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육룡', 사극도 이런 역사적 식견을 드러내는데 본문

옛글들/드라마 곱씹기

'육룡', 사극도 이런 역사적 식견을 드러내는데

D.H.Jung 2015. 11. 11. 13:34
728x90

사극의 진화, <뿌나>에 이은 <육룡>

 

사극의 전형은 아마도 왕이 명을 내리고 신하들은 일제히 통촉해 주시옵소서!”하며 외치는 장면이 아닐까. SBS <육룡이 나르샤>에는 그런 장면이 없다. 아니 아예 왕은 전면에 등장하지도 않는다. 동시대를 다뤘던 KBS <정도전>에서 그래도 공민왕도 나오고 공양왕도 나오며 공민왕의 어머니인 명덕태후도 나오는 것과는 사뭇 다른 그림이다.

 


'육룡이 나르샤(사진출처:SBS)'

왕이 전면에 나오지 않자 대전의 모습도 거의 없다. 대신 그 자리를 차지하고 있는 건 도당의 풍경이다. 도당은 고려후기 최고의 정무기관으로 도평의사사라고도 불린다. 하지만 이런 역사적 사실보다 중요한 건 이 도당이 지금 현재의 국회를 연상시킨다는 것이다. 왕이 등장하지 않을 정도로 힘을 발휘하지 못하는 이 시대, 그 실세는 도당3인방이라고 불리는 이인겸(최종원), 길태미(박혁권), 홍인방(전노민)이다. 물론 이들은 가상인물이다.

 

이것은 <육룡이 나르샤>의 독특한 인물구성이다. ‘육룡이 그렇듯이 거기에는 실존인물인 이성계(천호진), 정도전(김명민), 이방원(유아인)과 함께 가상인물인 분이(신세경), 땅새(변요한), 무휼(윤균상)이 뒤섞여있다. 이런 구성은 이미 김영현, 박상연 작가의 전작인 <뿌리 깊은 나무>에서도 시도됐던 것이다. 거기에서도 세종(한석규)이라는 실존인물과 강채윤(장혁), 소이(신세경) 같은 가상인물이 함께한다.

 

이들 가상인물들은 그저 역사적 인물들을 보조해주는 캐릭터가 아니다. 그들은 오히려 이 역사의 뒤안길에서 실제 역사를 만들어낸 주역들로 그려진다. 전면에는 역사적 인물이 있지만 그 이면에는 그들을 돕거나 그들이 어떤 결심을 하게 만드는 요인으로서의 가상인물들이 자리한다. 이것은 <뿌리 깊은 나무>에 이은 <육룡이 나르샤>라는 사극이 이제 어떤 새로운 진화의 단계를 보여주고 있다는 증거들이다.

 

사극이 역사로부터 조금씩 떼어져 나와 상상력을 가미하기 시작한 건 이병훈 감독이 시작했던 이른바 퓨전사극이라고 불리는 시도에서부터였다. <허준>, <대장금> 같은 작품이 그것이다. 이들은 실존인물이지만 역사적 사료가 그리 많이 남아 있지 않아 나머지 행적들은 작가의 상상력에 의해 다시 쓰여졌다.

 

이렇게 상상력이 비집고 들어갈 틈이 만들어지자 사극은 좀 더 과감한 시도들을 보여준다. 즉 결국은 권력자의 기록이 될 수밖에 없는 역사가 기록하지 않은 것들을 상상력으로 재구성하기 시작한 것이다. <추노> 같은 사극은 역사에는 존재하지 않지만 분명 존재했을 노비들의 역사를 재구성하는 놀라운 결과물을 만들어낸다.

 

하지만 사극이 역사에서 점점 벗어나 심지어 역사의식 자체를 버리고 상상력 깊숙이 들어가자 사극은 하나의 장르극일뿐 사극 특유의 기능을 하지 못하게 되었다. <해를 품은 달>이나 <성균관스캔들>은 현대적 장르물이 단지 과거의 어떤 시점을 배경으로 재연된 느낌을 주었다. 물론 그것이 의미 없다는 건 아니지만 사극이라면 응당 있어야만 될 것 같은 역사의식이 배제된 느낌은 사극만이 가진 독특한 영역을 허물어뜨리게 되었다.

 

그래서 사극이 다시 회귀한 것이 <정도전>이나 <징비록> 같은 정통사극이다. 다시 역사와 역사의식을 회복시키는 것이 사극의 명맥을 이어갈 수 있는 힘이라 여기게 된 것이다. 그래서 역사적 사료에 충실한 정통사극이 다시 주목을 받았으나 이 또한 역사라는 틀의 한계에 머물러 있다는 점에서 바람직한 결과라 보기는 어려웠다.

 

이런 일련의 흐름에서 보면 <뿌리 깊은 나무>에 이어 <육룡이 나르샤>가 구축해가고 있는 역사와 가상의 공존방식은 사극의 대안적인 진화가 아닐까 싶다. 역사이기 때문에 우리는 과거를 들여다보는 것이지만 그 과거는 현재를 위한 것이다. 그러니 현재의 대중들이 갖고 있는 역사의식과 상상력이 투영되어야만 그 역사는 박제된 것이 아닌 살아 움직이는 것이 된다.

 

역사란 이처럼 팩트에만 머물러 있을 때 오히려 왜곡의 길을 걸을 수 있다. 역사의 기록은 권력자들에게는 팩트일 수 있어도 피권력자들에게는 왜곡일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니 역사적 인물과 가상인물이 한 공간에서 대화를 나누고 그 결과로서 어떤 역사를 그려나가는 이야기는 그 자체로 우리가 역사를 어떻게 바라봐야 하는가 하는 관점이 들어있다. 이것은 저 역사학자 E.H 카가 말한 역사란 현재와 과거의 끊임없는 대화라는 맥락을 잘 구현해낸 것이 아닐 수 없다. 이제 사극조차도 역사를 바라보는 이런 식견을 드러내고 있는 상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