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오마비' 소지섭, 왜 헬스트레이너가 로망이 됐을까 본문

옛글들/드라마 곱씹기

'오마비' 소지섭, 왜 헬스트레이너가 로망이 됐을까

D.H.Jung 2015. 12. 9. 09:24
728x90

<오마비>, 아름다움이 산업이 된 시대의 사랑이란

 

KBS <오 마이 비너스>에서 남자 주인공 영호(소지섭>은 세계적인 헬스 트레이너이자 가홍 의료 재단의 후계자 물망에 올라 있는 인물이다. 어찌 보면 헬스 트레이너라는 직업과 재벌가 후계자라는 위치는 잘 어울리지 않아 보인다. 하지만 이러한 조합이 굳이 만들어진 건 이 직업과 조합이 우리 시대에 대중들의 마음을 사로잡는 구석이 있다는 걸 말해준다. 그것은 다름 아닌 ()’()’.

 


'오 마이 비너스(사진출처:KBS)'

부유함이야 이미 멜로드라마의 고정적인 남성 주인공 레퍼토리였으니 굳이 부연설명할 필요가 없을 게다. 즉 부라는 요소는 <오 마이 비너스>가 새로운 로망으로 자리하고 있는 미를 어떤 면에서는 보완해주는 로망 정도일 것이다. 사실상 <오 마이 비너스>가 다루려고 하는 건 그 제목에도 이미 들어가 있듯이 미, 즉 아름다움에 대한 것이다.

 

이 드라마에서 미는 두 인물로 표상된다. 하나는 역변해 뚱뚱한 몸이 되었지만 마음만은 여전히 자신만만하고 매력적인 여주인공 강주은(신민아)이고, 다른 하나는 그녀를 질시해 살을 쪽 빼고 몸짱으로 거듭났지만 어딘지 속내는 과거와 다름없이 배배 꼬여있고 여전히 자신도 없어 보이는 오수진(유인영)이다. 드라마가 이 두 인물을 통해 하려는 얘기는 명백하다. 살이 쪘는가 아니면 살을 뺐는가와 상관없이 마음의 문제가 진정한 아름다움을 보여준다는 것이다.

 

이런 주제의식은 그리 대단할 것이 없지만 이 드라마는 이들 여성들만의 미에 대한 이야기가 아니다. 물론 그것은 여성 시청자들을 이 드라마에 끌어들이는 강력한 유인인 것만은 분명하다. 하지만 이들보다 사실 더 흥미로운 캐릭터는 남자주인공인 영호다. 그는 이제 가홍을 물려받아 사업을 해야 하는 입장에 서 있다. 그리고 그 사업은 다름 아닌 우리의 몸을 관리하는 영역에 특화된 사업이다.

 

병원은 아프면 가는 곳이 아니라 이제는 건강을 유지하고 몸을 가꿔주는 의료서비스의 공간이 된 지 오래다. 병원과 피트니스 센터는 그래서 몸 관리와 아름다움이 하나의 산업으로 만들어진 시대를 표상하는 공간이 되었다. 영호는 누가 시키지 않아도 철저히 자기의 몸 관리를 하는 인물이다. 먹고 싶은 걸 마음껏 먹지도 못하고 힘들어도 죽을 듯이 트레이닝을 한다.

 

물론 건강을 위해 몸 관리를 한다는 것이야 당연한 것일게다. 하지만 영호가 그런 것처럼 빨래판 복근을 만들고 얼굴 윤곽의 가름한 선을 유지하기 위해 거의 굶듯이 살아가는 건 어딘지 과도한 느낌을 준다. 물론 이건 지금 현재 우리에게 마치 강박처럼 강요되는 것이 아닐 수 없다. 몸꽝은 몸이 망가진 것만을 얘기하는 게 아니라 어느새 그 사람이 어딘지 스스로를 관리하지 않는 사람이라는 부정적인 이미지로까지 받아들여지게 되었다.

 

좋고 아름다운 몸을 갖는 것이야 누구나의 욕망이겠지만 그것이 하나의 사업으로 연결되어 있는 부분은 어딘지 의심스럽다. 영호가 가홍 그룹의 후계 역할을 두고 고심하는 건 어쩌면 이런 아름다움을 위해 끝없이 관리하고 돈을 쓰게 된 삶이 과연 좋은 것인가 하는 의심이 들기 때문이 아닐까.

 

강주은은 얼굴 살이 쏙 빠진 기념으로 영호와 그 동료들에게 하루 동안 자신처럼 살아보기를 권한다. 그래서 오랜만에 먹고 싶은 것도 마음껏 먹어본다. 영호는 그동안 살아왔던 그 관리된 삶 때문에 그렇게 마음껏 하고 싶은 걸 하는 자신을 용납하지 않으려 하지만, 그럼에도 그런 자신을 의심한다. 크림 가득 얹은 커피를 떠올리고 무엇 때문에 자신이 그토록 강박적으로 몸에 집착하는가를 의심한다.

 

<오 마이 비너스>는 물론 강주은이라는 인물이 영호라는 시크릿 트레이너를 통해 살을 빼고 사랑 또한 얻는 그 전형적인 로맨틱 코미디의 이야기인 것만은 분명하다. 하지만 만일 이 드라마가 거기서 멈추지 않고 이 아름다움을 강박적으로 가꾸는 것이 사업화되고 있는 우리 시대의 풍경을 건드려 준다면 거기에서 새로운 의미를 발견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이것은 강주은이 갖고 있는 변호사라는 직업과도 연결되는 일이다. 번지르르 해보여도 사실을 가진 자들의 편에서 변호함으로써 약자를 짓밟는 변호사의 또 다른 얼굴과 맞서게 된 강주은은 어떤 선택을 하게 될까. 거기서도 우리가 발견하는 건 진정한 아름다움의 실체일 것이다. 돈으로 화려해 보이는 커리어우먼의 번지르르함이 아니라, 진정한 변호인으로서 아름다운 모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