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송영길, 이상훈, 왜 '니글니글'하니 뜰까 본문

옛글들/명랑TV

송영길, 이상훈, 왜 '니글니글'하니 뜰까

D.H.Jung 2015. 6. 30. 09:04
728x90

멋짐과 섹시함의 정반대, <니글니글>의 반전

 

Jason Derulo‘Wiggle’이란 곡은 이제는 니글니글의 대명사처럼 되었다. <개그콘서트>니글니글때문이다. 그 특유의 멜로디에 맞춰 니글니글한 송영길과 이상훈의 살들이 춤을 춘다. 어찌 보면 보기에 불편한 모습들이지만 바로 그 불편함이 이 니글니글이란 코너가 가진 반전의 웃음 포인트다. 그들은 그 불편함을 오히려 뽐내겠다는 듯 더 노골적으로 불편함을 드러내려 한다.

 


'개그콘서트(사진출처:KBS)

사실 몸이란 언젠가부터 상품처럼 전시되는 어떤 것이 되어버렸다. 그 많은 몸짱들이 저마다의 각선미와 복근을 드러내고 매끈한 몸이 가진 섹시미를 보여주면서 그것이 마치 마땅히 그래야할 미의 기준이 된 것처럼 강조되는 세상이다. 몸은 관리되어야 하고, 관리되지 않는 몸은 그 사람의 상품 가치를 떨어뜨리는 것으로 판단되곤 한다.

 

여성들의 몸에 대한 이런 관점은 예전부터 있어왔지만 지금은 이것이 남성들도 예외가 아니게 되었다. 조각처럼 관리된 몸에 대한 선망은 그렇지 못한 몸에 대한 혐오로 이어진다. 그러니 니글니글의 관리되지 않은 몸들이 아예 다 드러내겠다고 입은 듯한 딱 붙는 의상을 차려입은 채 오히려 자뻑을 하는 모습에서는 불편함과 함께 느껴지는 어떤 속 시원함이 묻어난다. 관리를 요망하는 세상의 관점으로 보면 불편하지만, 그것을 비웃는 듯한 이 니글니글한 몸들의 조롱은 때로는 통쾌하게도 느껴지기 때문이다.

 

개그라는 소재가 몸과 무관할 수는 없다. 몸 개그는 지켜지고 있던 자세가 어떤 상황에 의해 무너질 때 웃음을 유발하고, 외모 개그는 못생긴 얼굴과 뚱뚱한 몸만으로도 웃음을 준다. 물론 이런 몸을 과도하게 활용한(?) 개그에 대해 대중들은 비판적인 시선을 보이기도 한다. 이른바 외모비하 개그가 가진 양면성이다.

 

몸에 대한 이러한 양가적 관점은 <개그콘서트>가 몸 개그를 쓰는 관점과 일치한다. <개그콘서트>에는 나미와 붐붐이나 크레이지 러브처럼 오나미나 박지선의 외모를 내세운 개그를 선보이고, 김준현이나 유민상 같은 뚱뚱한 몸을 내세워 돼지캐릭터의 웃음을 유발하기도 하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라스트 헬스보이처럼 망가진 몸을 갱생하는 과정을 개그로 담기도 한다. 이율배반적으로 보이지만 이 양면은 둘 다 몸에 대한 사회적 시선을 그대로 담아낸다. 몸은 어쨌든 관리될 대상이다. 그래서 관리되지 않는 몸을 비웃거나 혹은 관리하는 몸에 대한 상찬을 보여준다.

 

이런 관점에서 보면 니글니글은 이러한 몸에 대한 시선들을 상당부분 도발하는 면이 있다. 이들은 뚱뚱하게 관리되지 않은 몸을 자랑하듯 과한 춤을 선보이고, 심지어 송중기와 자신들을 비교하며 자신들이 더 낫다는 얘기를 건네기도 한다. 물론 그것은 웃음을 유발한다. 말도 안 되는 이야기처럼 들리기 때문이다.

 

하지만 몸에 대한 이런 도발이 과연 말도 안 되는 이야기일 뿐일까. 물론 보기에 스스로도 얘기하듯 니글니글함의 극치를 보여주지만 그들의 몸 역시 상품의 전시대에 올려질 수 있다는 자신감은 거꾸로 저 전시대를 비웃는 효과를 가져오기도 한다. 과거에 여성들의 몸이 성 상품화 되는 모습을 방송을 통해 볼 때 느껴지던 씁쓸함은, 그래서 이 니글니글한몸들이 그 여성들이 취하곤 했던 과한 섹시한 동작들을 선보일 때 여지없이 통쾌해지는 면을 만들어낸다.

 

멋짐과 섹시함의 정반대로만 보여주는 니글니글의 도발. 그것은 불편함 속에도 우리의 시선을 잡아끌고 다른 한편으로는 속 시원한 느낌을 주는 이유가 된다. 송영길과 이상훈은 이런 개그에 최적인 인물들이다. 그들은 비로소 니글니글을 통해 자신들만의 개그영역을 찾아낸 것처럼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