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응답하라1988', 막장들 속에서 소소함이 주는 가치 본문

옛글들/드라마 곱씹기

'응답하라1988', 막장들 속에서 소소함이 주는 가치

D.H.Jung 2015. 11. 8. 07:45
728x90

<응답하라1988>, 이 소소한 가족의 이야기에 끌리는 까닭

 

1988년은 역시 88올림픽이 떠오르는 해다. 그러니 <응답하라1988>의 첫 회 부제인 손에 손잡고가 떠올리는 것 역시 당시 올림픽 스타디움에서 울려 퍼지던 코리아나의 그 노래다. 하지만 <응답하라1988>88올림픽이라는 시대적 이벤트보다 주목하는 건 쌍문동 골목에서 소소하게 살아가는 가족들의 이야기다.

 


'응답하라1988(사진출처:tvN)'

물론 덕선(혜리)이 올림픽 피켓걸로 뽑혀 마다가스카르 피켓을 들기로 되어 있었지만 해당국이 불참하는 바람에 빠지는 줄 알았다가 운 좋게도 우간다 피켓을 들게 된 사연은 88올림픽과 직접적으로 연계된 이야기다. 하지만 그 이야기보다 더 중요한 건 그런 덕선의 사정을 별로 신경 쓰지 않는 듯한 가족에 대한 그녀의 서운한 마음이다.

 

그녀는 늘 자기는 별로 챙기지 않는 듯한 가족에 대한 아쉬움을 토로하고 그런 서운함을 알게된 아버지 성동일은 따로 그녀를 불러내 다독인다. 사실 대단할 것도 없는 사건이다. 하지만 가장 모든 걸 다 알 것 같은 가족이 사실은 더 잘 모르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손에 손잡고걸어 나가는 것이 가족이라고 말하는 이 드라마는 그 소소함이 오히려 따뜻한 느낌을 준다.

 

말이 없어 도대체 무슨 생각을 하는지 무슨 일을 하고 있는지 알 수 없는 아들 때문에 속이 상한 라미란이 아들에게 얘기를 해달라고 말하고 어색하게 안아주는 장면도 그렇고, 믿고 있던 아들의 방에서 담배갑이 나와 충격을 먹은 쌍문동 엄친아 선우 엄마가 먼저 간 아빠의 부재를 얘기하는 장면도 그렇다.

 

대단하거나 충격적인 사건 따위는 없지만 가족 간의 그 소소한 이야기가 의외로 먹먹한 느낌으로 다가오는 건 왜일까. 그것은 아마도 지지고 볶는 삶처럼 보이지만 그것이 지금은 찾아보기 힘든 가족의 삶이기 때문이 아닐까. 저녁 때가 되면 서로 서로 반찬을 갖다 주고 나눠주는 이웃의 풍경도 그렇고, 골목 한 켠에 놓여진 평상에서 아줌마들이 함께 콩나물을 다듬거나 만두를 빚는 풍경도 그렇다.

 

그래봐야 골목에서 나누는 수다에 불과할 수 있지만 아파트 층간소음으로 이웃 간의 불미스런 사건까지 벌어지는 요즘과 비교해보면 그 장면이 주는 정감은 그 무엇보다 강하게 다가온다. 결국 복고란 현재의 결핍을 채워주는 것이다. 그런 점에서 <응답하라1988>이 우리에게 감성적으로 전해주는 건 바로 현재에는 사라져버린 가족과 이웃 사이의 훈훈한 정 같은 것이 아닐까.

 

최근 드라마들은 한없이 독해져 있다. 심지어 가족 간에도 음모가 난무하고 서로가 서로를 위해하며 복수한다. 그래서 막장이라는 수식어를 달고 나오기도 한다. 이렇게 살벌해진 드라마들 틈바구니에서 <응답하라1988>의 이 소소함은 너무나 가녀리게 느껴지는 게 사실이다. 하지만 바로 그렇기 때문에 이 드라마의 소소함이 더욱 빛나는 것일 게다. 조금은 촌스럽고 심지어는 별 일이 하나도 벌어지지 않은 것처럼 덤덤하지만 그래서 그 안에서 오히려 발견하게 되는 진정한 가족의 풍경을 발견할 수 있으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