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육룡' 유아인, 왜 청춘의 꿈은 버려야할 욕심이 될까 본문

옛글들/드라마 곱씹기

'육룡' 유아인, 왜 청춘의 꿈은 버려야할 욕심이 될까

D.H.Jung 2016. 2. 24. 08:33
728x90

<사도>에 이어 <육룡>에서도, 어른들과 맞서는 유아인의 청춘

 

욕심이요? 왜 제가 가진 꿈만 욕심이라고 하십니까? 왕이 된 것은 아바마마의 꿈이 아니었습니다. 의안대군 역시 꿈을 꾼 적이 없을 것이나 세자가 되었습니다. 하지만 전 그런 꿈을 꾸어왔습니다. 헌데 왜 제 꿈만 욕심입니까?” SBS <육룡이 나르샤>에서 이방원(유아인)은 세자가 되려는 욕심을 버리라는 아버지 이성계(천호진)에게 그렇게 울분을 토로한다.

 


'육룡이 나르샤(사진출처:SBS)'

역사적 사실만 두고 보면 이성계가 그 왕의 자리에 앉아 있는 것도, 또 정도전(김명민)이 형장의 이슬로 사라지지 않고 조선을 건국해 모든 권력을 틀어쥔 채 새나라라는 자신의 꿈을 펼칠 수 있게 된 것도 모두 이방원이 정몽주(김의성)의 폭주를 막아서다. 이성계도 정도전도 정몽주를 끌어안기 위해 그들이 죽을 위기에 처하고 패업마저 수포로 돌아갈 상황에 이르렀을 때조차 그저 손을 놓고 있었다.

 

그 때 이방원만은 이념이 아니라 실행으로써 이 신조선의 꿈이 가능하다는 걸 간파하고는 정몽주를 선죽교 위에서 죽였다. 물론 그 행위를 잘했다고는 할 수 없지만 그렇다고 그 기반 위에 새로운 조선을 세워놓고는 아들이자 제자이면서 사실상 새 나라를 세우는데 일등공신이랄 수 있는 이방원을 희생양으로 내모는 이성계와 정도전의 행위 또한 정당하다 말하긴 어려울 것이다. 모든 건 이 젊은 청춘의 행동으로 이뤄졌지만 어른들은 그를 희생해 실리와 명분 모두를 가져가려 한다. 이 얼마나 잔혹한 일인가.

 

조선 건국이라는 패업을 달성하는 과정을 그리는 <육룡이 나르샤>가 막상 그걸 이룬 후 어떻게 이 육룡의 사분오열을 그려낼 것인가는 우려와 기대가 섞이는 대목이었다. 즉 육룡이 한 데 힘을 모아 구악을 밀어내고 꿈을 이뤄가는 그 과정은 가슴 설레는 이야기가 될 수 있었다. 하지만 그 후에 벌어지는 권력 투쟁의 이야기는 육룡 간의 대결 구도를 만들면서 자칫 구심점을 잃을 위험성도 있었다. 물론 조선 건국까지는 육룡이 저 마다 등가의 위치를 확보해왔다면 이제부터는 그 여섯 용들 중 이야기의 흐름을 위해 어느 한쪽을 선택해야 하는 상황에 이르렀다. <육룡이 나르샤>가 선택한 건 이방원이다.

 

여러 차례 여말 선초의 이야기들이 사극으로 다뤄지면서 그 주인공으로 이성계를 선택하기도 하고 또 정도전을 선택하기도 했다. 물론 이방원을 선택한 경우도 있다. 하지만 특히 <육룡이 나르샤>가 젊은 이방원을 선택한 건 왜일까. 거기에는 다분히 이 사극이 현재와 조우하는 면들이 드러난다. 결국 이 사극은 고려라는 구악을 물리치고 조선을 세우는 이야기다. 그리고 그 중심에 청춘으로서의 이방원이 서 있다.

 

그는 아버지 이성계, 스승 정도전이라는 어른들과 함께 패업을 꿈꾸고 실행해오지만 그 결과로 돌아온 건 그 욕심을 접으라는 얘기뿐이다. 심지어 그들은 이방원을 죽을 자리가 될 지도 모르는 명나라의 사신으로 보내버린다. 이 역사적 사실에 근거해 그려진 이야기의 구도는 다분히 현재의 우리네 현실과 무관할 수 없다. 지금 우리 시대에 희생양은 다름 아닌 청춘들이 아닌가.

 

이미 영화 <사도>에서 유아인은 아버지 영조(송강호)와 맞서다 뒤주에 갇혀 죽음을 맞이하는 비운의 사도세자 역할을 한 바 있다. 그 사도세자가 꿈꾸던 건 단지 떳떳하게살고 싶다는 것뿐이었다. 그 좌절된 청춘의 이야기를 유아인은 <육룡이 나르샤>의 이방원을 통해 하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이방원은 그 꿈을 포기하지 않고 밀어붙여 실행에 옮긴 인물이다.

 

이방원이 아버지 이성계를 향해 던지는 그 질문, “헌데 왜 제 꿈만 욕심이냐고 묻는 그 질문은 그래서 더욱 의미심장하게 다가온다. 어째서 이 부조리한 시스템은 지금의 청춘들의 꿈을 번번이 좌절시키고, 심지어 그것이 욕심이라고까지 느끼게 만드는 것일까. 과연 이래도 되는 걸까. 이래서 그 사회의 더 좋은 미래는 가능한 일일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