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무도'가 '주말의 명화'로 재조명한 성우들의 가치 본문

옛글들/명랑TV

'무도'가 '주말의 명화'로 재조명한 성우들의 가치

D.H.Jung 2015. 9. 28. 07:17
728x90

<무도>는 왜 주말의 몀화 더빙 도전을 했을까

 

<무한도전>은 왜 추석특집으로 주말의 명화더빙에 도전했을까. 물론 <무한도전>과 추석특집 영화의 콜라보레이션은 그 자체로 기발한 아이디어임에 틀림없다. <무한도전>이 추석특집 영화로 방영될 <비긴 어게인>을 더빙하는 과정도 재미있지만, 동시에 그렇게 더빙된 영화가 방영된다는 것도 흥미롭기 때문이다.

 


'무한도전(사진출처:MBC)'

하지만 그것만일까. 하필이면 성우들과 함께 그들이 3시간이면 뚝딱 해내는 영화 더빙을 무려 11시간에 걸쳐 한 데는 남다른 이유가 있지 않았을까. <무한도전>이 그동안 해왔던 많은 도전들은 대부분 어딘지 소외되고 조명되지 않았던 어떤 것들과 무관하지 않았다. 성우 안지환의 말대로 주말의 명화같은 영화 더빙은 바로 그 사라져가는 것들 중 하나다. 이제 더빙보다는 원어 그대로에 자막을 붙이는 경우가 다반사이기 때문이다.

 

이렇게 된 건 영화가 점점 일상 속으로 들어온 것과 무관하지 않다. 과거 영화를 영화관에서보다 TV ‘주말의 명화같은 영화 프로그램을 통해 더 많이 봤을 때만 해도 성우의 더빙은 영화를 전 세대가 즐길 수 있게 하는 데 필수적이었다. 하지만 요즘처럼 지상파에서 영화를 방영하는 경우가 거의 명절에 국한되는 상황에서는 당연히 더빙 역시 줄어들 수밖에 없다. 케이블 영화 채널에서 영화가 상시적으로 방영되고는 있지만 그건 거의 100% 자막이다.

 

하지만 안지환의 얘기처럼 영화 더빙은 단순히 편의적인 차원에 머무는 일이 아니다. 언어라는 것은 결국 정서와 무관하지 않다. 따라서 더빙을 통해 우리 정서에 맞게 표현해주고 전달해주는 건 문화의 우리 식의 수용이라는 차원에서 필요한 일이다. 단적으로 욕설이 많이 나오는 영화라면 그 의미를 정확히 모르면서 부지불식간에 그 영어식 욕의 표현에 둔감해질 수도 있다. 시청자의 눈높이에 맞게 더빙된 욕의 최고치가 젠장”, “정말 못 말려”, “멍청이정도라는 건 언어 순화에도 더빙이 역할을 하고 있다는 걸 말해준다.

 

사실 이번 <무한도전>에서는 그리 강조되지 않았지만 영화 더빙을 해오던 성우들 역시 점점 자신들의 일자리가 좁아지고 있는 상황이다. 영화 더빙 같은 일도 점점 줄어들고 있고, 지금도 간간히 있지만 라디오 드라마 같은 일들도 사라져가고 있다. 게다가 다큐멘터리는 물론이고 애니메이션 더빙에 있어서도 요즘은 성우보다 스타들을 캐스팅하는 경향이 생겼다. 스타의 더빙 자체가 대중들의 이목을 더 잡아끌기 때문이다.

 

몇몇 잘 나가는 성우들이 건재하지만 그렇지 못한 많은 성우들의 삶은 그리 호락호락하지 않은 게 현실이다. 사라져가는 산업에는 그로 인해 점점 설 자리가 없어지는 직업군도 있는 셈이다. <무한도전>주말의 명화더빙으로 보여준 건 그 더빙이 의외로 재미있고 효용성도 있으며 그 일에 종사하는 성우들의 면면이 말 그대로 프로페셔널하다는 점이다. 목 졸리는 연기를 하기 위해 저 스스로 목을 조르며 더빙을 하는 열정이라니.

 

물론 <무한도전>의 성우 도전과 그들이 더빙한 영화를 주말의 명화에 방영한다는 그 콜라보레이션이 가진 기발함이 있지만, 그보다 더 뭉클하게 다가오는 건 영화 한 편을 더빙하기 위해 열정적으로 일하는 성우들과 그들의 모습을 멤버들의 도전을 통해 담아내려한 <무한도전>의 마음이다. 과거 라디오스타특집을 통해 라디오의 이면을 봄으로써 라디오방송의 묘미를 새롭게 되새겼던 것처럼, 이번 방송이 성우들을 재조명하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