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집밥 백선생', 묵은지에 담긴 백종원의 진가 본문

옛글들/명랑TV

'집밥 백선생', 묵은지에 담긴 백종원의 진가

D.H.Jung 2015. 9. 10. 09:45
728x90

<집밥 백선생>, 흔한 식재료의 가치

 

<집밥 백선생>에서 백종원이 얘기한대로 사실 이맘때면 처치 곤란한 것이 작년쯤 부모가 담가 보내줘 이제는 시어빠진 묵은지다. 버리기는 아깝고 그렇다고 그냥 먹기도 곤란하지만, 아마도 엄마가 해줬던 음식을 기억하는 이들은 묵은지를 이용한 김치찜이나 찌개가 그 어떤 음식보다 맛이 좋다는 걸 안다. 문제는 그 맛을 알아도 어떻게 요리해야 되는지 잘 모르고 또 엄두도 나지 않는다는 점이다. 그래서 혼자 사는 이들에게 묵은지는 골칫거리일 수밖에 없다.

 


'집밥 백선생(사진출처:tvN)'

<집밥 백선생>에서 백종원이 묵은지를 재료로 들고 나온 건 그래서다. 사실 요리 좀 한다는 사람들에게 묵은지 요리가 새로운 건 아닐 것이다. 하지만 냉장고에서 풀풀 냄새를 풍겨가며 익어가는 묵은지가 주는 고충을 마치 너무나 잘 이해한다는 듯 들고 나온 그 마음이 어떤 면에서는 시청자들을 잡아끄는 진짜 요인일 수 있다. 그래서 일단 재료 하나만으로도 나를 생각해주는 백종원의 그 마음을 읽고 나면 거기 만들어지는 요리들에 대한 호감은 더 커진다. 따라 해보고 싶은 욕구가 생기는 건 그래서다.

 

이건 백종원이라는 인물의 진가일 것이다. 그의 요리는 새롭거나 특별한 것이 없다. 오히려 냉장고를 열면 어느 한 구석에 늘 있기 마련인 재료들이 그가 하는 요리의 주인공들이다. 계란을 가지고 만드는 계란 프라이가 과연 요리인가 하고 생각하는 이들이 있겠지만 백종원은 그것이 결코 무시할 수 없는 요리라는 걸 진지하게 보여준다. 그 흔하디흔한 무 한 덩어리를 갖고 무생채는 물론이고 생선 조림에 가까운 무 조림, 소고기 뭇국에 무밥까지 뚝딱 해낼 수 있다는 걸 그는 프로그램을 통해 굳이 설파하고 있다.

 

사실 재료가 없어서 요리를 못하는 건 아닐 것이다. 냉장고를 열면 누구나 계란 몇 개쯤은 있고 무 한 덩이 정도는 찾을 수 있다. 혼자 산다고 해도 엄마가 김장철이면 바리바리 싸서 보내준 김치 한 덩이쯤은 냉장고 구석에서 발견할 수 있다. 문제는 재료를 보는 우리의 눈이다. 늘 화려한 음식과 비싼 재료에만 눈이 가다보니 정작 흔하고 값싼 재료들이 저평가되고 있었다는 것이다. 그래서 먹을 게 없다는 불평은 알고 보면 흔한 재료들에 대한 무시에서 비롯될 때가 더 많다.

 

물론 백종원이 <집밥 백선생>을 통해 알려주는 일상적인 음식에 담겨진 꿀팁이 주는 효용성은 실제 매일 같이 저녁밥을 차려내는 주부들에게는 대단히 유용한 정보가 아닐 수 없다. 하지만 백종원에 대한 대중들의 열광은 단순히 그런 정보적인 유용성 때문만은 아니다. 오히려 그것보다는 요리를 통해 전해지는 타인에 대한 배려나 소통이 더 큰 것일 게다.

 

음식은 단지 육체적인 허기를 달래주기 위한 것만은 아니다. 때로는 음식의 힘은 정신적인 허기를 달래주는 역할을 해주기도 한다. 이른바 엔도르핀 디시(endorphin dish)’라는 신조어가 나오고, 요리에 셀프 힐링이라는 트렌드가 발견되는 건 그래서다. 고향을 떠나와 혼자 사는 세대들이 점점 늘면서 어쨌든 해먹어야 하는 한 끼의 밥은 그래서 육체적 허기보다는 정신적 허기를 채워주는 의미가 더 커졌다.

 

<집밥 백선생>에서 백종원은 이 엄마가 해주는 밥상의 부재를 상당 부분 자신의 방식으로 해석해내는 모습을 보인다. 어디 엄마들이 무슨 대단한 식재료로 맛을 냈던가. 그저 손에 잡히는 흔한 재료만을 갖고 어떻게 하면 맛있게 음식을 낼 수 있을까를 고심했던 것이 엄마의 밥상이 아니었던가. 흔한 식재료들에 굳이 가치를 부여하는 백종원의 음식에서는 그래서 그 서민적인 느낌과 더불어 소외된 삶들이 가진 허기를 채워주는 훈훈함이 묻어난다.

 

시어서 이제는 그냥 먹기 불편한 묵은지에는 그러나 그걸 바리바리 싸주던 엄마의 정성이 고스란히 곰삭아 있다. 그래서 물에 슬슬 닦아서 어떤 요리에나 척척 넣어줘도 맛이 날 수밖에 없다. 백종원이 <집밥 백선생>을 통해 계속 재발견시키고 가치를 새롭게 부여하는 흔한 재료들도 그걸 키워낸 누군가의 정성이 들어 있을 것이다. 우리는 모두 그렇게 자라났다. 비록 지금은 냉장고 속 구석에서 그 가치를 인정받지 못해 부려진 채로 놓여져 있을 지라도 언젠가 안목 있는 이들의 손에 멋진 음식으로 만들어질 재료들처럼. 마치 묵은지가 그러하듯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