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지금 위기의 '개콘'과 '코빅'에 필요한 건 본문

옛글들/명랑TV

지금 위기의 '개콘'과 '코빅'에 필요한 건

D.H.Jung 2016. 4. 26. 08:59
728x90

시청률 뚝 떨어진 <개콘><코빅>, 서로 다른 문제점

 

한때 잘 나가던 개그 프로그램들이 최근 들어 서로 다른 이유로 위기를 맞고 있다. KBS <개그콘서트>는 시청률이 끝없이 하락하며 시청자들의 관심에서 점점 멀어지고 있다. 지난 주 9.4%(닐슨 코리아)를 찍으며 한 자릿수로 떨어진 시청률은 이번 주에는 8.9%까지 떨어졌다. 이런 사정은 tvN <코미디 빅리그>도 마찬가지다. 3%대를 유지하던 시청률은 2%대까지 떨어졌다. ‘충청도의 힘논란의 여파를 무시할 수 없는 상황이다.

 


'개그콘서트(사진출처:KBS)'

사실 시청률은 점점 실질적인 프로그램의 지표가 되지 못하고 있는 게 현실이다. 그러나 <개그콘서트><코미디 빅리그>의 상황은 위기인 것이 분명하다. 그것은 화제성에서 점점 멀어지거나 혹은 논란으로 인해 프로그램의 호감도가 떨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전자가 <개그콘서트>의 상황이라면 후자는 <코미디 빅리그>의 상황이다.

 

물론 이런 문제는 세세한 코너들 하나하나가 만들어낸 문제지만 그것보다 더 중요한 건 프로그램의 브랜드 이미지의 문제다. 이럴 경우 코너 몇 개가 살아난다고 해서 프로그램이 살아나기는 어렵게 된다. 먼저 냉철하게 현재 프로그램 브랜드에 대한 대중들의 인식이 어떠한가를 파악하는 게 우선이다.

 

<개그콘서트>의 문제는 사실 너무 오래 전부터 제기되어왔지만 한참동안 바뀌어지지 않았다는 데 있다. 문제가 무엇인지는 <개그콘서트> 제작진들도 다 아는 바일 것이다. 편성시간이 너무 길어졌고 그래서 코너들도 너무 많다. 그러다보니 예전 전성기 때의 경쟁적인 무대의 치열함 같은 것을 느끼기 어렵게 되었다.

 

선배 개그맨 정종철이 <개그콘서트>에 대해 쏟아낸 아픈 일침들은 사실 대부분 인정할 수밖에 없다. 개그를 보는 것 같지가 않고 시트콤을 보는 것 같다는 지적은 너무 대본 위주로 흘러가는 <개그콘서트>의 맹점을 정확히 짚어낸 부분이다. 정종철은 아프게 지적했지만 결국 개그맨들이 스스로 중심에 서야 한다는 지당한 조언을 해줬다.

 

개그프로그램에서 가장 중요한 건 결국 개그맨이다. 그렇다면 그 개그맨들이 자신들을 하나의 캐릭터로 드러낼 수 있는 코너들이 더 많이 개발되어야 하는데, 그러려면 대본에 의지하기보다는 개그맨 스스로 몰입할 수 있는 진정성 있는 캐릭터를 직접 만들어내야 한다. 대본 대로만 가게 된다면 그 캐릭터를 왜 그 개그맨이 반드시 해야만 하는가에 대한 이유가 없게 된다. 옥동자 캐릭터 하나를 보기 위해 <개그콘서트>를 기다리던 그 시절을 떠올려보라. 정종철이 아닌 옥동자를 생각할 수 있을까.

 

반면 <코미디 빅리그>의 위기는 올라간 위상만큼 커진 사회적 책무 같은 걸 너무 잊고 있었다는 것이다. 사실 이번 충청도의 힘논란의 여파가 큰 건 사실이지만, 이전에도 <코미디 빅리그>의 개그들은 지상파와는 달리 케이블이라는 위치에 의해 조금은 자극적인 내용들도 허용되는 분위기였다. 하지만 최근 들어 이런 관점들이 달라지게 되었다.

 

케이블이라고 해도 tvN은 최근 지상파 못잖은 시청률을 기록하며 그 위상이 높아졌다. <코미디 빅리그>에 대한 관심도 과거보다 훨씬 높아졌다. 변하지 않는 <개그콘서트> 때문에 무언가 새로워 보이는 <코미디 빅리그>가 상대적인 반사이익을 얻기도 했다. 하지만 이렇게 높아진 관심은 또한 양날의 검으로, 그간 허용해주었던 다소 센 <코미디 빅리그>의 개그들에 높은 잣대를 요구하게 만들었다. ‘충청도의 힘논란은 그 결과라고도 볼 수 있다.

 

<개그콘서트>는 점점 관심에서 멀어지면서 문제가 생겼고, 아이러니하게도 <코미디 빅리그>는 관심을 받으면서 문제가 생겼다. 이런 문제들은 그저 웃기기만 한다고 해결될 수 있는 게 아니다. <개그콘서트>는 편성시간 문제 같은 구조적인 해결이 전제되어야 어떤 실마리를 찾을 수 있을 것이고, <코미디 빅리그>는 달라진 위상만큼의 프로그램의 책임의식이 필요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