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그놈이다', 용팔이와 참바다는 잊어라 본문

옛글들/영화로 세상보기

'그놈이다', 용팔이와 참바다는 잊어라

D.H.Jung 2015. 10. 31. 08:19
728x90

<그놈이다>, 주원과 유해진의 압도적 존재감

 

이제 스릴러 앞에 한국형이라는 수식어를 붙이는 일이 점점 많아지고 있다. 우리네 역사적 상황과 기묘한 판타지를 섞어 만든 놀라운 퓨전 스릴러 <손님>이 그랬고, 시간의 중첩이라는 SF 설정을 가져와 그것으로 쫄깃한 스릴러를 만들어낸 <더 폰>이 그랬다. <그놈이다>도 그 연장선에 있는 작품이다. 한국적이라고밖에 설명이 안되는 무속이라는 소재에 공포, 범죄물이 뒤섞인 스릴러라니.

 


사진출처:영화<그놈이다>

<그놈이다>는 귀신과 누군가의 죽음을 보는 여자라는 설정에 눈에 넣어도 아프지 않을 동생을 살인마에게 잃은 사내의 추적이 덧붙여진 독특한 작품이다. 어찌 보면 공포영화가 같기도 하지만 살인마를 쫓는 전형적인 스릴러의 모양새를 갖추고 있다. 이질적인 조합 같지만 의외로 이 공포와 스릴의 시너지는 굉장하다. 보는 내내 어떤 긴장감과 속도감을 느낄 수 있다.

 

이 공포와 스릴의 세계로 우리를 몰입시키는 장본인은 바로 주원이다. 드라마 <굿닥터><용팔이>에서도 그랬지만 이상하게도 주원의 눈물 연기는 보는 이들을 빠져들게 만드는 힘이 있다. 그가 아끼던 동생이 살해당한 것을 보고 오열하는 장면은 깊은 슬픔과 분노를 순식간에 공감시킨다. 바로 이 공감의 바탕이 깔리고 나면 그가 미친놈처럼 범인을 찾아 헤매는 그 여정에 관객들 역시 기꺼이 동참하게 된다.

 

심증은 있으나 물증이 없는 용의자. 하지만 과학과는 완전히 동떨어진 무속을 통해 범인을 보는 여자. 그러니 이 독특한 스릴러는 증거와 과학수사를 얘기하면서 사실은 실적과 자리보전에 더 관심이 있는 형사의 개입은 애초부터 먼 얘기가 된다. 대신 손에 잡힐 듯 빠져나가는 범인과 그를 추격하는 이들 사이의 밀고 당기는 힘에 집중될 수밖에 없다.

 

영화적 공간 역시 바닷가 작은 마을과 재개발지라는 두 가지가 뒤섞여 있다. 망자들의 혼이 떠도는 바다는 어딘지 무속과 맞닿아 있는 느낌이고 재개발지는 새로 세워지기 전 밀어버려지는 공간으로서의 범죄의 느낌이 물씬 풍겨난다. 즉 영화적 공간 자체가 이 무속과 스릴러라는 이질적 조합을 가장 잘 드러내주고 있다는 것이다.

 

스릴러나 귀신 나오는 공포물이나 둘 다 무섭기는 마찬가지다. 전자가 인간에 의한 공포심을 이끌어낸다면 후자는 초자연적인 귀신같은 존재에 의해 공포가 만들어진다. 그렇다면 진짜 무서운 건 귀신일까 인간일까. 그 공포감의 근원이 어디서부터 나오는가를 찾아가다 보면 이 영화가 말하려는 우리네 세상의 살풍경을 발견할 수 있다.

 

주원만큼 이 영화를 빛나게 해주는 또 한명의 연기자는 유해진이다. <삼시세끼>의 그 사람 좋은 참바다씨는 잠시 잊는 편이 나을 것이다. <그놈이다>에서 그는 압도적인 존재감을 보여준다. 유해진이라는 배우가 왜 우리네 영화에서 점점 자기만의 독특한 지분을 갖춰가고 있는가를 그는 이 영화를 통해 충분히 입증해주고 있다.

 

우리 영화가 그저 장르의 이식이 아니라 우리식으로 장르를 수용하고 있다는 면에서 바람직한 일이다. 그저 그런 코드들을 버무려 만들어낸 스릴러가 아니라 저마다 감독의 독특한 세계관과 색채를 드러내는 <더 폰>이나 <그놈이다> 같은 작품은 그래서 우리네 영화의 가능성을 새삼 발견하게 만든다. 물론 이 이질적인 장르의 결합 속에서도 그것을 우리 것으로 만들어내는 토착적인 배우들의 공적도 빼놓을 수 없다. <더 폰>에 손현주가 그랬다면 <그놈이다>에는 주원, 유해진이 그렇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