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객주'와 장혁이 넘어야할 '상도'와 대길이 본문

옛글들/드라마 곱씹기

'객주'와 장혁이 넘어야할 '상도'와 대길이

D.H.Jung 2015. 10. 3. 10:24
728x90

<객주> 장혁의 등장, 그 기대감과 불안감

 

과거 거상 임상옥의 일대기를 다룬 고 최인호의 원작을 드라마화 했던 <상도>IMF 이후 제기된 상도덕과 기업 윤리에 대한 대중정서에 힘입어 큰 성공을 거두었던 바 있다. <객주2015>는 여러모로 <상도>를 떠올리게 하는 작품이지만 사실은 소설가 김주영이 쓴 <객주(1979년 작)>는 최인호 원작 <상도(2000년 작)>보다 훨씬 앞서는 작품이다.

 


'객주2015(사진출처:KBS)'

하지만 아이러니하게도 <객주>를 통해 <상도>를 떠올리게 된 까닭은 드라마로서 <상도>가 그만큼 상업적인 성공을 거둔 작품이기 때문이다. 대중들에게는 작품의 선후보다 더 중요한 것이 작품의 성공과 그로 인한 화제성이다. <상도>가 얘기하는 기업가 정신이나 기업 윤리에 대한 이야기는 그래서 <객주>의 초반부를 장식하고 형장의 이슬로 사라진 천가객주 천오수(김승수)의 곧은 삶을 통해 다시금 환기된다.

 

물론 초반의 이야기는 천오수의 아들 천봉삼(장혁)이 어떤 배경을 갖고 성장하는가를 보여주는 일종의 밑그림이다. 그래서 대작임에도 불구하고 시청률이 6% 남짓에 머물러 있는 것일 게다. 하지만 <객주>는 결코 이야기성에 있어서 약하지 않다. <상도>가 임상옥이라는 인물 하나에 초점이 맞춰져 있는 성장드라마의 성격이 강하다면 <객주>는 여러 인간 군상들이 부딪치며 만들어내는 <수호지><삼국지> 같은 말 그대로의 대하드라마의 성격이 강하다.

 

한 인물의 성취나 성장이 아니라 여러 인물들이 저마다 부를 쥐려는 욕망들이 꿈틀대고 그것이 만들어내는 갈등은 드라마를 더 긴박감 넘치게 만들어낼 수 있고, 무엇보다 선악의 단순 대결구도를 뛰어넘을 수 있는 단초가 되기도 한다. 사실 부를 갖게 된다는 것은 개인적 노력만큼 중요한 게 어떤 우연적 계기다. 그것은 타인들과의 관계에서 우연히 생겨나는 것들이다. <객주>가 부의 성취를 다루는 관점이 <상도>보다 낫게 여겨지는 건 바로 이 점이다. 어디 돈을 버는 일이 개인의 노력에 의해서만 되는 일인가. 대하드라마는 이것을 인간군상의 조감도로 그려냄으로써 부의 성취를 좀더 겸허하게 바라보는 시점을 제공한다.

 

아역을 지나 성인역으로 들어오면서 천봉삼의 역할을 맡게 된 장혁의 어깨는 더 무거워졌다. 결국 드라마의 중심축으로서 장혁이 그려낼 천봉삼이라는 인물의 매력이 <객주>라는 드라마로 시청자들을 끌어들이는 힘이 될 것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장혁에게서 여전히 저 <추노>의 대길이가 먼저 떠오르는 건 어찌 된 일일까. 치켜뜨는 눈이나 비아냥대는 목소리 그리고 특유의 제스처까지 <객주>의 장혁은 <추노>의 장혁을 그대로 옮겨 놓은 것처럼 보인다.

 

이래서야 <객주> 특유의 개성적인 색채를 만들어내기가 어렵게 된다. 아역 봉삼이가 보여줬던 캐릭터를 떠올려보라. 장사에는 관심도 없고 심지어 장사가 두렵다는 그 여리디 여린 인물이 바로 아역 봉삼이었다. 그런데 어찌 된 일인지 10년이 지나고 이 봉삼이의 성격은 완전히 달라져 있다. 물론 성장과정을 통해 성격은 달라질 수 있겠지만 그래도 그 본바탕으로서의 여리고 섬세한 봉삼이의 캐릭터는 깔려 있어야 하지 않을까.

 

<객주>는 원작이 그러하듯이 이야기성이 탄탄하고 캐릭터들 또한 매력적인 작품이다. 그러니 그 이야기를 제대로 전해주는 것만으로도 충분할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넘어야할 산이 있다. <객주><상도>의 이미지를 벗어내야 하고, 장혁은 <추노>의 이미지를 떨쳐내야 한다는 점이다. 장혁의 등장으로 기대감도 커졌지만 불안감도 커진 게 사실이다. 이 불안을 떨구고 그것을 기대로 채우는 일. 그것이 <객주>가 제 색깔로 훨훨 날 수 있는 길이 아닐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