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연기자의 자기증명, 변신은 생존 본문

옛글들/명랑TV

연기자의 자기증명, 변신은 생존

D.H.Jung 2007. 8. 3. 13:11
728x90

윤은혜, 이준기, 수애, 그들의 변신에 박수를

연기자가 연기 변신을 하는 것은 자기 존재에 대한 증명인 셈. 하지만 이게 그리 쉽지 않은 것은 대중들이 바라는 이미지와 변신한 이미지의 간극이 클 경우이다. 너무나 강렬한 이미지로 고정되는 것은 그만큼 인기가 있다는 걸 의미하지만, 동시에 연기자들에게 그것은 족쇄로도 작용한다.

한번 가수출신 연기자라는 연기논란에 휘말린 이미지를 가지면 하는 역마다 연기논란을 일으키고, 한번 미소년 이미지로 강한 인상을 남기면 터프한 연기가 잘 먹히지 않으며, 청순 가련 이미지로 고정되면 명랑한 역을 맡기가 어려워지는 것이 그것이다.

하지만 시대가 자신이 가졌던 이미지와 다른 변화된 캐릭터를 요구한다면 어쩔 것인가. 그저 자신의 이미지가 먹힐 시대가 또다시 오기를 기다리기만 할 것인가. 아니면 과감히 연기변신을 시도할 것인가. 이런 면에서 보면 지금 윤은혜, 이준기, 수애가 몸부림치는 연기변신은 이들만의 과제가 아니다. 지금 연기자들 앞에 펼쳐진 시험대. 그것은 변신이다.

여자는 울고 남자는 인상쓰던 시대는 지나갔다. 청순가련형 여성 이미지와 마초적이기만 한 카리스마의 남성 이미지는 이제 더 이상 소비되지 않는 시대다. 언제부턴가 TV 속의 여성들은 점점 강인한 인상을 보이기 시작했고, 눈물을 흘리더라도 질척할 정도로 드러내지 않게 됐다. 반면 남성들은 거꾸로다. 오히려 눈물을 흘리고 상대방을 배려하는 이미지가 더 많이 소비되기 시작했다. 그것은 ‘대조영’만 봐도 알 수 있듯이 카리스마를 가진 캐릭터에서도 그렇게 다르지 않다.

이것은 IMF 이후 급격히 고개를 숙이고 있는 남성들과, 감성적인 사회가 요구한 여성인력으로 인해 상대적으로 사회진출이 활발해진 여성들로 전도된 남녀 관계와 무관하지 않다. 무너진 욕망을 대체하는 강력한 카리스마를 가진 캐릭터들이 포진한 남성 타깃 드라마(사극이나 전문직 장르 드라마 같은)와, 종속적이지 않고 독립적인 연애방식으로 상큼 발랄한 관계를 꿈꾸는 여성 타깃 드라마(청춘 멜로 드라마)가 공존하는 상황이다.

이 변화된 상황 속에서 고정된 이미지를 갖고 있는 연기자들은 변신이 불가피해졌다. 윤은혜는 ‘궁’과 ‘포도밭 그 사나이’를 통해 명랑 소녀의 이미지를 굳혔지만 늘 따라다니는 꼬리표는 ‘가수 출신 연기자’의 연기논란이었다. 획기적인 변신이 아니면 넘기 어려운 이 꼬리표를 떼낸 것은 명랑 소녀에서 한발 더 나아간 남장여자라는 캐릭터이다. 여자를 포기하자 윤은혜는 새로운 이미지의 창출이 가능해진 것. 중요한 것은 그 남장여자라는 캐릭터가 지금 시대의 새로운 트렌드라는 점이다. 보이시한 여성이 인기가 있는 것은 수직적인 남성과 여성의 관계가 마치 남성과 남성 같은 우정의 관계로까지 수평적으로 발전되었다는 걸 보여주는 징후이다.

‘9회말 2아웃’이 보여준 수애의 변신은 이제 더 이상 울지 않는 여성 캐릭터 시대에 가장 잘 우는 연기를 소화해내는 연기자가 어떻게 생존해야 하는가를 말해주는 경우이다. ‘해신’에서부터 주목받은 수애의 연기는 이병헌과 호흡을 맞춘 ‘그 해 여름’을 통해 우는 연기자의 이미지로 굳어져갔다. 그런 수애가 아무렇게나 헝클어진 머리에, 술 먹고 주사를 부리는 모습의 홍난희 역할을 맡은 것은 연기자로서의 대단한 도전이 아닐 수 없다.

한편 ‘왕의 남자’를 통해 여성적인 이미지를 갖게 된 이준기의 경우는 거꾸로 남성적인 카리스마 변신이 절대적으로 요구되는 상황이었다. ‘개와 늑대의 시간’에서 보여준 그의 연기변신은 일단 성공적으로 보여진다. 살해된 부모의 복수극이라는 점도 연기자 이준기의 입장에서 보면 연기변신에 힘을 더해주는 요소이다. 새롭게 맞닥뜨린 원수 앞에서 분노와 흥분을 가라앉히지 못하고 부들부들 떠는 연기는 보는 이의 모골을 송연하게 만들 정도의 연기변신이었다는 호평을 받고 있다.

물론 고정적 이미지를 가진 연기자들이 모두 잘못된 것은 아니다. 하지만 연기자들에게 있어 고정적인 이미지는 양날의 칼과도 같다. 좋은 작품에서의 호연을 통해 얻어진 이미지는 고정화될 위험성을 늘 내포하고 있다. 여기에 그 이미지를 팔려고 하는 기획사와 시장이 만나면 자칫 그 이미지에 눌러앉게 되어버리는 경우도 생긴다. 연기자들이 연예인이 아닌 예술가로 느껴지는 순간은 그 속에서 늘 자신을 다잡고 새로운 연기에 도전하는 모습을 보일 때이다. 그들의 도전에 박수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