <화정>은 초반 시작은 그래서 광해의 이야기를 축으로 그려졌다. 그가 아버지 선조(박영규)를 밀어내고 또 형인 임해군(최종환)은 물론이고 정명공주의 아우인 어린 영창대군(전진서)까지 제거할 수밖에 없는 과정들이 흥미롭게 다뤄졌다. 거기에는 왕으로서의 어쩔 수 없는 선택과 인간적인 아픔이 교차되는 광해가 그려졌다.

 

그런데 문제는 이야기의 축이 이제 광해에서 정명으로 넘어가는 그 과정에서 그 극의 힘이 대폭 줄어들었다는 점이다. 보통의 사극은 한 인물이 중심에 서면 그 인물을 통한 다양한 갈등과 긴장감으로 극을 고조시킨다. 하지만 이야기의 축이 바뀌니 정명이 다시 그 극적 긴장감을 새로 만들어내야 하는 위치에 서게 되었다. 하지만 왜국까지 넘어갔다가 다시 조선으로 돌아오는 정명의 이야기는 다채롭긴 해도 생각만큼 시청자들의 몰입을 만들어내지는 못하고 있다.

 

그것은 정명의 이야기가 너무 상상력에 의존한 허구에 기반한다는 점 때문이다. 광해의 이야기는 역사적 사건들이 재해석된다고 볼 수 있지만 정명의 이야기는 마치 이 <화정>이라는 사극을 위해 맞춰진 이야기처럼 보인다는 점이다. 이 사극은 화기도감의 유황을 다루는 기술을 정명이 가져온 것으로 설정하고 있지만, 일본에서 기술을 전파한 김충선(본명 사야가)이나 이미 임진왜란 당시에 비격진천뢰를 만들었던 우리네 화포 기술의 이야기는 빼놓고 있다.

 

물론 이것은 정명이라는 인물에 더 초점을 맞추기 위한 극적 선택일 것이다. 요즘처럼 역사적 사료보다는 상상력에 더 집중하는 사극의 시대에 이런 정도의 여지는 있을 수 있다. 하지만 그것은 이런 이야기를 위한 선택이 더 효과적으로 다가왔을 때의 이야기다. 굳이 역사적 사실을 달리 해석하고 이야기하면서 극적 효과가 떨어진다면 도대체 그런 왜곡을 왜 시도한단 말인가.

 

어찌 보면 화기도감에 대한 광해의 집착은 정명이라는 인물이 왜국을 통해 다시 궁궐로 들어오는 드라마적 장치에 의해 만들어진 것처럼 보이기도 한다. 이러한 부자연스러움은 지금 현재 <화정>이 초반의 집중력과 달리 지리멸렬해지고 있는 이유다. 여기에 얹어진 멜로는 그래서 더더욱 사극을 힘 빠지게 만드는 원인이 된다. 사건이 극적으로 자리를 잡았을 때 얹어지는 멜로는 힘을 부가할 수 있지만 거꾸로 그렇지 못했을 때 들어간 멜로는 본래 극적 이야기마저 흐트러뜨리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 모든 것들보다 더 큰 문제는 인물들의 사적인 욕망들이 역사적 사건들과 부딪치는 지점에서 발생하는 부담이다. <왕좌의 게임> 같은 미드는 역사가 아니다. 그렇기 때문에 인물들이 저마다의 욕망을 드러내고 그것을 통해 나름의 역사를 구성하는 건 오히려 흥미진진해질 수 있다. 하지만 <화정>은 역사적 인물들을 다루는 사극이다. 이 인물들이 취하는 사적인 행동들이 실제 역사를 구성한다는 점에서 <화정>의 개개인의 욕망을 다루는 시각은 정교하게 그려지지 않는다면 역사를 너무 비루하게 만들 위험성도 있다.

 

야심이 너무 컸던 것일까. <화정>이 본래의 의도대로 다양한 인간군상의 욕망들을 다루겠다면 그 인물들을 매력적으로 그려낼 필요가 있다. 허무하게 초반에 죽어간 이덕형(이성민)을 떠올려보라. 그의 죽음이 시청자들에게 어떤 강한 인상을 남겼는지 잘 모르겠다. 김개시가 초반에 그토록 강렬한 인상을 남겼지만 지금껏 별로 활용이 되지 않고 있다는 것도 의문이다. 심지어 주인공인 정명이 그렇게 매력적으로 다가오지 않는 건 치명적이다.

 

이것은 이연희의 연기력 문제가 아니다. 사극이 그저 흘러가듯이 이야기 흐름에만 급급하다보니 정작 재미의 강조점들을 놓쳐버리면서 생기는 문제다. 지금 <화정>에게 필요한 건 그 집중력이 흩어진 인물들의 매력을 되살리는 것이다. 역사를 상상력을 통해 재구성하고 뛰어넘으려면 그 새로운 이야기가 흥미롭고 그 안의 인물들이 그만큼 매력적이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