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디데이'가 그려나갈 재난공화국의 참상이란 본문

옛글들/드라마 곱씹기

'디데이'가 그려나갈 재난공화국의 참상이란

D.H.Jung 2015. 9. 20. 06:03
728x90

<디데이>, 무엇이 이 드라마를 주목하게 하나

 

재난은 어디서부터 생겨날까. 지진, 쓰나미 같은 자연재해는 인간이 어떻게 할 수 없는 천재지변이다. 따라서 이러한 천재지변 그 자체보다 더 중요한 건 이에 대처하는 우리들의 자세다. 재난이라는 결코 쉽지 않은 소재를 다루는 새 JTBC 드라마 <디데이>가 천착하고 있는 문제 역시 바로 이것이다. 재난의 스펙터클이 아닌 재난에 대해 어떻게 대할 것인가에 대한 질문.

 


'디데이(사진출처:JTBC)

첫 회에 보여진 이해성(김영광)이 근무하고 있는 미래병원 응급실 풍경은 그래서 이 드라마가 앞으로 그려나갈 이야기들을 상징적으로 압축하고 있다. 결국 응급실이란 어떤 의미에서는 늘 재난상황이라고 볼 수 있다. 그 재난상황을 맞아 단 9%의 가능성이 있어도 환자를 살리기 위해 자신의 모든 걸 걸 수 있는 의사가 있는 반면, 그 상황에서도 절차를 강조하는 한우진(하석진) 같은 외과의도 있다.

 

이해성이 온 몸에 피를 묻혀가며 응급실에서 생사를 오가는 환자를 살리려 안간힘을 쓰는 장면은, 한우진이 우아하게 앉아 환자에게는 손 하나 대지 않고 로봇수술을 하는 모습과 교차되며 보여진다. 한 사람은 사람을 살리는 의사의 본분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한다면 다른 한 사람은 수술의 절차와 책임소재 나아가 병원 경영 같은 것들이 더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이것은 어쩌면 지진이나 쓰나미가 아니라도 우리네 서민들이 응급실을 찾게 될 때면 늘 상 맞닥뜨리는 재난상황일 것이다. 그 상황에서 누군가는 살아나고 누군가는 죽는다. 그런데 그 생사의 갈림길이 공평한 결과가 아니라 차별적이거나, 혹은 너무 형식적이고 잘못된 절차 때문에 살 사람이 죽어나간다거나 한다면 그건 누구의 잘못일까.

 

이 문제는 그 상황에서 선택을 강요받는 의사들의 문제도 문제지만, 그런 강요를 받게 만드는 병원 시스템의 문제가 더 크다고 볼 수 있다. 병원은 경영을 얘기한다. 그래서 병원이 살아야 환자들도 살 수 있다고 말한다. 하지만 그렇게 말하는 동안 그 경영 방식 때문에 살 수 있는 어떤 환자들은 죽어나간다. <디데이>의 이 미래병원이라는 공간은 완벽하게 우리네 사회를 그대로 보여주는 축소판 같다.

 

우리네 사회가 자본의 시스템 속에서 공평한 삶의 기회가 주어지지 않고 있다는 건 대부분의 대중들이 공감하는 이야기다. 그러니 미래병원 바깥을 나와도 어떤 이들에게 우리 사회의 시스템은 재난상황이다. 누군가는 태어날 때부터 가진 기득권으로 별다른 큰 노력 없이도 우아하게 살아가지만, 누군가는 제아무리 열심히 노력해도 빚만 늘고 먹고 살기가 막막하다.

 

이런 상황에서도 정치가 경제적 불평등을 해소하기보다 경제 성장을 얘기한다면 그건 저 박건(이경영) 미래병원장 같은 사람이 추구하는 병원의 미래를 예고하게 될 것이다. 병원은 돈을 벌 수 있을지 몰라도 그 와중에 전혀 의료의 혜택 혹은 기회를 받지 못하고 죽어나가는 희생은 어쩔 수 없을 것이란 얘기다.

 

물론 이런 문제들은 평상시에는 잘 드러나지 않는다. 하지만 저 세월호 사태나 메르스 사태 같은 재난 상황이 터졌을 때 그 부조리한 시스템의 실체가 드러난다. 안전은 저 뒤로 밀어둔 채 우선 더 많은 선적을 해서 돈을 벌겠다는 논리나 전염병의 실상을 공개해 그것이 더 퍼져나가지 않게 미연에 방지하기보다는 그것이 미칠 병원이미지를 더 먼저 생각하는 것에서부터 재난 그 이상의 재난이 발생한다.

 

<디데이>는 그런 점에서 보면 유독 많이 재난이 생겨 붙여진 재난공화국이라는 부끄러운 우리네 실상에 메스를 대는 드라마라고 볼 수 있다. 미래병원을 통해 이미 예고된 재난에 대처하는 각기 다른 사람들의 생각들의 부딪침은 그래서 이 드라마가 보여줄 재난 스펙터클 이상의 재미와 의미를 선사할 것으로 보인다. 재난은 저 바깥에 있는 것이 아니라 바로 시스템을 통해 우리 안 깊숙이 주입된 잘못된 생각과 욕망으로부터 비롯된다는 것을 보여주는 일. <디데이>에 대한 남다른 기대감은 바로 여기서 생겨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