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응팔', 엄마란 우리에게 어떤 존재여야 할까 본문

옛글들/드라마 곱씹기

'응팔', 엄마란 우리에게 어떤 존재여야 할까

D.H.Jung 2015. 11. 22. 20:00
728x90

엄마로 울리고 웃기고, <응팔>의 남다른 저력

 

애초에 남편 찾기콘셉트가 <응답하라1988>에서도 계속된다고 기자간담회를 통해 신원호 PD가 밝혔을 때 대중들의 우려의 목소리가 높았던 건 또 비슷한 패턴의 이야기가 시대만 바꿔 반복되는 건 아닌가 하는 걱정 때문이었다. 하지만 막상 뚜껑을 연 <응답하라1988>은 이전 시리즈들과는 사뭇 다른 양상이다. 물론 여전히 여주인공 덕선(혜리)의 남편이 누구인가에 대한 궁금증은 이 드라마의 주요한 동력 중 하나다. 하지만 그건 하나의 요소일 뿐 <응답하라1988>의 전부를 설명해주지는 못한다.

 


'응답하라1988(사진출처:tvN)'

그렇다면 <응답하라1988>이 이전 시리즈와 확연히 다른 점은 뭘까. 물론 여전히 염소 BGM이 흘러나오며 웃기는 장면들이 연출되지만, 유독 눈물의 밀도가 높아졌다는 점이다. 그리고 그 눈물은 다름 아닌 가족으로부터 흘러나오고 있다. 성동일이 모친상을 당하고도 아무렇지도 않은 듯 보이다가 뒤늦게 외국에 살던 형이 찾아오자 우리 엄니 불쌍해 어쪄하고 오열하는 장면은 대표적이다. <응답하라1988>의 핵심적인 정서는 신원호 PD가 공표한대로 가족이야기에서 나오고 그 가족이야기는 엄마의 이야기로도 귀결된다.

 

5회는 그런 점에서 오롯이 엄마란 우리에게 어떤 존재인가를 새삼 묻는 이야기들로 구성됐다. 남편 잡아먹었다는 시어머니 앞에서 그 모진 소리를 다 듣고는 다신 찾아오지 말아달라고 말하는 김선영이 자신의 친정어머니가 온다는 소리에 짐짓 잘 사는 것처럼 보이려 안간힘을 쓰는 장면에서는 엄마로서 서로 이해되는 이심전심의 마음이 시청자들을 울렸다. 결국 그렇게 숨기려 했지만 그래도 눈에 띈 구멍 난 양말과 헤진 옷이 밟혀 화장실에 돈과 편지를 놔두고 간 친정어머니에게 전화를 걸다가 목이 메어버리는 김선영의 모습에서 우리는 아마도 저마다의 엄마를 떠올렸을 게다.

 

딸이 데모를 하고 다닌다는 사실 때문에 걱정이 태산인 이일화의 이야기는 80년대 민주화운동에 앞장섰던 이들이라면 누구나 공감할 부모들의 이야기가 아닐 수 없다. 절대 데모 하지 말라고 꾸지람을 하지만 딸을 잡아가려는 경찰 앞에서 쉬지 않고 우리 딸이 어떤 딸인 줄 아냐며 애원하는 엄마. 경찰서에서 훈방조치 받고 나온다는 딸에게 따끔하게 혼을 내야한다는 이웃집의 이야기에 그래도 우리 딸이 무슨 잘못을 했냐고 두둔하는 아빠. 결국 부모가 데모를 반대한 것은 그 데모가 잘못된 일이라서가 아니라 단지 딸을 걱정하기 때문이었다는 것. 그것이 아마도 당대의 부모들의 마음 그대로였을 게다.

 

반면 라미란의 이야기는 눈물보다는 웃음의 포인트가 드러난 엄마의 이야기였다. 뭐든 자기 손길이 닿아야 집안 일이 돌아가는 라미란이 집을 비운 사이 엉망진창이 되어가는 집안이라던가, 그녀가 온다는 소식에 말끔하게 집을 치워놓는 남자들의 이야기, 그리고 그렇게 아무 변화가 없는 것에 오히려 실망하는 라미란의 모습은 우리네 억척스럽던 엄마들의 유쾌한 이야기가 아닐 수 없다. 그런 엄마들이 있어 어렵던 시기도 뚫고 나올 수 있었던 것이 아닌가.

 

<응답하라1988>이 한 회로 묶어서 보여준 다양한 엄마들의 이야기가 그토록 감동적으로 다가오게 된 건 세월이 지나도 여전히 변치 않는 것이 바로 그 모성이기 때문일 게다. 다만 80년대라는 상황이 그 모성을 더욱 극적으로 보여주게 만들었을 뿐이다. 그리고 이 엄마로 대변되는 가족의 이야기는 <응답하라1988>이 남편 찾기 같은 기존 시리즈의 요소들을 답습하지 않아도 충분히 감동적일 수 있는 이유다.

 

특히 데모하는 딸을 둔 이일화의 이야기는 엄마가 우리에게 어떤 존재이고 또 어떤 존재여야 하는가에 대한 메시지를 읽어내게 한다. 일부이겠지만 무슨 무슨 엄마회라는 이름의 단체로 엄마를 호명해 정치적인 행보를 보이기도 하는 것이 안타깝게도 2015년 서울의 한 풍경이다. 거기서 우리는 어떤 모성을 찾아낼 수 있단 말인가. 아니 감히 거기에 엄마라는 호칭을 붙인다는 게 가당한 일이기나 할까. 자식이 몹시 걱정되지만 그래도 자식이 잘못한 건 없다고 말하는 엄마. 그것이 시대가 달라져도 여전해야할 엄마라는 존재여야 하지 않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