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장르에 충실한 ‘개늑시’가 가진 가치 본문

옛글들/명랑TV

장르에 충실한 ‘개늑시’가 가진 가치

D.H.Jung 2007. 8. 10. 02:48
728x90

기대 이상 전문직 장르 드라마, ‘개늑시’

이제 막 새롭게 등장한 전문직 장르 드라마들에서 우리가 기대했던 것은 오랜 전통과 노하우를 가진 미드 수준의 그것이 아니었다. 우리가 기대한 것은 그저 장르에 충실한 드라마였을 뿐이다. 그것은 적어도 소재가 획일화된 우리네 드라마 풍토에서 장르 드라마가 가진 다양성을 확보할 수 있으리라 기대했기 때문이다.

‘하얀거탑’, ‘외과의사 봉달희’에서 가능성을 보인 전문직 장르 드라마는 그러나 ‘히트’와 ‘에어시티’에서 만족할만한 결과를 얻지 못했다. 물론 형사라는 직업과 공항이라는 공간만 가지고도 이들 드라마는 가치가 있었지만 중요한 것은 전문직 장르 드라마로서 기본적으로 지켜야할 장르에 충실하지 못한 단점이 있었다.

액션이든 미스테리든 휴먼드라마든 장르는 그것을 선택 혹은 표방하는 순간, 거기에 충실할 것이 요구된다. 연쇄살인범을 좇는 형사물에서 갑작스런 멜로가 섞이고, 공항이라는 긴박한 공간 속에서 국정원 요원이 뛰어다니는 상황에 멜로와 휴먼드라마가 틈입하는 건 용납하기가 쉽지 않다. 이것이 ‘히트’와 ‘에어시티’가 훌륭한 캐릭터와 좋은 소재를 갖고도 기대만큼의 성과를 이루지 못한 이유다.

이런 면에서 보면 MBC 수목 드라마 ‘개와 늑대의 시간’은 기대 이상의 전문직 장르 드라마라 할 수 있다. 먼저 기본적으로 이 전문직 장르 드라마는 액션과 스릴러라는 장르가 갖춰야 하는 요건들을 제대로 구비하고 있다. 먼저 이수현(이준기)이라는 캐릭터가 가진 상처와 그로 인한 갈증이 살해당한 부모에 대한 복수심으로부터 생겨나고 있다는 점이다. 어찌 보면 단순할 수 있는 이 설정은 그러나 이수현 눈앞에서 벌어진 어머니의 살해장면이 등장하면서 강력하게 자리를 잡는다.

이 복수심을 속에 품고 태국과 한국을 넘나드는 액션극이 장르적으로 성취를 이루고 있는 것은 적절한 타이밍으로 전개되는 이야기 때문이다. 태국의 어린 시절에서 지우(남상미)와 추억을 만들 즈음, 갑자기 등장하는 어머니의 살해장면은 상황을 급박하게 만들어버린다. 한국에 들어와 강중호(이기영)에 의해 자라나 국정원 요원이 되는 것까지 아픔을 잊고 평탄한 삶을 살아갈 것 같은 장면들이 연출될 즈음, 갑자기 이수현은 어머니를 살해한 마오(최재성)를 보고 다시금 복수의 불길에 휩싸인다. 이후에도 이수현의 감정은 적절한 간격으로 완급조절되면서 시청자를 긴장과 이완이 반복되는 즐거움에 빠뜨린다.

이렇듯 이 드라마가 가진 강점은 액션, 서스펜스가 가진 장르적 호흡을 제대로 이해하고 활용하고 있다는 점이다. 거기에 중심이 되는 것은 마오라는 강력한 카리스마를 가진 적과 거기에 도달하기엔 아직도 약하기만 한 이수현의 성장이다. 이 대척 구도는 사실상 거리가 멀면 멀수록 시청자들에게 더 흥분되는 재미를 줄 수 있다. 그러기 위해 이 드라마가 활용한 멜로는 기존 전문직 장르 드라마들이 활용한 멜로의 방식보다 효과적이다. 제목에서부터 드러나듯, 이수현이 죽이려는 마오는 그가 사랑하는 지우의 아버지이기에, 그들의 멜로가 강해질수록 이수현은 더 깊은 혼란에 빠질 것이기 때문이다.

게다가 이 드라마가 하려고 하는 이야기는 기억에 대한 것이다. ‘개와 늑대의 시간’은 바로 사고로 기억을 잃어버린 이수현이 처한 정체성을 상징한다. 복수의 일념으로 마오의 심복을 하게 된 이수현이 기억상실로 그 복수심을 잊어버리는 상황은 이 드라마가 가진 최대의 극적 장치가 아닐 수 없다. 기억 하나를 중심으로 원수와 심복의 갈림길에 서게 되기 때문이다. 그러니 지금 이수현이 서 있는 지점에서 마오에 대한 복수를 하게되는 곳까지의 거리는 점점 더 멀어진다. 그것이 바로 이 드라마가 주는 재미의 핵심이다.

그렇게 장르에 충실하면서 얻어낸 재미는 이수현이 가진 기억이라는 문제를 끄집어내면서 의미까지 확보한다. 복수심이나 충성심 같은 감정이라는 것은 기억이 만들어내는 정체성에서 비롯된다는 것. 인간은 그것이 개인지 늑대인지 판단하기 어려운 상황을 겪을 수 있을 만큼 이성적인 존재만은 아니라는 것을 드라마는 얘기해준다. 군더더기 없는 연출과 무엇보다도 양 대척점을 이루고 있는 마오와 이수현을 연기하는 최재성과 이준기의 광적인 연기는 이 전문직 장르 드라마에서 장르적인 충실 그 이상의 것을 기대하게 만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