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육룡'의 박혁권 활용, 끝나도 끝난 게 아니네 본문

옛글들/드라마 곱씹기

'육룡'의 박혁권 활용, 끝나도 끝난 게 아니네

D.H.Jung 2016. 1. 6. 09:25
728x90

<육룡이 나르샤>의 놀라운 캐릭터 활용법

 

<육룡이 나르샤>에 박혁권이란 배우가 없었다면 어쩔 뻔 했을까. 이 사극이 박혁권을 활용하는 방식을 보면, “끝나도 끝난 게 아니다라는 말이 실감난다. <육룡이 나르샤>의 초반부의 힘은 다름 아닌 백성들의 고통 따위는 아랑곳없이 개인적인 권력과 치부에만 몰두하는 도당 3인방, 이인겸(최종원), 길태미(박혁권), 홍인방(전노민)이라는 인물에서 나왔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러한 공적을 세워두자 육룡들(이성계, 정도전, 이방원, 이방지, 무휼, 분이)’이 행동하는 대의명분이 생겨났다.

 


'육룡이 나르샤(사진출처:SBS)'

그 속에서 길태미는 삼한제일검이라는 칭호에 걸맞는 강렬한 캐릭터를 보여줬다. 자못 여성적인 느낌이 드는 짙은 화장과 행동거지는 칼을 집어 들면 돌변하는 그 잔혹함과 기묘한 조화를 이루었다. 부드러움과 날카로움이 반전을 이루며 시청자들에게 긴장감을 유발했던 것. 한 평생 이룰 건 다 이뤘다는 말로 자신의 최후를 덤덤히 받아들이는 모습에서는 무술의 고수다운 풍모가 묻어났지만, 피칠갑을 한 채 저잣거리에서 관군들을 도륙하는 장면은 마치 괴물 같은 살벌함을 그려냈다.

 

하지만 길태미가 이방지(변요한)에 의해 최후를 맞는 그 순간, 이를 구경하는 저 뒤편 백성들 틈에는 또 다른 존재인 길선미(박혁권)이 슬쩍 모습을 드러냈다. 길태미의 최후로 박혁권이란 배우는 이제 하차하는가 싶었는데 길선미의 등장으로 계속 이어졌던 것. 길선미는 자못 길태미와는 정반대의 캐릭터로 읽혀졌다. 이방지가 어렸던 시절에 그를 구해 중국으로부터 온 무술 고수에게 넘겨줘 그가 무술을 배울 수 있게 한 인물이다. 또 무명이라는 조직에 의해 사라져버린 이방지의 어머니의 소식을 알고 있는 인물이기도 했다.

 

따라서 길선미는 그 이름(가운데 선이 들어가 있어)에서도 언뜻 묻어나듯 악행을 일삼은 길태미와는 사뭇 다른 존재라고 여겨졌던 게 사실이다. 캐릭터도 길태미와는 전혀 다른 차분하고 침착한 모습을 보여주는 인물이다. 그래서 어딘지 육룡들과 함께 신조선을 도모하려는 인물처럼 보였지만 그것 역시 겉모습에 불과했다. 길선미는 갈수록 미스테리한 인물이 되어가고 있다.

 

이제 중반을 넘어서고 있는 <육룡이 나르샤>무명이라는 베일에 가려진 조직의 모습이 조금씩 드러나며 궁금증을 유발하고 있다. 어찌 보면 조선 건국의 역사를 대부분 알고 있는 시청자들에게 역사적인 이야기를 극화해 보여주었던 초반부의 긴장감이 흐트러지지 않게 하기 위해 무명이라는 가상의 조직을 극 속에 깔아두었다고 볼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역사적 사실의 재현만이 아니라 무명이란 조직과의 밀고 당기는 새로운 이야기가 가능해진다.

 

그런데 이 무명이란 조직의 한 꺼풀을 보여주는 존재가 다름 아닌 길선미다. 그는 이방지와 분이가 그토록 찾아 헤맨 엄마 연향(전미선)과 어떤 관계를 맺고 있는 인물이다. 이렇게 지금껏 이 드라마의 흐름을 놓고 보면 길태미에서 그저 선한 고수로 보였던 길선미로, 또 나아가 무명이라는 비밀스런 조직으로 통하는 관문으로서의 또 다른 면모를 보이는 길선미로 이어지는 이야기의 맥이 굉장히 중요하다는 걸 알 수 있다.

 

만일 이 세 명(사실은 둘이지만 셋이라고도 볼 수 있는)의 캐릭터를 너무나 자연스럽게 소화해내고 있는 박혁권이라는 배우가 없었다면 어땠을까. 실로 칭찬이 아깝지 않은 연기라고밖에 말할 수 없을 것이다. 또한 박혁권이 연기한 길태미와 길선미라는 캐릭터를 통해 보여지는 건 이 사극이 가진 놀라운 캐릭터 활용법이다. 50부작의 긴 호흡을 끌고 가면서도 이토록 이야기가 끊이지 않고 긴박감이 유지될 수 있는 건 적재적소에 궁금증을 유발하는 새로운 캐릭터들이 계속해서 나오기 때문이다. 끝나도 끝난 게 아닌 박혁권의 활용을 보면 이 사극의 매력이 바로 그 변화무쌍한 캐릭터들의 끝없는 등장으로부터 비롯되고 있다는 걸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