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가면', 수애가 덧씌워진 가면을 벗는 시간 본문

옛글들/드라마 곱씹기

'가면', 수애가 덧씌워진 가면을 벗는 시간

D.H.Jung 2015. 6. 12. 09:07
728x90

착시현상, 수애는 여전히 가면을 벗는 중

 

가면을 쓴 삶은 결코 행복해질 수 없어요.” SBS <가면>에서 서은하와 변지숙, 두 인물을 오가는 수애는 배우로서 이 대사를 하며 어떤 생각을 했을까. 가면의 삶. 가난의 꼬리표를 떼고 가족들을 그 구렁텅이에서 벗어나게 하려고 자신의 존재를 지워버린 채 서은하의 삶을 살게 된 변지숙은 과연 행복할까.

 

'가면(사진출처:SBS)'

<가면>이라는 작품은 여러모로 연기를 하는 배우들에게는 각별한 의미를 담을 수밖에 없다. 연기라는 직업이 결국은 여러 개의 가면을 써야 하는 일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그 가면에 대해 민우(주지훈)나 석훈(연정훈)은 다른 생각을 갖고 있다. 석훈은 가면을 써라. 그럼 세상은 당신 편이 될 것이다라고 말하고, 민우는 가면을 쓰면 행복해질 수 없다고 했냐. 틀렸다. 가면을 써야 행복한 척이라도 할 수 있다고 말한다.

 

서은하의 삶을 선택한 변지숙은 그러나 완벽한 가면을 쓰지 못한다. 그녀는 여전히 변지숙이란 인물로 서은하인 척 할 뿐이다. 그래서 자신이 죽은 걸로 알려진 후 자신의 엄마가 사라졌다는 사실은 그녀의 정체성을 명확히 드러내게 해준다. 그녀는 순간 가면을 벗어던진 채 엄마를 찾기 위해 폭주한다. 그런 그녀에게 어떻게든 다가가 다시 가면을 씌우려 하는 건 바로 석훈이다. 가면 쓴 변지숙은 석훈의 야망을 채워줄 도구다.

 

민우 역시 석훈에 의해 가면이 씌워진 인물이다. 지숙과 차이점이 있다면 그는 자신이 가면을 쓰고 있고, 그것이 석훈에 의해 씌워졌다는 사실을 모른다는 점이다. 석훈에 사주 받은 정신과의사에 의해 심각한 정신질환을 앓고 있는 자의 가면이 민우에게 씌워졌다. 그 가면은 변지숙의 그것보다 더 견고하다. 스스로도 가면이 씌워진 줄 모르기 때문이다. 결국 변지숙과 민우는 석훈의 마리오네트 같은 인물들이다. 석훈에 의해 두 사람은 가면의 결혼생활을 시작한다.

 

중요한 건 가면을 쓴 삶은 결코 행복해질 수 없다는 사실을 이 가면 쓴 두 사람이 모두 알고 있다는 점이다. 그래서 그 가면의 결혼생활은 차츰 두 사람이 진짜로 가까워지는 시간들로 변해간다. 쇼핑몰이 들어온다는 사실에 격분한 재래시장 사람들이 두 사람에게 달려들 때 손을 잡고 도망치는 장면은 그래서 긴박하다기보다는 그 위험 속에서 조금씩 마음을 열게 되는 과정을 보여준다. 그렇게 된 것은 변지숙의 가면을 쓰지 않은 모습에서 민우의 마음이 조금씩 열리기 때문이다.

 

결국 이 드라마는 가면의 삶을 벗어던지고 행복을 찾아가는 이들의 이야기다. 그런데 어찌 보면 이 새로울 것 없어 보이는 메시지의 드라마가 수애라는 연기자에게는 각별하게 다가갈 수 있을 것이라 여겨진다. 연기자 수애. 그녀는 꽤 오랫동안 자신에게 덧씌워진 이미지들로부터 벗어나려 안간힘을 써왔다. 매력적인 굵직한 저음이 주는 신뢰감은 오히려 연기자 수애에게는 하나의 족쇄처럼 작용했다. 늘 단아하고 우아한 모습으로만 이미지화되었기 때문이다.

 

영화 <심야의 FM>에서 목소리로 누군가의 판타지가 된 그녀가 연쇄살인범 앞에서 쌍소리를 해대는 모습은 그래서 자못 진지하게 다가왔다. 가녀리게만 보였던 그녀가 <아테나>에서 니킥을 날리며 순식간에 액션수애의 모습을 드러내는 장면은 마치 자신의 고정화된 이미지를 통쾌하게 부숴버리는 장면처럼 여겨졌다. <야왕>의 주다해라는 악녀는 그녀의 단아하게만 보였던 목소리가 때로는 악다구니를 들려주기도 한다는 걸 보여줬다.

 

이미지와의 사투, 그 연장선에 <가면>은 연기자 수애에게 의미 있는 작품으로 다가온다. 서은하라는 우아하고 부유한 이미지의 인물을 연기하는, 사실은 소박하고 가난한 변지숙은 그래서 어쩌면 수애의 진짜 모습 같다는 생각도 든다. 눈물 많고 정 많고 소탈한 모습이 누군가 덧씌워놓은 이미지라는 가면에 의해 가려져 있었다는 것. 그러니 그 가면을 벗고 자신의 모습으로 서는 이 드라마의 이야기가 수애에게 더 절절할 수 있을 것이라 여겨진다. <가면>은 수애가 그 덧씌워졌던 가면의 이미지를 벗는 시간이기도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