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기승전멜로로 흐르는 지상파 드라마의 한계 본문

옛글들/드라마 곱씹기

기승전멜로로 흐르는 지상파 드라마의 한계

D.H.Jung 2015. 6. 13. 08:46
728x90

고개 드는 지상파 드라마 위기, ?

 

알고 보니 멜로였나? 정통 멜로가 고개를 숙인 지는 꽤 오래됐다. 사적인 로맨틱 코미디류의 멜로들에 시청자들이 굳이 채널을 고정시키지 않게 된 것은 그 패턴이 이미 너무 익숙해져 식상하게 다가오기 때문이다. 첫 회에 남녀가 등장하면 그 끝을 이미 예견할 수 있는 드라마를 왜 굳이 본단 말인가. 과정이 재미있다고? 천만에. 과정 또한 다 읽히는 수라면 재미는 찾아보기 힘들게 된다.

 

'맨도롱또똣(사진출처:MBC)'

MBC 사극 <화정>화려한 정치를 뜻하는 제목에서 풍겨나듯이 무언가 진지한 정치적 사안들이 등장할 것처럼 보였지만 결국은 소소한 멜로로 흘러가는 느낌이다. 광해군(차승원)의 이야기와 그를 반정시키려는 세력들, 그리고 정명공주(이연희)의 복수가 포진되어 있지만 어찌된 일인지 정명공주와 주원(서강준)의 로맨스가 더 눈에 띈다. 이렇게 된 것은 사건 전개가 긴박감 있게 시청자들의 시선을 잡아끌지 못하기 때문이다.

 

이런 상황은 KBS <복면검사> 또한 마찬가지다. 낮에는 부패한 검사처럼 보이지만 밤에는 복면을 쓰고 불의를 응징한다는 설정은 흥미롭지만 그 이야기에서도 결국 남는 건 하대철(주상욱)과 유민희(김선아)의 은근한 멜로다. 강현웅(엄기준)과의 치밀한 두뇌 싸움이 들어있지만 이 이야기 역시 그리 뒤통수를 칠만큼 새롭다는 느낌은 들지 않는다. 결국 멜로가 도드라져 보이는 건 이야기의 상투성 때문이다.

 

MBC 수목드라마 <맨도롱 또똣>은 아예 대놓고 정통 로맨틱 코미디를 지향하고 있다. 홍자매 특유의 톡톡 튀는 대사와 코믹한 설정들이 제주도라는 배경 속에서 귀여운 그림들을 만들어내고 있지만 역시 멜로만으로는 버거운 현실을 잘 보여주는 드라마다. 건우(유연석)와 정주(강소라)의 밀고 당기는 로맨스는 달달하지만 그것을 왜 시청자들이 굳이 봐야 하는가에 대한 답은 잘 주지 못하고 있다.

 

SBS 월화드라마 <상류사회>는 상류층과 서민들 사이의 계급의식이 밑바탕에 깔려 있지만 그것 역시 다루는 건 청춘들의 멜로다. 물론 이 드라마는 멜로를 다루는 방식이 다르다. 멜로와 계급의식을 덧붙여 놓아 그 사랑이 계급구조와 부딪치는 면을 이 드라마는 바라본다. 신선한 시도지만 상류사회의 문제를 다른 사회극적인 틀로 바라보기보다는 멜로를 통해 들여다본다는 건 어찌 보면 우리네드라마의 한계처럼 보인다.

 

이런 사정은 SBS 수목드라마 <가면>도 마찬가지다. 가면의 삶과 진실된 삶의 문제, 개인의 정체성 문제, 빈부 격차의 사회적 문제 등을 다루고 있지만 이 드라마 역시 기승전멜로의 틀을 벗어나진 못하고 있다. 결국 지숙(수애)과 민우(주지훈) 사이에 벌어지는 가면을 넘어서는 멜로를 이 드라마는 보여준다. 진실된 삶의 문제를 진실된 사랑을 통해 보여준다는 것.

 

물론 우리네 드라마에 멜로가 잘못된 건 아니다. 그건 어쩌면 우리 드라마의 전통적인 강점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모두 멜로 없인 안돼라고 주장하는 듯한 이 일련의 기승전멜로 드라마들은 어쩌면 지상파 드라마의 한계를 보여주는 것인지도 모른다. 왜 좀 더 과감하게 문제의식을 향해 달려가지 못하는 걸까.

 

굳이 멜로 없이도 엄청난 임팩트를 만들었던 <하얀거탑>이나 아예 멜로가 없는 것을 드라마 제작의 기본 전제로 시작한 <미생> 같은 드라마의 자신감은 이제 기대하기 힘들게 된 걸까. 멜로로 시작했지만 이야기를 사회적인 틀로까지 확장시킨 <밀회> 같은 작품은 왜 시도되지 않는 것일까. 적당한 이야기 구조에 멜로를 조미료처럼 쳐서 만들어지는 지상파 드라마들은 어쩌면 점점 스스로를 소소하게 만들고 있는지도 모른다. 지상파 드라마의 위기는 바로 이런 새로운 시도가 사라지고 안전한 틀에만 기대는 안일함에서 비롯되는 일일 것이다. 좀 더 과감한 시도와 실험이 필요한 시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