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협녀'의 부진, 결과적으론 이병헌 때문이다 본문

옛글들/영화로 세상보기

'협녀'의 부진, 결과적으론 이병헌 때문이다

D.H.Jung 2015. 8. 16. 09:21
728x90

여름 성수기에 어울리지 않는 <협녀>의 부진

 

영화의 성패는 개봉시기와도 무관하지 않다. 겨울방학 시즌과 여름 성수기는 영화를 찾는 관객들의 기대치가 다르다. 겨울방학 시즌이 조금 무거운 영화라도 영화적인 완성도가 있다면 충분히 승산이 있는 시기라면, 여름 성수기는 말 그대로 블록버스터가 대결하는 시기다. 이 시기에 과한 메시지를 담아내는 영화는 어울리지 않는다.

 


사진출처:영화 <협녀, 칼의 기억>

<협녀, 칼의 기억(이하 협녀)>이 겨우 8만 명의 관객을 동원하며 개봉 첫날 박스오피스 4위를 차지한 건 그 영화적인 완성도라기보다는 그 개봉시기가 영 어울리지 않았다고 보는 편이 낫다. 이 영화는 여름 성수기에 보기에는 너무 무겁다. 끝없이 이어지는 독백과 마치 연극처럼 비일상화되어 있는 대사들, 그리고 유려한 영상미는 충분하지만 역시 반복되는 슬로우 액션은 영화를 한없이 무겁게 만들었다.

 

<협녀>는 웃음의 포인트를 거의 찾기 힘들다. 두 시간짜리 영화가 쉬지 않고 비장함으로 흘러가는 건 마치 피서하듯 영화관을 찾는 여름 성수기 관객들이 바라는 일은 아닐 것이다. 물론 예고편으로 보기에는 마치 <와호장룡>이나 <동사서독> 같은 느낌의 시각적 즐거움을 주는 것이 사실이다. 실로 <협녀>는 그 영상 연출만 놓고 보면 마치 한 편의 무용을 보는 것처럼 우아하고 스펙터클하다.

 

하지만 그런 영상미도 이야기의 무거움을 이겨내지는 못한다. <협녀>는 사사로움에 흔들리지 않는 마음을 이라고 설명하며 원죄를 가진 부모를 자식이 처결하는 이야기를 다루고 있다. 즉 대의를 위해 가족 관계의 사사로움을 뛰어넘는 비극적인 주인공들의 이야기다. 욕망에 의해 덕기라는 이름을 버리고 유백(이병헌)이 된 사내와 그에 대한 사랑 때문에 사형을 죽인 월소(전도연) 두 사람 사이의 애증이 만들어낸 비극이다.

 

마치 그리스의 비극이나 셰익스피어의 비극을 보는 듯한 비장미는 너무 과도하게 무거워 자칫 실소가 나올 정도지만 그나마 그 무게를 버텨내는 건 연기자들이다. 이 영화는 실로 이병헌과 전도연, 그리고 이 영화를 통해 확실한 자기 색깔을 드러낸 김고은 같은 배우들에 깊은 몰입에 의해 겨우 그 비장미를 유지하는 작품이다.

 

50억 협박 사건으로 인해 그 불편한 사생활이 공개되면서 이병헌에 대한 대중적인 정서는 결코 좋지 않지만 연기자로서 그가 갖는 아우라가 이 영화 전체를 지배하고 있는 것은 인정하지 않을 수 없다. 하지만 결과적으로 이야기하면 <협녀>의 부진은 이병헌 때문이라는 것이다. 그것은 연기의 문제가 아니라 그의 사생활 문제로 인해 개봉시기가 겨울에서 여름 성수기로 들어오게 되면서 생긴 일이다.

 

<베테랑><암살>, <미션 임파서블> 같은 여름철 더위를 날려버릴 블록버스터에 딱 어울리는 작품들과 비교해보면 <협녀>는 그 무겁고 과한 메시지와 비장함 때문에 오히려 더 더워지는 영화다. 만일 이병헌 논란이 터지지 않고 그대로 지난 겨울에 개봉했다면 어땠을까 하는 아쉬움이 남는다. 물론 큰 흥행을 거두기는 어려운 작품임에 분명하지만, 그래도 영화를 보고 나오는 그 찜찜함이 이 정도까지는 아니지 않았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