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망한다던 '삼시세끼', 어떻게 대성공을 거뒀을까 본문

옛글들/명랑TV

망한다던 '삼시세끼', 어떻게 대성공을 거뒀을까

D.H.Jung 2015. 9. 13. 08:25
728x90

불가사의, <삼시세끼>의 성공이 말해주는 것

 

이 프로그램 망했어!”로 시작한 이서진은 <삼시세끼>의 마지막에도 여전히 지금도 이 프로그램이 살아있다는 게 불가사의라고 말했다. 결과적으로 보면 <삼시세끼>는 그저 살아남은 프로그램이 아니라 케이블 채널 프로그램의 신기원을 이룬 프로그램이 되었다. 무려 12%의 시청률을 내면서 금요일 밤 tvN이 채널 헤게모니를 가져오게 한 프로그램이기 때문이다.

 


'삼시세끼(사진출처:tvN)'

그런데 도대체 이 망했다고 자평하던 프로그램은 어떻게 이런 정반대의 성과를 거둘 수 있었을까. 이 질문의 답은 그 망했다는 판단을 하게 만드는 예능 프로그램에 내려오는 불문율의 편견 속에 있다. 즉 예능 프로그램이라면 응당 이러해야 하며, 또 이런 건 반드시 피해야 한다는 불문율. 이를테면 낚시나 등산 같은 소재는 예능에서는 해서는 안되는 금기로 여겨져온 바 있고, 복불복 같은 게임을 보험처럼 가져가지 않으면 위험하다는 얘기도 하나의 법칙처럼 받아들여져 왔다.

 

그러니 <삼시세끼>처럼 복불복 게임도 없고, 마치 낚시나 등산처럼 너무나 잔잔하게 흘러감으로써 보여지는 장면이 단조로운 시골 살이의 예능에 대해 스스로 망했다는 평가를 내릴 수밖에 없었을 것이다. 하지만 <삼시세끼>는 바로 이 망할 거라는 속단으로 아예 시도조차 하지 않았던 것들을 시도함으로써 성공을 일궜다.

 

세끼 집에 한정된 공간의 한계는 오히려 그 집 구석구석에서 벌어지는 일들을 정밀 묘사함으로써 뛰어넘었다. 즉 별 일도 벌어지지 않는 것처럼 보이는 집 구석구석에 카메라들을 설치하고 오래도록 들여다보자 의외로 많은 일들이 벌어지더라는 것이다. 사실 우리가 주의깊게 살피지 않은 것일 뿐 옥수수가 자라고 채소들이 자라나고 동물 친구들이 성장해 자식을 낳고 하는 일들은 사실 하나하나가 사건이 아닐 수 없다.

 

그 기적처럼 변해가는 광경들 속에서 적응 못하던 이서진과 옥택연이 조금씩 환경에 동화되어가고 성장해가는 모습은 그래서 어느 순간 도시에 사는 이들에게는 하나의 로망이 되었다. 사실 그 시간의 흐름과 그 흐름 속에서 일어나는 자연의 변화를 우리가 잘 느끼지 못하게 된 것은 도시의 바쁜 삶이 그런 것들에 오래도록 시선을 주지 못하게 만들기 때문이다.

 

결국 망작이라고 예측했던 것을 명작으로 만들어낸 것은 이 선입견 때문에 아무도 시도하지 않았던 시골 살이의 예능을 시도했다는 것과, 그것을 그 어느 것보다 더 열심히 만들어냈다는 점 때문일 것이다. 사실 시골에 카메라를 드리운다 해도 거기서 좀 더 새로운 이야기들을 찾아내겠다는 제작진의 마음이 없었다면 <삼시세끼> 같은 시골의 발견은 일어날 수 없었을 것이다.

 

여기에 얹어진 중요한 포인트는 이서진이 말하는 것처럼 도시의 삶에서 잠시 떠나와 이 시골에서의 하룻밤을 보내는 게스트들이다. 게스트들의 마음은 말 그대로 우리네 도시에서 그 광경을 바라보는 시청자들의 마음이었기 때문에 그들이 그 안에서 즐거운 시간을 보내는 것이 똑같이 시청자들에게도 공감대를 주었다. 그들의 즐거움이 우리의 즐거움이 되는 지점이 있었기 때문에 박신혜나 최지우, 손호준 같은 이들이 더더욱 이 시골살이를 즐겁게 만들 수 있었던 것.

 

그렇게 일 년을 휘돌아 이제 <삼시세끼> 정선편은 마무리되었다. 하지만 그 일 년 동안 벌어진 많은 사건들(?)은 영상 속에서 우리 모두에게 소중한 추억처럼 남았다. 하나의 예능 프로그램이 당대를 사는 사람들에게 하나의 추억이 된다는 것. 망하는 아이템이라며 피했다면 도저히 일어날 수 없는 일이 아니었을까. 그러니 예능 제작자들은 이제 오히려 망한다는 아이템들 속에서 새로움을 찾아보는 건 어떨까. 그저 피하지 말고 부딪침으로써 새로운 이야기가 가능하다는 것을 <삼시세끼>의 성공은 일깨워주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