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디마프', 왜 고현정 조인성 멜로에 꼰대들일까 본문

옛글들/드라마 곱씹기

'디마프', 왜 고현정 조인성 멜로에 꼰대들일까

D.H.Jung 2016. 5. 22. 08:18
728x90

<디마프>, 남은 건 친구뿐, 짠내 나는 꼰대들

 

이 어르신들은 죽음을 끼고 산다. 문정아(나문희)길에서 죽고 싶다고 말하자 그 옆에 있던 조희자(김혜자)는 너무 멋있다며 같이 죽자고 한다. 그들은 어르신 사진만 찍는 사진작가인 마크 스미스(다니엘 헤니)에게 찾아가 다짜고짜 영정사진을 찍으라고 명령한다. 거기서 박완(고현정)의 할머니 오쌍분(김영옥)은 그녀에게 아무렇지도 않은 듯 나 죽으면 울어라고 말한다. 그런 얘기 말라는 박완에게 할머니는 저승바다에 발 담근 지오래됐다고 한다. 그리고 걱정 말라며 지금은 골로 가는 것보다 집에 밭일이 더 급하다고 말한다.

 

'디어 마이 프렌드(사진출처:tvN)'

tvN 금토드라마 <디어 마이 프렌드>가 그려내는 흔한 장면들이다. 아예 대놓고 꼰대 드라마라며 우리가 꼰대라 치부하는 어르신들에 대한 선입견과 편견을 깨려는 드라마. 그래서인지 이 어르신들이 항상 옆에 친구처럼 달고 다니는 건 죽음이다. 조희자는 집에서 전구 하나를 스스로 갈지 못하고 망상 증상이 있다는 판정을 받자 건물 꼭대기에 올라간다. 자살을 시도하려는 것이지만 그 밑에 있는 무고한 사람들을 보고는 그들이 다칠까봐 내려와 도로로 뛰어들기도 하고 한강 물로 뛰어들려고도 한다.

 

물론 미수에 그쳤지만 그런 조희자가 친구들 영정사진 찍을 때는 피했다가 살짝 사진작가를 찾아와 부탁해 찍은 사진은 보는 이들을 뭉클하게 만든다. 손으로 얼굴을 살짝 가린 채 찍은 그 사진 속에서 조희자는 웃는 것처럼도 보이고 우는 것처럼도 보인다. 어찌 보면 부끄러워하는 소녀처럼 보이기도 한다. 이런 다양한 감정들이 겹쳐지는 얼굴을 보인다는 건 그 자체로 뭉클해지는 일이다. <디어 마이 프렌드>는 그런 드라마다. 우리가 막연히 꼰대라 치부하며 봤던 어르신들의 여러 얼굴들을 들여다보는 드라마.

 

그 나이에도 여전히 꿈이 있다. 꼰대에 구두쇠 남편을 둔 문정아는 힘들 때마다 자신을 붙잡아 놓기 위해 남편이 사탕발림으로 말하곤 했던 세계일주의 꿈을 여전히 갖고 있다. 그녀는 길 위에서 벼랑 끝으로 신나게 차를 몰아 죽음까지 날아간 <델마와 루이스>를 꿈꾼다. 그녀는 지긋지긋한 집 구석을 벗어나 길로 나가고 싶다. 그리고 그 길 위에서 죽음을 향해 날아가고 싶다.

 

하지만 현실은 다르다. 무작정 집을 나선 그녀는 자신이 갈 곳이 없다는 걸 알게 되고 조희자를 부른다. 결국 남은 건 친구뿐. 아마도 <디어 마이 프렌드>라는 제목은 그래서 붙여진 것일 게다. 그리고 그들은 차를 몰고 요양원에 있는 엄마를 찾아간다. 마치 <델마와 루이스>처럼 신나게 달려 나가지만 그들 앞에 놓인 건 그런 멋진 죽음이 아니라 사고로 벌어진 지독한 현실이다.

 

박완의 엄마 장난희(고두심)는 남편의 불륜을 집안에서 목격한 아픔이 있다. 또 여전히 그녀의 어머니가 돌보는 장애인 동생도 있다. 그래서 박완에게 이렇게 말한다. “세상에 모든 남자가 되지만, 유부남과 네 삼촌처럼 장애인은 안된다논란까지 야기한 대사지만 사실 이 드라마는 이런 편견들을 가감 없이 끄집어내 깨려는 목적으로 이런 대사를 집어넣었다. 결국 박완이 사랑하는 서연하(조인성)는 장애를 가진 인물이다. 장난희가 그 편견을 스스로 넘어서고 박완 또한 장애는 불편해도 큰 문제는 아니라는 걸 담아내려는 게 이 드라마가 가려는 목적이다.

 

박완과 서연하라는 여전히 빛나는 남녀의 안타깝고도 설레는 사랑이야기가 있지만 죽음을 무시로 끼고 사는 어르신들의 이야기가 겹쳐지면서 <디어 마이 프렌드>는 단순한 멜로 이상의 휴먼드라마로 나아간다. 박완은 사진작가의 집에서 우리는 모두 시한부라는 문구를 읽어낸다. 남녀의 사랑을 가로막는 장애나 편견은 시한부라는 그 문구 앞에서 무색해진다.

 

젊어서 영원히 살 것만 같을 때는 사랑하고 이별하고 아파하고 하는 모든 것들이 도무지 이겨낼 수 없는 어떤 것으로 느껴질 수 있다. 하지만 언젠가는 누구나 죽을 것이라는 그 명제를 직시한 후 바라보는 삶은 완전히 다르다. 아픔도 이별도 사랑도 모두가 긍정될 수 있다는 것. 그리고 사랑보다 어떤 경우에는 친구라는 말이 더 깊어질 수 있다는 것. <디어 마이 프렌드>는 그런 얘기를 건네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