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육룡'과 '뿌리'는 왜 비밀조직을 등장시킬까 본문

옛글들/드라마 곱씹기

'육룡'과 '뿌리'는 왜 비밀조직을 등장시킬까

D.H.Jung 2016. 2. 25. 08:26
728x90

<육룡>의 무명, <뿌리>의 밀본에서 보이는 작가의 야심

 

SBS 월화사극 <육룡이 나르샤>에서 드디어 밀본(숨은 뿌리)’이 등장했다. <뿌리 깊은 나무>에서 세종의 한글 창제와 유포를 막는 세력으로 등장했던 비밀조직이 밀본이다. 밀본이란 조직은 꽃은 꽃일 뿐 뿌리가 될 수 없다라는 말로 그 조직의 성격을 설명한다. 정도전(김명민)1대 본원인 밀본은 그가 주장한 대로 왕의 나라가 아닌 사대부의 나라를 꿈꾸는 조직. 왕은 상징성을 드러내는 꽃일 뿐, 실질적으로 나라가 움직이는 건 사대부들에 의한 관료 시스템이며, 그들의 근본적인 힘은 백성(민본)이라는 뿌리에서 나온다고 밀본은 주장한다.

 


'육룡이 나르샤(사진출처:SBS)'

1대 본원인 정도전은 사대부들을 모아 놓은 자리에서 밀본을 세우며 위민(爲民), 애민(愛民), 중민(重民), 안민(安民), 목민(牧民) 같은 강령을 외친다. 김영현, 박상연 작가의 <뿌리 깊은 나무>에 열광했던 시청자라면 그 장면이 익숙할 것이다. <뿌리 깊은 나무>에서 가리온이라는 이름으로 정체를 숨긴 채 밀본을 움직이던 정기준(윤제문)이 사대부들을 모아놓고 연설을 하던 그 장면과 똑같기 때문이다.

 

물론 <육룡이 나르샤>에서 정도전이 세운 밀본<뿌리 깊은 나무>에서 정기준이 움직이는 밀본은 사뭇 성격이 다르다. 근본적으로 왕을 견제하는 세력이라는 점에서 같지만 그래도 정도전은 이성계(천호진)라는 왕을 견제하면서도 보필하는 인물이다. 하지만 <뿌리 깊은 나무>의 정기준은 다르다. 세종(한석규)이 왕이 되면서 오히려 왕은 애민을 실천하는 인물로 등장하고 정기준과 밀본 세력은 그 왕이 하려는 일을 막는 비밀조직으로 전락한다.

 

이미 작가들이 밝힌대로 <육룡이 나르샤><뿌리 깊은 나무>의 프리퀄이다. 그러니 밀본이라는 조직의 등장은 자연스럽게 <육룡이 나르샤>의 이야기를 <뿌리 깊은 나무>와 연결시킨다. 무휼이나 이방지 같은 동일인물이 들어가 있다는 점에서 <뿌리 깊은 나무>에서 저마다의 존재감을 드러내던 그들이 어떻게 성장했는가를 살펴보는 재미가 <육룡이 나르샤>의 전편에 깔려 있는 것도 사실이다. 이제는 마무리가 되어가는 지점에 <뿌리 깊은 나무>와의 연결고리 또한 흥밋거리일 수밖에 없다.

 

그런데 <육룡이 나르샤>에는 무명이라는 조직이 등장한다. 이 조직은 밀본과는 또 다른 조직이다. 밀본의 1대 본원인 정도전과 대립하는 조직이 무명이다. 그 무명은 여러모로 이방원(유아인)과 뜻을 같이할 가능성이 높아졌다. 처음 정도전과 사제지간으로 있을 때는 이방원 역시 무명과 대립했지만, 이제 정도전과 한 판 승부를 벌일 수밖에 없는 상황에 이방원은 무명과 의도하든 의도하지 않든 한 배를 타게 되었다. 결국 <육룡이 나르샤>의 후반부는 역사가 이미 얘기하듯 정도전과 이방원의 대결이 되겠지만, 그것은 또한 밀본과 무명이라는 두 비밀조직의 대결이 되기도 한다.

 

<육룡이 나르샤><뿌리 깊은 나무>는 이토록 비밀조직들을 등장시킬까. 그것은 이제는 사극에서 너무 많이 다뤄져 역사적 사실이 뻔히 드러나 있는 소재들을 어떻게 하면 더 흥미진지하게 만들까를 고심한 데서 나온 결과다. 김영현 작가는 과거 필자와의 인터뷰에서 세종 대의 이야기를 고민하다가 이정명 작가의 소설 <뿌리 깊은 나무>를 보고 그 해답을 찾았다고 말한 바 있다. 즉 너무나 뻔해 보이는 세종대의 역사적 사실을 이면에 있는 비밀 스런 이야기를 덧붙임으로 해서 새롭게 그려내는 방식이 그것이었다.

 

밀본은 그렇게 탄생한 것이고, 무명 또한 마찬가지 이유로 만들어진 것이다. 이 새로운 방식은 우리가 퓨전사극이라고 부르던 역사에 상상력을 덧대 만든 사극의 시도와는 사뭇 다르다. 퓨전사극은 역사적 사료가 거의 없는 인물을 그리거나, 있다고 해도 그 빈 공간을 상상력으로 채워 넣을 수 있는 인물을 찾아 그려왔다. 하지만 이성계, 이방원, 이도 같은 역사적 사료가 풍부한 인물들의 이야기를 그리면서도 그것이 뻔하지 않고 그 안에 새로운 이야기를 상상력으로 붙일 수 있는 방법이 무명이고 밀본이 되었던 것이다.

 

이미 해외의 슈퍼히어로 블록버스터들이 성공적으로 그려냈던 것처럼 무명과 밀본 같은 비밀스런 조직의 등장은 뻔한 역사적 사실을 흥미롭게 만든다. 우리가 알고 있는 역사적 사실을 최대한 손상하지 않으면서도 사실 그 이면에서 움직였던 비밀 조직들의 흥미진진한 이야기가 가능해지기 때문이다.

 

<뿌리 깊은 나무>의 프리퀄로서 <육룡이 나르샤>가 이미 성공적으로 그려진 마당에 이제 또 이 무명과 밀본 세력을 중심으로 조선의 역사가 사극으로 새롭게 탄생하길 기대하는 건 그래서다. 무명의 암호인 초무자 무진(初無者 無盡: 애초에 없는 자 영원히 있으리니라는 말은 그래서 또 다른 후속작들이 나오지 않을까 하는 기대감을 갖게 만든다. 김영현, 박상연 작가의 야심이 돋보이는 부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