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어째서 약자의 '소수의견'은 늘 묵살되는 걸까 본문

옛글들/영화로 세상보기

어째서 약자의 '소수의견'은 늘 묵살되는 걸까

D.H.Jung 2015. 6. 28. 09:30
728x90

<소수의견>, 대한민국을 피고로 세운 까닭

 

<소수의견>이 영화 시작과 동시에 자막으로 넣어놓은 특정한 사건, 사실과 관계가 없다는 얘기는 거꾸로 들린다. 오히려 그 자막은 이 영화가 특정한 사건을 모티브로 하고 있다는 얘기처럼 보인다. 철거와 대치하는 원주민과 전경들, 그리고 투입되는 용역깡패들, 화염병과 물대포, 그리고 그 대치과정에서 희생된 사람들... 이런 풍경은 우리에게 낯설지 않다. 굳이 용산참사를 얘기하지 않아도 우리네 현대사에서 이 풍경은 우리에게 익숙하다.

 


사진출처: 영화 <소수의견>

철거는 아마도 포크레인으로 상징되는 우리네 도시들의 화려한 겉면 속에 남겨진 깊은 생채기일 것이다. 포크레인은 어떤 식으로든 상처를 남긴다. 그 방식은 두 가지다. 하나는 본래 있던 자연적인 상태가 뜯겨져 나가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본래 있던 자연적인 상태 위에 다른 걸 덮어버리는 것이다. 그렇게 아무 일도 없었던 것처럼 증거를 덮어버리려 하지만 그 상처까지 사라지는 건 아니다.

 

포크레인이 뜯어낸 곳에서 두 명이 죽음을 맞이한다. 한 명은 경찰이고 다른 한명은 철거에 대항하던 원주민의 아들이다. 그런데 그 경찰을 죽게 한 이는 다름 아닌 바로 그 현장에 있던 원주민이다. 두 개의 관점이 쟁점화된다. 검찰은 경찰이 죽었다는 것에 포커스를 맞춰 이 사건은 원주민의 의도적인 살해라고 주장한다. 한편 변호인은 아들이 경찰에 의해 살해됐다는 사실을 밝혀 그 경찰의 죽음이 정당방위에 의한 것이라는 걸 납득시키려 한다.

 

죽은 두 아들들에게는 모두 살아있는 아빠들이 있다. 그래서 이 법정싸움은 당연히 이 아빠들 간의 대립이 될 법도 한데, 실제로는 그렇지가 않다. 과잉진압을 하게 된 경찰의 뒤에는 그들을 그렇게 움직인 권력자들이 있고, 그 권력자들을 움직이는 건 그 철거가 가져올 이익이다. 그러니 마치 포크레인이 땅을 푸고는 서둘러 그걸 덮어버리는 것처럼 권력자들은 검찰이든 경찰이든 법이든 언론이든 뭐든 이용해 이 사건을 덮어버리려 한다.

 

그러니 법정싸움은 아빠들의 대립이 아니다. 그건 이 사안을 만들어내고도 정치적 이해관계가 얽혀있어 덮으려는 국가와 그 과정에서 억울하게 희생된 소수 개인의 대결이 된다. 대한민국을 피고로 세우는 발상은 이 사건이 어느 개인의 부딪침에 의해 만들어진 것이 아니라 그 뒤에 무수히 얽혀 있는 권력과 관계자들에 의해 생겨난 일이라는 걸 말해준다.

 

정작 아빠들은 자신들의 자식들이 죽음을 맞이했음에도 불구하고 서로를 이해하는 입장에 서 있다. 죽은 경찰의 아빠가 이 사건이 왜 일어났는가에 대해 질문을 받았을 때 그것은 사건이 아니라 사고라고 말한 대목은 영화가 왜 대한민국을 피고로 세우고 있는가를 잘 보여준다. 즉 아빠들이나 죽은 자식들은 서로 대립할 이유가 없었고 그런 죽음을 맞이할 이유가 없었다. 누군가 그들을 대립하게 했고 희생되게 했다는 것이다. 그건 사건이 아니라 사고였다. 누군가에게 의해 내몰리면서 벌어진.

 

권력의 부패나 누군가의 희생을 아랑곳하지 않는 자본화라는 이름의 개발은 국민을 희생자로 만든다. 도시화라는 미명하에 포크레인을 들이대고는 그 안에서 쏟아지는 서민들의 피눈물은 금세 마치 없었던 일처럼 덮어버린다. 때로는 희생자는 가해자가 되어 법정에 세워지기도 한다. 약자로서의 서민들은 늘 소수의견취급 받는다. 얻어맞아 피를 흘리고 있지만 덮어버리면 무시되는 소수의견.

 

영화는 그 소수의견이 절대 무시될 것들이 아니라는 걸 보여준다. 또 서민과 서민들을 서로 싸우게 만들고 그걸 통해 이득을 가져가려는 저 뒤편의 움직임들을 이 영화는 조망하게 해준다. 끊임없이 서민들의 이야기를 소수의견으로 치부하며 덮으려는 시도들이 영화 속에서 반복될 때마다 터져 나오는 한숨은 그것이 영화 속 극화된 이야기가 아니라 지금 현재 우리가 딛고 있는 이 땅의 이야기이기 때문일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