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결코 웃을 수 없었던 '비정상회담'의 비판들 본문

옛글들/명랑TV

결코 웃을 수 없었던 '비정상회담'의 비판들

D.H.Jung 2016. 6. 8. 08:26
728x90

100회 맞은 <비정상회담>이 꼬집은 우리 사회

 

100회 특집으로 준비된 JTBC <비정상회담>에서는 진중권의 제안으로 우리 사회에 대한 문제들을 숨김없이 털어놓는 시간을 가졌다. 그간 안건에 따라 자국의 문화를 이야기하면서 자연스럽게 우리 문화의 잘못된 부분들을 에둘러 비판한 적은 있었지만 대놓고 이렇게 속내를 털어놓은 건 흔치 않았다. 그들은 자신들의 경험에 비추어 한국에서 살며 느낀 이런 저런 점들을 그저 끄집어내 놓았지만 그 이야기들은 결코 웃을 수만은 없는 우리 사회의 부조리들을 모두 담고 있었다.

 

'비정상회담(사진출처:JTBC)'

기욤이 지적한 건 나이 문화였다. 우리나라 사람들은 대화를 할 때 어린 사람을 무시하고 가르치려 한다는 것. 여기에 대해 제임스는 나이 많은 사람이 항상 맞는 것 아니고, 또 어리기 때문에 틀린 것도 아니다.”라고 밝히며, 나아가 나이 많은 사람의 기대에 너무 맞추고 싶어서 자기 꿈을 잘 안 키운다고 지적했다. 그는 성공은 여러 가지 방법인데 사회의 기준에만 맞추다 보면 행복하지 않을 수 있다고 말했다.

 

기욤과 제임스의 이야기는 우리가 현재 첨예하게 겪고 있는 세대 갈등을 잘 드러내고 있다. 결국 꼰대로 치부하며 세대가 소통하지 못하는 까닭은 이들이 지적하고 있는 것처럼 어른이면 다 맞다는 식의 잘못된 편견 때문이라는 것. 최근 들어 진정한 어른에 대한 사회적 요구가 생겨나고 있는 건 이 문제가 그만큼 심각해져 있다는 걸 반증한다.

 

일리야와 블레어가 꺼내놓은 건 일상생활의 매너에 대한 것이었다. 일리야는 우리나라 사람들이 지하철이나 엘리베이터에서 보이듯이 서로 양보하는 일상생활의 문화가 약간 부족하다고 지적했고, 블레어는 운전할 때도 배려심이 많이 없다고 말했다. 여기에 대해 기욤은 아는 사람과 낯선 사람을 대하는데 큰 차이가 있다고 말했다. 이 말은 어쩌면 우리 사회가 가진 배타성을 잘 드러내준다. 아는 사람끼리는 지나칠 정도로 가깝게 대하지만 그렇지 않은 사람에게는 배타적인 문화.

 

줄리안은 무비판적인 문화에 대해 이야기했다. 뉴스 같은 걸 봐도 진위를 파악하기보다는 그저 다수의 의견으로서 그걸 받아들이는 한국 사람이 이해가 안 된다는 것. 그는 한국 사람이 자기 색깔을 내기보다 다수의 의견을 따라가려 한다자기만의 생각과 판단이 아쉽다고 말했다. 타쿠야는 여기에 대해서 사람들이 같이 엮이려고 열심히 하는 것 같다혼자 뭘 하는 걸 이상하게 바라보는 시선이 불편하다고 했다. 흔히 대세를 따라가는 우리네 문화의 쏠림 현상을 잘 말해주는 대목이다.

 

다니엘이 지적한 결혼식 주례 선생님 소개 멘트가 너무 타이틀 중심이라는 이야기에서는 우리네 스펙사회의 단면이 보였고, “시어머니 문화가 이해 안 간다결혼은 두 가족이 하나 되는 것이지만 결국은 두 사람이 하는 것이라는 샘 오취리의 지적에서는 우리네 결혼 문화의 문제들이 담겨 있었다. 나아가 한국 빼고 전 세계가 명절이 제일 행복한 날이라고 한 기욤의 이야기에서는 흔히 명절 증후군을 겪는 우리네 명절 풍경에 대한 날카로운 비판이 들어 있었다.

 

직장생활에서도 알베르토는 계약서에 명시된 휴가가 있어도 눈치가 보여 못가는 우리네 직장인의 문화가 가진 부조리함을 지적했고, 타일러는 기욤이 말한 나이 문화와 알베르토의 직장 문화를 함께 거론하며 부당한 일을 당하는데 아랫사람이니 당해야지 하며 사는 게 안타깝다고 했다. 그는 장유유서가 어른은 맞고 어린이는 따라야 한다는 게 아니라며 유교와 권위주의는 다르다고 꼬집었다.

 

사실 그들은 느낀 대로 경험한 대로 있는 이야기를 가감 없이 털어놓은 것뿐이지만 그것이 발가벗겨진 우리네 문화의 뒤틀어진 면들이라는 건 분명하다. 그래서 결코 웃을 수 없는 내용들이었지만 이런 점들이 <비정상회담>이라는 프로그램의 진가가 아닐까 싶다. 그들의 시선으로 바라본 우리의 문화. 그것을 공유하는 것만으로도 개선의 시발점은 분명히 될 수 있을 테니까