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마션', 화성조차 살만한 곳으로 여겨지게 된 까닭 본문

옛글들/영화로 세상보기

'마션', 화성조차 살만한 곳으로 여겨지게 된 까닭

D.H.Jung 2015. 10. 10. 08:36
728x90

<마션>, 과학에 헌사한 우주판 로빈슨 크루소

 

리들리 스콧 감독의 야심작, <마션>은 여러 모로 다니엘 디포의 <로빈슨 크루소>를 떠올리게 한다. 이를 코미디 영화로 재해석한 톰 행크스의 <캐스트 어웨이>가 떠오르기도 한다. 이들은 모두 홀로 고립무원의 오지에 떨어지고 그 곳에서 절망하지만 다시 일어나 하루하루를 생존해나간다.

 


사진출처 : 영화 <마션>

하지만 <마션>이 이들 로빈슨 크루소류의 작품들과 다른 건 그 배경이 화성이라는 점이다. 이것은 여러 모로 과거 항해의 시대에 무인도가 생존의 공간이면서 동시에 개척해야할 공간으로 그려졌던 것에서 이제는 우주의 시대를 맞아 우주의 행성들이 이제 새로운 생존과 개척의 공간이 되고 있다는 걸 말해주기도 한다.

 

그러나 대륙과 무인도는 단지 떨어져 있는 공간일 뿐 자연적 조건에서는 그리 다르지 않지만 화성과 지구는 그 자연적 조건 자체가 다르다. 외부에 나가려면 반드시 우주복을 챙겨 입어야 하고 몸을 움직이고 이동하는 것도 지구와는 완전히 다르다. 물론 식량과 물이 자연적으로 존재하지도 않는다. 그러니 이 곳에 혼자 떨어진 우주비행사 마크 와트너(맷 데이먼)의 상황이 저 무인도에 떨어졌던 로빈슨 크루소와 같을 수는 없다.

 

그는 화성에 혼자 떨어진 직후 이런 이야기를 남긴다. ‘나는 화성에서 오도가도 못하는 신세가 됐다. 헤르메스(우주선)나 지구와 교신할 방법도 없다. 모두들 내가 죽은 줄 알고 있다. 내가 있는 이 거주용 막사는 31일 간의 탐사 활동을 위해 설계된 것이다. 산소발생기가 고장나면 질식사할 것이다. 물 환원기가 고장 나면 갈증으로 죽을 것이다. 이 막사가 파열되면 그냥 터져버릴 것이다. 아니더라도 결국 식량이 떨어져 굶어 죽을 것이다. 그러니까 그렇다. 나는 망했다.’

 

이건 일종의 미션 상황이다. 마치 과학 실험의 난제들을 제시한 후 그것을 하나하나 풀어나가는 것. 이것이 <마션>이라는 영화가 가진 의외로 쏠쏠한 재미다. 통신이 끊기고 산소와 물, 식량이 위협받는 그 상황에서 어떻게 마크 와트너는 생존해나갈까. 이런 절망적 상황 속에서 그를 구원하는 건 과학이다. 그나마 축적되어 있는 과학적 지식들은 마크 와트너를 절망적 상황에서 하나씩 구원해낸다.

 

하지만 과학적 지식이 그를 그저 죽지 않고 버티게 해준다고 하더라도 그것보다 더 그를 위협하는 건 혼자 남게 된 상황이 주는 그 우울감과 모든 걸 포기하고 싶게 만드는 절망적인 마음이다. <마션>은 그래서 지구라면 이제 일상이 되어 그다지 중요하게 여기지 않았던 것들의 소중함을 다시금 들여다보게 만들기도 한다. 아무 생각 없이 듣던 노래 한 자락과 친구와 생각없이 떠들었던 수다와 농담 같은 것들은 이런 극한 상황이 오면 심지어 구원처럼 다가오는 어떤 것이 된다.

 

영화는 애초에 마크 와트너에게 던져진 질문이 과학적 미션이었던 것처럼, 처음부터 끝까지 우리네 과학적 지식들을 활용한 문제적 상황의 해결에 맞춰져 있다. 그 하나하나는 나사가 수긍했을 만큼의 꽤 그럴 듯한 과학적 근거들을 담고 있다. 따라서 <마션>은 그 과학에 대한 이야기만으로도 충분히 흥미를 끌 수 있는 영화이기도 하다.

 

하지만 과학이나 우주에 관심이 별로 없는 사람이라면 <마션>을 인간의 조건을 들여다보는 관점으로 즐길 수도 있을 것이다. 사람은 무엇으로 살아가는가 하는 점은 화성에 혼자 남겨진 한 사내의 분투기를 통해서도 충분히 발견될 수 있다.

 

훙미로운 건 이 결코 짧지 않은 영화를 빠져서 들여다보다 보면 어느 순간 화성이라는 공간이 꽤 친숙하게 다가오면서 심지어 그 곳 역시 조건만 충족된다면 꽤 살만한 곳처럼 여겨지기도 한다는 점이다. 아무 것도 시도하지 않은 채 그저 화성이라는 낯선 공간에 서 있었다면 느낄 수 없는 감정이다. 마크 와트너의 과학적 도전들이 만들어내는 친숙함. 결국 삶이라는 건 조건이 지배하는 게 아니라 그 조건에 적응해가는 과정들이 만들어낸다는 것. 화성조차 살만한 곳으로 여겨지게 만드는 과학과 인간의 도전정신이 갖는 힘. 아마도 리들리 스콧 감독은 이 영화를 과학에 헌사하고 싶었는지도 모르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