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영화가 예언 했나 현실이 영화 같은가 본문

옛글들/네모난 세상

영화가 예언 했나 현실이 영화 같은가

D.H.Jung 2015. 6. 7. 09:21
728x90

메르스 공포로 다시 화제 된 영화들의 공통점

 

2013년 김성수 감독의 영화 <감기>가 다시 주목받고 있다. 메르스 공포 때문이다. 마스크를 쓰고 다니는 사람들이 점점 많아지고, 발병자들이 많이 발생한 도시의 거리는 마치 유령도시가 된 듯 텅 비어가고, 사람과 사람 사이의 신체접촉은 극도로 민감해진다. 물론 바이러스가 주는 공포는 그 자체로도 우리를 압도하지만, 이보다 더 큰 공포는 통제가 제대로 되지 않는 콘트롤 타워의 부재다. <감기>는 그걸 보여줬다.

 

'사진출처:영화 <감기>'

초기에 진압되어야 할 바이러스가 정부의 뒤늦은 대처로 인해 일파만파 퍼져나가고, 삽시간에 나라를 공포에 휩싸이게 만드는 이야기들은 현재의 메르스 사태를 비슷하게 보여주는 것만 같아 소름끼친다. 무엇보다 국민들의 동요를 막기 위함이라며 정보를 숨기려는 자들로 인해 오히려 더 큰 혼란이 벌어지는 일련의 과정들은 너무나 판박이다. 이럴 때일수록 좀 더 투명하게 정보를 공유하고 한 마음으로 대처해 나가도 모자랄 판이 아닌가. 하지만 지지율에나 더 신경 쓰는 자들은 쉬쉬하거나 책임을 전가할 누군가를 찾기에 바쁘다.

 

<감기>의 가장 충격적인 장면은 종합운동장을 가득 메운 시체들을 살 처분 하는 광경이다. 그 안에는 아직도 살아있는 생명이 있지만 이미 그곳에 격리되고 버려진 이상 그들은 더 이상 생명으로 대접받지 못한다. 통제되지 않는 정부의 콘트롤 타워는 바이러스와 싸우기보다는 들끓는 민심들을 향해 오히려 총구를 겨눈다. 물론 이것은 영화가 연출한 극적인 장면일 것이지만 그것이 현실이 될 것만 같은 공포를 준다는 건 실로 씁쓸한 일이다. 이건 영화가 예언한 것인가 아니면 현실이 너무나 영화 같은 것인가.

 

우리네 재난 영화들을 보면 대부분 그 문제는 재난을 일으키는 장본인보다 이에 대처하지 못하는 정부의 엇나간 콘트롤 타워에서 비롯된다. 물론 봉준호 감독 스스로는 납치극이라고 얘기했지만 <괴물>은 적어도 관객들에게는 너무 많은 기시감을 준 영화였다. 분향소에서 가족들이 뒹굴며 오열하는 장면은 영화가 상영된 이후에도 우리나라에서 반복적으로 벌어진 그 많은 재난들을 통해 봐왔던 장면들이다. 작년 세월호 참사는 안타깝게도 그 많은 재난 속 장면을 또 다시 보여주었다. <괴물>은 그래서 지금까지도 묻고 있다. 진짜 괴물은 누구인가를.

 

2012년 방영된 <연가시>에서도 감염의 공포만큼 더 공포스럽게 등장한 건 공권력의 무능이었다. 무수한 사람들이 연가시보다 재난 대처능력이 떨어지는 정부의 무능 때문에 죽어나간다. 정부의 콘트롤 타워가 제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게 되면서 위험에 처한 이들이 기대는 것은 가족뿐이다. <연가시>에서 경제적인 문제로 가족에게 부채감을 느끼고 있는 가장은 그래서 죽어라 뛰어다닌다.

 

그런데 이 <괴물>이나 <감기>, <연가시>가 공통적으로 가족들의 사투를 그려내고 있는 걸 보다보면 참담한 우리네 현실을 새삼 떠올리게 된다. 국가나 정부의 보호를 받지 못하고, 심지어는 잘못된 콘트롤 타워가 그 기득권을 유지하기 위해 국민을 포기하는 상황 속에서 이제 믿을 건 가족들밖에 없다는 이 절절함. 메르스 사태가 감염자를 병수발하다 또 다른 감염자를 낳으며 더 확산됐던 그 이면에는 이 믿을 건 가족뿐이라는 절망적인 인식이 자리하고 있었던 건 아닌가.

 

보건당국은 스스로 격리하라고 하고 스스로 손발을 씻고 개인위생에 철저하라고 한다. 많은 사람들이 모이는 곳을 피하고 가급적 야외 활동을 하지 말라고 한다. 뭘 자꾸만 하라고 하고 또 하지 말라고 하지만 과연 그들은 국민들을 위해 뭘 하고 있는지 잘 모르겠다. 영화가 예언한 건 재난 그 자체가 아니다. 그건 재난에 대처하는 정부의 자세였다. 지금 이 정부의 자세는 마치 현실이 아닌 영화를 보는 것만 같아 씁쓸하기 이를 데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