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행복’, 도시의 욕망과 자연의 사랑 본문

옛글들/영화로 세상보기

‘행복’, 도시의 욕망과 자연의 사랑

D.H.Jung 2007. 10. 5. 01:39
728x90

욕망과 사랑 사이, 당신은 행복한가

고단한 도시생활에 지쳐 며칠 쉬러 내려간 시골집에서는 어떤 일들이 벌어졌었나. 시간이 멈춰버린 듯 늘 그 자리에 앉아 언젠가는 돌아올 줄 알았다는 듯, 묵묵히 한 때의 밥을 차려주시던 어머니에게서 당신은 무엇을 느꼈나. 허진호 감독의 영화 ‘행복’은 바로 그 때 느꼈던 포근함, 피폐해진 몸을 다시 되살려놓던 창조적인 힘, 잔뜩 중독된 생활 속에서 날카로워진 신경을 보듬는 해독의 손길, 그런 것들로 인해 충만해지는 생명감 같은 걸 느끼게 해주는 영화다.

클럽이 망하고, 술 담배에 몸도 망가진(간경변이다) 영수(황정민)는 도시생활에 지쳐 시골 요양원으로 내려간다. 그리고 거기서 자연을 닮은 은희(임수정)를 만난다. 그녀는 폐 질환 환자로 8년 째 요양원에서 살아왔다. 그리고 그들은 거기서 사랑을 한다. 허진호 감독이 캐릭터들의 몸을 병으로 망가뜨리고 이토록 먼 길을 떠나 시골 한적한 곳에서 둘을 만나게 하는데는 이유가 있다. 사람들은 흔히 죽음 직전에 가서야 순수한 자기 자신으로 돌아와 욕망이 아닌 사랑을 하곤 하기 때문이다.

죽음이 가까이 있어 두려우면서도 살아있다는 것 자체 하루 하루가 소중해지는 시간, 영수는 도시에서는 잊고 있었던 사랑을 하게 된다. 그리고 종종 도시적 삶의 재미로서의 쾌락과 혼동되어 왔던 진정한 행복을 느끼게 된다. 은희가 주는 자연의 사랑 속에서 영수는 회복된다. 그리고 회복된 몸은 제멋대로 소비적이고 중독적이며 파괴적인 도시의 삶을 욕망하기 시작한다. 이것은 누군가에 의해 그렇게 된다기보다는 인간이라는 욕망의 존재가 가진 얄궂은 운명으로 제시된다.

시골에 눌러앉아 이제는 시골 일도 하면서 살아가던 영수(황정민)는 어느 날 아저씨가 일당을 주면서 권하는 맥주를 단번에 비워내고는 말한다. “술 담배 어렵게 끊었는데.” 그러자 아저씨가 담배까지 권하며 말한다. “건강에는 좋은데 재미가 없지.” 담배에 불을 붙이는 영수는 그 순간 자신이란 존재의 가벼움에 픽 웃어버린다. 도시에서 찾아온 친구 동준(류승수)은 사랑과 행복감이 깃든 영수와 은희의 보금자리를 “한 평에 얼마냐”고 재단해 놓는다. 함께 온 옛 애인 수연(공효진)은 은희의 아름다운 마음씨를 “예쁘시네요”라며 “오빠는 복도 많다”고 함부로 말한다. 그래도 영수는 그들에게 뭐라 대들지 않는다. 그저 함께 웃으며 유희적 삶의 유혹을 뿌리치지 못한다.

시골집 자연처럼 질박하지만 정성스런 사랑을 담아 낸 어머니의 밥 한 끼에 원기를 회복한 철부지 아들들이 다시금 뒤편에 자연을 두고 무정하게 도시로 떠나가듯 영수도 은희를 떠난다. 그리고 비로소 시골집과 자연과 사랑을 다시금 떠올리게 되는 것은 파괴된 몸에서 욕망의 끝을 보았을 때이다. 도시에서 옛 애인인 수연(공효진)과 동거하면서 방탕하게 살던 어느 날, 영수는 수연에게 말한다. “이렇게 사는 게 넌 재밌냐?” 재미를 좇던 삶이 파탄날 즈음, 영수는 그때서야 저 시골집이 주었던 진정한 행복감을 떠올리며 안타까워하게 된다.

영화 ‘행복’은 도시적 삶을 살아온 남자, 영수와 자연적 삶을 살아가는 여자, 은희의 사랑을 통해 단순한 남녀간의 멜로의 틀을 넘어선다. 영수와 은희는 사람을 피폐하게 하는 욕망으로서의 술, 담배와 그것을 회복시키는 약초처럼, 도시와 자연, 소비와 생산, 중독과 해독, 욕망과 사랑, 남성성과 여성성, 그리고 쾌락과 행복을 대변하는 캐릭터가 된다. 영화는 이로써 욕망하는 남자와 사랑하는 여자의 전형적 멜로드라마를 통해 “당신의 삶은 진정으로 행복한가”하고 묻는다.

도시로 친구와 애인을 만나러 왔을 때 영수에게 친구가 말한다. “우리 나이에 노후자금이 얼마가 필요한 지 알아? 4억 7천만 원이래.” 그 이야기를 은희에게 전하자 그녀가 말한다. “난 내일 없어. 하루하루 행복하게 살면 안돼?” 감독은 아마도 이 대사를 통해 행복이 어디 있는가를 말하고 있었던 것 같다. 내일이란 이름으로 경박한 수치의 돈 액수만큼의 두려움과 욕망을 부추기는 세상 속에서, 하루 하루를 그 자체로 행복하게 살기란 얼마나 어려운 일인가를. 그것은 어쩌면 죽음을 달고 살기에 본질에 가까워져서 살아갈 수밖에 없는 은희 같은 이들에게나 가능한 것은 아닐까. 왜 우리는 결국 대지모(大地母)에 한 점의 흙으로 돌아갈 수밖에 없다는 사실을 모르는 것처럼 살아가는 것일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